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도자디자인 공동 작업 과정 연구 : 컬처럴 프로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0609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Co-creation Work Process of Ceramic Design Using Design Thinking Process: Centering on the cultural probes

      • 형태사항

        xi, 119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혜선
        참고문헌: p.95-9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205183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al devic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are affecting deep into our lives. User opinions and experienc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and a problem-solving method called design thinking has been created. The role of users w...

      Digital devic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are affecting deep into our lives. User opinions and experienc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and a problem-solving method called design thinking has been created. The role of users who actually use products is starting to become more important than consumers who purchase products. As it moved to modern times, the meaning of crafts gradually expanded, and the researcher judged that research on users in the field of ceramic art, the researcher's undergraduate major, was needed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was identified and the concept of craft and the modern ceramic industry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ase of collaboration with ceramic art was examined.
      We would like to propose a new pottery collaboration method that uses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o desig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o find out the needs of users through a collaborative method of collaborating with producers and use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sers' needs and directions for ceramic art work can be derived.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The collaborative process designed us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 consists of five stages.
      First, in the ‘Empathy’ stage where the daily life of the collaborator is delivered through a cultural probe. Second, it is ‘Defining’ stage to take the collaborator's insights based on the outcome at the first stage. Third, in the 'Idea derivation' stage, the design with the motif of Insight is communicated with the collaborator and the final design is confirmed. Fourth, after creating a 3D prototype in the 'prototype' stage, it begins to be produced in real life. In the final stage, the 'Test' stage, feedback on the work and process is received from the collaborator.
      Collaborator A preferred to consist of a regular curve in the formative part. In terms of color, white colors with an image of indifference or neatness were preferred. Collaborator B preferred traditional form and simplicity in terms of form. In the color section, the arrangement of colors with an image of splendor was preferred and harmony was emphasized. Finally, collaborator A derived my own time, freedom, and collaborator B derived my own and immersion as insights.
      The shape was made by spinning wheel molding, and the handle was molded by pushing the plate. There is a shrinkage rate in the soil. The white clay used in this study showed a shrinkage rate of 13% to 15%. In order to calculate the shrinkage rate, the dimension of the finished product was first set, and then the manufacturing drawing was designed by 1.15 times. The manufactured work was completely dried and then cut at a temperature of about 850 degrees in a 0.14-cubic meter electric kiln. After initialization, Task A was colored with a combination of white and woodtone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collaborator. The body part was colored using colored clay, and the handle was colored using brown clay. Work B colored the background color except for the pattern to give it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like look, and the pattern was colored with white clay. Secondary firing (chivalry) was fired at a temperature of about 1250 degrees in the same kil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ed material was smoothly polished with diamond sand.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get an answer to the essential question of "Why do you do art?" beyond the analog appearance and digital application of ceramic art. The user's need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discussions could be drawn.
      First, through the collaborative process, I was able to immerse myself in the work by deeply understanding the insights of a consumer.
      Second, communication with collaborators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co-workers) and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Third,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ceramic work results, additional production processes through feedback are requir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develop into ceramic design production processes, platforms, and servi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if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ors A and B and the insights through cultural probes could be applied to a persona, it would be benefitted to identify, categorize, and segment the user group for ceramic industry. If there are much more images, photos, other way of collecting user preference at the image preference survey, it could be also helpful for suggesting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not only for ceramic but also for other crafts such as metal, wood, paper, jewelry, etc.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the direction of ceramic design should be prioritized by customers. In addition to the concept of consumers, the insights provided as users and producers will present a new direction in the field of ceramic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 사회 속 디지털 기기들은 우리의 삶 속에 깊은 곳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전보다 사용자의 의견 및 경험이 중요해졌고 디자인 씽킹이라는 문제 해결 방법이 만들어졌다. 제품...

      4차 산업혁명 사회 속 디지털 기기들은 우리의 삶 속에 깊은 곳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전보다 사용자의 의견 및 경험이 중요해졌고 디자인 씽킹이라는 문제 해결 방법이 만들어졌다. 제품을 구매를 하는 소비자보다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현대로 넘어오며 공예의 의미가 점차 확대되었고 연구자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속에서 연구자의 학부전공인 도자예술분야의 사용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디자인 씽킹의 개념을 알아보고 공예의 개념 및 현대 도예 산업을 살펴봄으로써 이론적인 배경으로 제시하였고 도자 예술과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살펴보았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제작과정을 디자인하고 제작자와 사용자와의 협업하는 공동 작업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를 알아내는 새로운 도예 공동 작업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자예술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와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공동 작업 과정은 디자인 씽킹 5단계 구성처럼 다섯 가지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번째, ‘공감하기’ 단계에서 컬처럴 프로브를 통해 공동작업자의 일상을 전달받는다. 두번째, ‘정의하기’ 단계에서 공동작업자의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세번째, ‘아이디어 도출’ 단계에서는 인사이트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에 대해 공동작업자와 소통하고 최종디자인을 확정한다. 네번째,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3D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후 실물제작에 들어간다. 마지막 단계인 ‘테스트’ 단계에서 공동작업자에게 작업 및 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
      공동작업자 A는 형태적인 부분에서 정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선호했다. 색상 부분에서는 난색계열 또는 깔끔함의 이미지를 가진 화이트 색상을 선호했다. 공동작업자 B는 형태적인 부분에서 전통적인 형태와 심플함을 선호했다. 색상 부분에서는 화려함의 이미지를 가진 색상의 배열을 선호했고 조화로움을 강조했다. 최종적으로 공동작업자 A는 나만의 시간, 자유, 공동작업자 B는 나만의 것, 몰입을 인사이트로 도출하였다.
      물레성형으로 형태를 제작했으며 손잡이의 경우 판을 밀어 성형하였다. 흙(소지)에는 수축률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백자토의 경우 13%~15%정도의 수축률를 보인다. 수축률을 계산하기 위해 완성품에 대한 치수를 먼저 설정한 다음 1.15배를 하여 제작도면을 설계하였다. 제작이 완료된 작업물은 완전 건조시킨 뒤 0.14루베 전기가마에서 약 850도의 온도로 초벌하였다. 초벌 후, 작업 A는 공동작업자의 의견에 따라 흰색과 우드톤의 조합으로 채색되었다. 색화장토를 이용해 몸통 부분을 채색하였고 손잡이는 갈색 화장토를 이용해 채색하였다. 작업 B는 무늬를 제외한 배경색을 작업 A보다 어두운 갈색으로 분청사기와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채색하였고 무늬는 흰색 화장토로 채색하였다. 2차 소성(재벌)은 같은 가마에서 약 1250도의 온도로 소성하였다. 소성이 끝난 기물의 바닥면은 다이아몬드 사포로 부드럽게 연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자예술의 아날로그적인 모습과 디지털적인 응용을 넘어서 궁극적으로 ‘왜 예술을 하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사용자의 니즈를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통해 이해할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 및 논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공동작업과정으로 한 소비자의 인사이트를 깊이 있게 이해하여 작업물에 몰입할 수 있었다.
      둘째, 공동작업자와의 소통은 소비자(공동작업자)의 만족도와 작업물의 완성도를 높인다.
      셋째, 도예작업 결과물의 불확실성 때문에 피드백을 통한 추가적인 제작과정 반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과정 및 결과는 추후 도자디자인 제작 프로세스, 플랫폼, 서비스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공동작업자 A와 B의 특성과 컬처럴 프로브를 통해 도출된 인사이트를 페르소나에 적용시킨다면 도자기 작업물에 대한 사용자층을 파악할 수 있고 이미지 선호도 조사에서 다양한 이미지의 사진을 선정하여 진행한다면 도자기를 비롯한 다양한 공예분야 제작 과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도자디자인의 방향성은 고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개념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제작자로서 제공해주는 인사이트는 도자디자인분야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1
      •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Ⅱ. 이론적 배경 6
      • A. 공예 6
      • Ⅰ. 서론 1
      •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1
      •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Ⅱ. 이론적 배경 6
      • A. 공예 6
      • B. 도자예술 11
      • C. 디자인 씽킹 19
      • Ⅲ. 연구 과정 및 실행 25
      • A. 연구 과정 25
      • B. 연구 실행 32
      • C. 작품 제작 과정 71
      • Ⅳ. 결론 및 논의 85
      • A. 최종 결과물 85
      • B. 결과물 및 과정에 대한 공동작업자의 피드백 87
      • C. 결론 및 논의 92
      • 참고문헌 95
      • 부록(설문지) 99
      • ABSTRACT 1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