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유형과 평가 = A User Perception Types and Evalua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Compet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5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how media users in the digital era recognize and evaluate media literacy competency. To this end, the Q methodology, which can examine people’s subjective perceptions, was applied to classify the types of percep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how media users in the digital era recognize and evaluate media literacy competency. To this end, the Q methodology, which can examine people’s subjective perceptions, was applied to classify the types of perceptions, and the perspective of media users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competency was derived into a total of four types. First of all, the first type is "Criticism Ability-oriented". This type emphasized the ability to critically view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ntent. The second type is ‘production and expression-oriented’. This type emphasized the ability to produce and express the content they wanted. The third type is ‘information search capability-oriented’. This type emphasized the ability to selectively find the information they needed. The fourth competency is ‘communication skills-oriented’. This type emphasized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person’s consideration and courtesy. In all types, there was a consensus that critical competency should be the center of media literacy competency, and this trend was examined to contribute to setting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media literac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이용자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사람들의 주관적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인식 유형을 구...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이용자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사람들의 주관적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인식 유형을 구분하고, 미디어 이용자가 주목하는 역량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인식으로 총 4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먼저 첫 번째 유형은 ‘비판능력 중시형’ 이다. 이 유형은 콘텐츠가 담고 있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능력을 중요시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생산과 표현 중시형’ 이다. 이 유형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를 표현하는 역량을 중요시하였다. 세 번째 유형은 ‘정보검색역량 중시형’ 이다. 이 유형은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선별적으로 찾을 수 있는 능력을 중요시하였다. 네 번째 역량은 ‘소통능력 중시형’이다. 이 유형은 상대방의 배려와 예의를 갖춰 소통하는 능력을 중요시하였다. 모든 유형에서 비판 역량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일치된 의견을 보였으며, 이용자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미석 ; 김정겸,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485-507, 2016

      2 김은정 ; 유홍식, "이념 성향·강도, 적대적 매체 지각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짜뉴스 노출과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1 (21): 93-126, 2020

      3 김춘식 ; 홍주현, "유튜브 공간에서 ‘가짜뉴스의 뉴스화’: <고성산불> 관련 정치적 의혹 제기와 청와대 반응 사례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23 (23): 403-440, 2020

      4 강정묵 ; 송효진 ; 김현성,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143-173, 2014

      5 심재웅, "미디어교육 지원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측정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21

      6 전경란,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7 김경희,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및 지역별 격차 측정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7

      8 천혜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성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6

      9 봉미선 ; 신삼수, "디지털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 고찰" 한국방송학회 21 (21): 41-75, 2020

      10 심재웅, "디지털 사회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20

      1 양미석 ; 김정겸,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485-507, 2016

      2 김은정 ; 유홍식, "이념 성향·강도, 적대적 매체 지각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짜뉴스 노출과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1 (21): 93-126, 2020

      3 김춘식 ; 홍주현, "유튜브 공간에서 ‘가짜뉴스의 뉴스화’: <고성산불> 관련 정치적 의혹 제기와 청와대 반응 사례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23 (23): 403-440, 2020

      4 강정묵 ; 송효진 ; 김현성,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143-173, 2014

      5 심재웅, "미디어교육 지원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측정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21

      6 전경란,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7 김경희,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및 지역별 격차 측정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7

      8 천혜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성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6

      9 봉미선 ; 신삼수, "디지털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 고찰" 한국방송학회 21 (21): 41-75, 2020

      10 심재웅, "디지털 사회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20

      11 김경희,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한울아카데미 2018

      12 강진숙, "독일의 청소년 미디어보호 자율규제 제도와 국내 적용방안 연구: 청소년보호 및 미디어교육 전문가와의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75-99, 2009

      13 허윤철,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의 영향력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짜뉴스 범위 인식의 조절 효과" 한국언론정보학회 101 : 506-534, 2020

      14 안정임 ; 서윤경 ; 김성미,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 연구 특성 및 미디어 역할,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1 (31): 5-49, 2017

      15 김형지 ; 정은령 ; 김은미 ; 양소은 ; 이재우 ; 강민지,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 노출 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뉴스 인식, 그리고 리터러시 관계" 한국언론정보학회 101 : 231-267, 2020

      16 Belshaw, D. A., "What is’ digital literacy’?:a pragmatic investigation" Durham University 2012

      17 PIAAC, "U.S.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18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19 Potter, W. J., "The state of media literacy" 54 (54): 675-696, 2010

      20 Van Laar, E., "The relation between 21st-century skills and digital skills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72 : 577-588, 2017

      21 Van Dijk, J. A., "The digital divide" Polity Press 2020

      22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s(Final Report)" European Association 2009

      23 Insights, M., "Mapping of media literacy practices and actions in EU-28" European Audiovisual Observatory

      24 Bawden, D.,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 a review of concepts" 57 (57): 218-259, 2001

      25 Watts, S.,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interpretation" Sage 2012

      26 Panel, I. L., "Digital transformation: A framework for ICT literacy"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53, 2002

      27 Eshet, Y., "Digital literacy :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rvival skills in the digital era" 13 (13): 93-106, 2004

      28 Gilster, P., "Digital literacy" Wiley Computer Pub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0.95 1.39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