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Some problems related to tense interpretation of conjunctive sentence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9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aims to explain tense phenomenon of conjunctive sentence in Korean by its constituent of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For beginning, I examine that coordinate-conjunctive sentence distinguish from subordinate-conjunctive sentence and the problems related to it. And then, this paper focus on tense in the conjunctive sentence. I discuss that conjunctive sentence which first or ended constituents explained the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based on the constituent morph and meanings.
      Through this paper, I can explain to clarify the tense relationship of the Korean conjunctive endings, also with the overall tense category of the Korean grammar.
      번역하기

      The paper aims to explain tense phenomenon of conjunctive sentence in Korean by its constituent of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For beginning, I examine that coordinate-conjunctive sentence distinguish from subordinate-conjunctive sentence and the pro...

      The paper aims to explain tense phenomenon of conjunctive sentence in Korean by its constituent of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For beginning, I examine that coordinate-conjunctive sentence distinguish from subordinate-conjunctive sentence and the problems related to it. And then, this paper focus on tense in the conjunctive sentence. I discuss that conjunctive sentence which first or ended constituents explained the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based on the constituent morph and meanings.
      Through this paper, I can explain to clarify the tense relationship of the Korean conjunctive endings, also with the overall tense category of the Korean gramm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 동안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접속문의 통사 구조에 대한 이해라는 틀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 보니 대체로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통사적 형식화’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국어 시제 문제에 대한 중요한 실마리가 풀리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접속문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논의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가령,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이 통사적으로 분류 기준이 명확히 구분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접속어미를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으로 나누어 놓고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점과 접속어미가 문맥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의미 기능을 여과 없이 수용하면서 시제 해석을 하다 보니 설명의 난맥상을 초래한 부분이 있었다.
      국어 접속어미는 대부분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재구조화된 통합형 접속어미이기 때문에 이들 구성 요소들의 형태, 의미론적 특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우선해야 한다. 그러므로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개별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명하고 이에 대한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그 동안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접속문의 통사 구조에 대한 이해라는 틀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 보니 대체로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통사적 형식화’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이 사실...

      그 동안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접속문의 통사 구조에 대한 이해라는 틀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 보니 대체로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통사적 형식화’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국어 시제 문제에 대한 중요한 실마리가 풀리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접속문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논의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가령,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이 통사적으로 분류 기준이 명확히 구분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접속어미를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으로 나누어 놓고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점과 접속어미가 문맥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의미 기능을 여과 없이 수용하면서 시제 해석을 하다 보니 설명의 난맥상을 초래한 부분이 있었다.
      국어 접속어미는 대부분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재구조화된 통합형 접속어미이기 때문에 이들 구성 요소들의 형태, 의미론적 특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우선해야 한다. 그러므로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은 개별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명하고 이에 대한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ybee, J.L., "형태론" 한국문화사 1985

      2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3 서정목,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 한국언어학회 18 (18): 1993

      4 서정목,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Ⅰ)" 국어학회 17 : 1988

      5 김정대, "한국어 접속문의 구조" 국어국문학회 (138) : 121-152, 2004

      6 김정대, "한국어 접속문에서의 시제구 구조" 한국언어학회 (24) : 1999

      7 문숙영,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 서울대학교 2005

      8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93

      9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국어연구회 (123) : 1994

      10 김영희, "종속 접속문의 통사적 양상" 들메 서재극 박사 환갑 기념논문집 1991

      1 Bybee, J.L., "형태론" 한국문화사 1985

      2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3 서정목,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 한국언어학회 18 (18): 1993

      4 서정목,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Ⅰ)" 국어학회 17 : 1988

      5 김정대, "한국어 접속문의 구조" 국어국문학회 (138) : 121-152, 2004

      6 김정대, "한국어 접속문에서의 시제구 구조" 한국언어학회 (24) : 1999

      7 문숙영,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 서울대학교 2005

      8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93

      9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국어연구회 (123) : 1994

      10 김영희, "종속 접속문의 통사적 양상" 들메 서재극 박사 환갑 기념논문집 1991

      11 유현경, "접속문의 통사적 특질 연구" 연세대학교 1986

      12 이남순, "시제, 상, 서법" 월인 1998

      13 이익섭, "상대시제에 대하여" 서울대 국문과 3 : 1978

      14 김영희, "등의 접속문의 통사 특성" 한글학회 (201) : 1988

      15 이필영, "대등절과 종속절에 대하여" 22 : 1994

      16 이관규, "대등문, 종속문, 부사절 구문의 변별 특성" 27 : 1999

      17 백낙천, "국어의 통합형 접속어미" 월인 2003가

      18 임홍빈, "국어의 재귀사 연구" 신구문화사 1987

      19 이은경, "국어의 연결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1996

      20 한동완, "국어의 시제 연구" 서강대학교 1992

      21 한동완, "국어의 시제 범주와 상 범주의 교차 현상(서강인문논총 12)" 인문과학연구원 1999

      22 권재일,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집문당 1985

      23 이익섭, "국어문법론" 학연사 1983

      24 서태룡,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서울대학교 1987

      25 서태룡, "국어 형태론에 기초한 통사론을 위하여" 국어학회 35 : 1999

      26 최동주, "국어 접속문에서의 시제현상" 국어학회 24 : 1994

      27 이익섭, "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2003

      28 임홍빈, "국어 굴절의 원리적 성격과 재구조화" 서울대 국문과 22 : 1997

      29 백낙천, "‘-자’를 포함한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한국어교육학회 112 : 9-272, 2003

      30 송철의, "‘-었-’과 형태론(남풍현 선생 회갑 기념 논총)" 태학사 1995

      31 Pollock, J.Y., "Verb Movement, Universal Grammar, and the Structure of IP" 20 : 1989

      32 Klein, W., "Time in Language" and New York 1994

      33 Comrie, B., "Te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34 Foley, W.A., "Functional Syntax and Universal Grammar" Co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5 Haimann, J., "Clause combining in grammar and discourse" John Benjamins 1984

      36 Chomsky, N., "Barriers" MIT Press 1986

      37 Comrie, B., "Asp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