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진학에 있어서 젠더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ender Spatialty in the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25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사회에서 교육열은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만들어내며 이슈가 되어왔다. 2005년 현재 82.1%를 기록한 대학 진학률 통계는 우리 사회에서 고등교육의 외연적 성장과 함께 고학력화를 단적...

      한국 사회에서 교육열은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만들어내며 이슈가 되어왔다. 2005년 현재 82.1%를 기록한 대학 진학률 통계는 우리 사회에서 고등교육의 외연적 성장과 함께 고학력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그런데 대학의 분포가 수도권에 집중된 탓에 대학 진학은 교육 기회를 찾아 발생하는 인구이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인구이동은 대체로 대학을 마친 지역에서 직업을 갖고 정착하게 되는 과정을 겪기 때문이다. 즉, 대학 진학 시점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인구의 유출과 유입은 지역의 인구구조를 비롯한 사회·경제적 측면에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대학 진학의 문제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들과 딸에 대한 교육투자의 차이가 있거나 있을 것이라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일반적인 통념이다. 즉, 아들은 집에서 멀더라도 서울로, 딸은 집 근처의 대학으로 보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젠더의 교육 불평등 문제가 공간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에 있어서, 공간성의 문제와 젠더의 공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주택 센서스 2% 표본 자료를 기본 데이터로 이용하여 현재 통학지와 5년전 거주지 간의 비교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진학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980년, 1990년, 2000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성별에 따른 출신지역을 기준으로 유출·유입의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오즈비를 통해 타지역 진학률에 대한 젠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편, 수업연한에 따라서도 진학률의 공간적 패턴은 다를 것으로 가정하여, 사례수가 많은 2000년 자료를 대상으로 4년제 이상과 미만으로 대학을 구분하여 남녀의 오즈비를 구하고, 평균진학거리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전국적으로 대학진학은 출신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가며, 남녀 모두 타지역 진학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1980년에서 2000년까지 지역내 진학률은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절반이상을 차지할 만큼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오즈비 분석결과, 1980년에는 대체로 남자의 타지역 진학률이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2000년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나는 지역이 많았다. 한편, 남녀 모두 4년제 대학이 전문대학에 비해 이동거리가 길게 나타났는데, 이는 더 적극적인 공간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또한 서울에서 멀어질수록 평균 진학 거리가 길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대학 진학 기회에 있어 불평등한 공간 구조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education fever makes a variety of social phenomena and has become a hot issue. The entrance ratio into a tertiary education is up to 82.1% in 2005. According to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Korea ranked first in...

      In Korea, education fever makes a variety of social phenomena and has become a hot issue. The entrance ratio into a tertiary education is up to 82.1% in 2005. According to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Korea ranked first in entrance ratio into a tertiary education of 49 countries of investigation in 2001. This shows external growth of tertiary education and increase in highly educated people.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is related with migration for education opportunity because preferred universities or colleges are mostly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Migration for education includes that one gets a job after graduation in the place where a university or a college is located, marries and settles down there. This outmigration will have an effect o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cluding population structure in the long term. Furthermore, the outmigration that originates from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means brain drain. Therefore, entrance into a university or a college needs to be studied in terms of spatialty. This study uses 2% sample data from census to find out the spatialty of gender in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In addition, outmigration to enter into a university or a college is analyzed using odds ratio and mean distanc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patial pattern of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is expanding although entrance ratio into the neighborhood centering on its origin accounts for a majority. Second, the gap between man`s mean distance and wome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last, mean distance of 4-year university is longer than that of junior college. The mean distance increases with the distance from Seoul.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n inequality of spatial structure in the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