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SG 경영, 기업의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전략 : KT의 전사적 목표와 전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94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업경영과 관련되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일 것이다. ESG 경영을 선언한 많은 기업들이 있지만, KT는 2021년 본격적인 ESG 경영을 선언하며 지속가능경영...

      최근 기업경영과 관련되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일 것이다. ESG 경영을 선언한 많은 기업들이 있지만, KT는 2021년 본격적인 ESG 경영을 선언하며 지속가능경영의 전략을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하고 있다. 또한 KT는 국내 ICT 업계 최초로 ESG 채권을 발행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정보기술산업이 더욱 중요해진 시점에서 본 연구는 KT의 ESG 경영 목표와 전략의 사례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KT는 환경 영역에서 ‘환경경영’, ‘환경대응’, ‘에너지 자원’, ‘친환경 프로젝트’를 통해 환경 건전성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 영역에서 ‘사회공헌’, ‘동반성장’, ‘인권경영’ 등을 통해 진정성 있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배구조 영역에서는 ‘윤리‧컴플라이언스’,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경제적 신뢰성을 추구하기 위한 투명한 기업 경영 체계를 지향하고 있었다. 특히 KT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AI, BigData 기술을 활용하여 환경,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며 KT만의 ESG 경영을 도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화두로 떠오른 ESG 경영과 관련해 KT의 ESG 경영 사례를 통해 ESG전략 수립과 ESG 경영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most noteworthy topics in recent corporate management is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Although there are many companies that have declared ESG management, KT has declared full-fledged ESG management in 2021 and is sharing its sus...

      One of the most noteworthy topics in recent corporate management is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Although there are many companies that have declared ESG management, KT has declared full-fledged ESG management in 2021 and is sharing its sustainable management strategy with stakeholders. In addition, KT is strengthening ESG management by issuing ESG bonds for the first time in the domestic ICT industry. At a time wh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became more important due to COVID-19,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KT's ESG management goals and strategies by dividing them into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reas. KT was aiming to achieve environmental integrity through 'environmental management', 'green competence', 'energy resources', and 'eco-friendly projects' in the environmental field. In addition, in the social field, genuine creating social value was pursued through 'social contribution', 'co-growth', and 'human rights management'. Finally, in the governance area, it was aiming for a transparent corporate management system to pursue economic reliability through 'ethics and compliance' and 'risk management'. In particular, KT was promoting its own ESG management by promoting strategies to solve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using AI and BigData technolo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latform company.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ESG strategy establishment and ESG management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KT's ESG management case in relation to ESG management, which has emerged as a hot top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ESG 경영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2.1 ESG 경영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ESG 경영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2.1 ESG 경영
      • 2.2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3. 연구방법
      • 3.1 자료수집 방법
      • 4. 디지털 혁신 기술을 통한 ESG 경영: KT
      • 4.1 KT 핵심가치 및 ESG 경영 전략체계
      • 4.2 지속가능성과 환경(Environmental) 경영
      • 4.3 상생을 통한 사회(Social) 경영
      • 4.4 투명성 및 건전성 관리를 통한 지배구조(Governance) 경영
      • 4.5 KT ESG 경영과 SDGs와의 연계성
      • 5. 결론 및 논의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