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 Analysis on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2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사회 변화, 특히 전면적 비대면 수업이라는 교육에서의 변화에서 특히 지속가능성과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교육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지...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사회 변화, 특히 전면적 비대면 수업이라는 교육에서의 변화에서 특히 지속가능성과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교육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지속가능성 개념은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이다. ESD는 모든 사람들이 양질의 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발전과 사회 변화를 위해 요구되는 가치, 행동,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ESD의 개념은 2005년 UN의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2005-2014) 계획 이래 다양한 교육 영역, 특히 초중고 수준의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어 오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주목받는 지속가능성 관련 개념은 ESG로서, ESG는 특히 고등교육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생존을 위한 대학의 경영전략 측면에서 접근하는 사례가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학 분야에서의 연구 동향 탐색을 위하여 구조적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2005년 이후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9개의 주요 토픽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15년을 기점으로 국제이해교육 관련 연구와 교과서 분석,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비중이 초·중등 교육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등교육과 지속가능성 관련 연구는 다른 교육 분야에 비하여 매우 적은 편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초·중등 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교과목 기반 지속가능성 교육(ESD)이 고등교육에서는 그 사례를 찾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고등교육에서 ESG 경영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적 접근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 개념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가치를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달하고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두곤,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개념의 비교 고찰과 ESD 개념의 제시 방식" 2017

      2 이창언, "한국 지방 SDGs 교육의 현황과 과제: 평택지속가능발전대학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401-416, 2020

      3 노법래 ; 양경은, "한국 사회 저출산 논의 구조와 그 변환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 2000년 이후 언론 기사문에 대한 토픽 모델링과 토픽 구조의 시계열적 변동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154-176, 2019

      4 한채연 ; 김우식 ; 윤동근,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재난 연구 동향 분석" 한국방재학회 21 (21): 79-88, 2021

      5 김은회 ; 서유화, "토픽 레이블링을 위한 토픽 키워드 산출 방법"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6 (16): 25-36, 2020

      6 황혜원, "코로나 19·학령인구 감소 위기, ESG 통해 해법 찾는다" e대학저널

      7 서울대학교, "친환경 캠퍼스 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5

      8 박형빈,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9) : 195-228, 2020

      9 김다원,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5 (15): 1-32, 2020

      10 이지희, "지속가능한 발전 위해... 대학도 ‘ESG 경영 트렌드’ 대세" 한국대학신문

      1 이두곤,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개념의 비교 고찰과 ESD 개념의 제시 방식" 2017

      2 이창언, "한국 지방 SDGs 교육의 현황과 과제: 평택지속가능발전대학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401-416, 2020

      3 노법래 ; 양경은, "한국 사회 저출산 논의 구조와 그 변환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 2000년 이후 언론 기사문에 대한 토픽 모델링과 토픽 구조의 시계열적 변동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154-176, 2019

      4 한채연 ; 김우식 ; 윤동근,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재난 연구 동향 분석" 한국방재학회 21 (21): 79-88, 2021

      5 김은회 ; 서유화, "토픽 레이블링을 위한 토픽 키워드 산출 방법"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6 (16): 25-36, 2020

      6 황혜원, "코로나 19·학령인구 감소 위기, ESG 통해 해법 찾는다" e대학저널

      7 서울대학교, "친환경 캠퍼스 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5

      8 박형빈,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9) : 195-228, 2020

      9 김다원,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5 (15): 1-32, 2020

      10 이지희, "지속가능한 발전 위해... 대학도 ‘ESG 경영 트렌드’ 대세" 한국대학신문

      11 김찬국,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의 교육의 의미와 대학의 역할 모색" 한국연구재단 2010

      12 윤관기,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함양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연구: 생활화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9) : 117-136, 2021

      13 손연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중등 과학 교수학습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515-531, 2013

      14 배윤영 ; 이윤정 ; 김경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가정생활의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의복관리와 재활용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3-141, 2020

      15 조미경,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제안 및 수업 구성사례 연구: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와 연계하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9 (9): 55-80, 2014

      16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로드맵"

      17 이재영 ; 이선경 ; 이순철 ; 이유진 ; 민경석 ; 심숙경 ; 김남수 ; 하경환,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대학생과 교사들의 인식" 한국환경교육학회 19 (19): 1-13, 2006

      18 김찬국, "우리나라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과 연구 방향:1994∼2017년 "환경교육"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353-377, 2017

      19 이선경 ; 주형선 ; 김남수 ; 김찬국 ; 장미정 ; 권혜선,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 교육 과정, 파트너쉽, 지속가능한 대학 경영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88-101, 2011

      20 김세현 ; 손연아 ; 이은주 ; 김강석 ; 김병주 ; 남윤희 ; 최소영, "사회문제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수업모델이 초⋅중등학생들의 ESD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112-131, 2018

      21 이흥연, "대학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SDGs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2) : 257-284, 2020

      22 백진엽, "대학에서 ‘ESG 경영’ 배운다... 연세대·강원대 정규 수업 개설" 뉴스트리

      23 강명윤, "대학가 파고드는 ESG... 단순 유행으로 그쳐선 안 돼" 조선일보

      24 조의호,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구동향: 최근 10여년간 발표된 논문과 보고서를 중심으로" 4 (4): 83-95, 2012

      25 장재윤 ; 최연재 ; 강지연, "국내 ICT 업종 종사자들의 직장에 대한 불만 요인 분석 및 전/현직자 간 차이 분석: 토픽 모델링 적용" 한국심리학회 39 (39): 445-480, 2020

      26 임효진 ; 이두곤,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384-399, 2016

      27 박태인 ; 정소미, "고등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73-94, 2021

      28 "https://www.hmc.harvard.edu/sustainable-investing/"

      29 "https://www.bankersbyday.com/sustainable-finance-esg-courses/"

      30 "https://now.uiowa.edu/2020/03/university-iowa-completes-financial-close-engie-meridiam"

      31 "https://news.umich.edu/u-m-discontinues-investments-in-the-largest-contributors-to-greenhouse-gases/"

      32 "https://news.asu.edu/20200421-arizona-impact-creating-healthy-planet-one-sustainable-investment-time/"

      33 조현미, "[교육도 ESG]‘위기를 기회로’ 대학가, ESG 도입 잰걸음" 아주경제

      34 임호동, "[ESG 시너지22] 대학과 지자체, ESG 위해 손잡는다" 그린포스트 코리아

      35 Schmiedel, T., "Topic modeling as a strategy of inquir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 tutorial with an application example on organizational culture" 22 (22): 941-968, 2019

      36 Crawford, J.,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ystemic Review" 14 : 1-11, 2022

      37 Roberts, M. E., "Structural topic models for open‐ended survey responses" 58 (58): 1064-1082, 2014

      38 Roberts, M. E., "Stm: An R package for structural topic models" 91 : 1-40, 2019

      39 Mimno, D, "Optimizing semantic coherence in topic models" 262-272, 2011

      40 Wallach, H. M, "Evaluation methods for topic models" 1105-1112, 2009

      41 UNESC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A Roadmap" UNESCO 2020

      42 김창희, "ESG 향해 첫발 내딛는 서울대" 대학신보

      43 Taddy, M,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atistics" PMLR 1184-1193, 2012

      44 Roberts, M. E., "A model of text for experimentation in the social sciences" 111 (111): 988-1003, 2016

      45 문성채 ; 김수경 ; 남영숙, "2015 환경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황새복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32 (32): 361-377, 2019

      46 장다원 ; 이윤정 ; 이선영,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복관리와 재활용’ 관련 내용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관성 및 탐구적 성향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2 (32): 89-105,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