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무용창작 작품주제 분석에 따른 심리 연구 = Psychological Study according to the Theme Analysis of Korean Dance Cre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2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현상학’을 적용하여 대학 4학년인 졸업예정자들이 그들 스스로 만든 한국창작 작품의 주제 및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그들이 만든 한국...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현상학’을 적용하여 대학 4학년인 졸업예정자들이 그들 스스로 만든 한국창작 작품의 주제 및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그들이 만든 한국창작 작품의 심리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환원을 통한 무용작품 창작자의 반성적 실천의 기술을 생각하고, 검토하고 되짚어 보면서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주 1회 4시간씩 연구참여자들의 작품에 대해 토론하고 개인별 면담을 통해 작품의 주제나 내용에 대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 10명의 주제를 살펴보면 한국설화 2명, 자연의 표현 2명, 회상이나 추억에 관한 내용 2명 그리고 의지나 소망 등의 표현 3명이었다. 둘째, 한국창작작품을 구성하기 위해 선택한 주제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생각은 지금까지 다른 여러 공연을 보고 듣고 체험하였던 의미를 바탕으로 한국창작 작품을 만들었으며 이는 그들의 생활세계를 통해 실제로 보고 느꼈던 지식이나 활동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이 체험을 통해 10개의 주제로 창작작품을 만들었는데 그 작품이 가지는 심리적인 의미는 민속적 가치관과 자연주의, 위로와 추억의 회상, 의지의 표현이었다. 결론: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창작춤 주제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하지 못해 주제선택의 폭이 좁았음을 알 수 있었다. 배운 것과 경험한 것의 범위가 한정적이다 보니 작품의 주제 역시 다양하게 나타나지 못하고 춤을 창작하는 연구참여자들 역시 다각화된 참신한 주제 선택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hemes of the Korean creative works they created by applying ‘phenomenolog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10 prospective graduates who are in their fourth year of college. After that, I would like to...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hemes of the Korean creative works they created by applying ‘phenomenolog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10 prospective graduates who are in their fourth year of college. After that, I would like to analyze the psychology of Korean dance creations phenomenologically by analyzing the themes and contents of their works. Methods: Thinking about the skill of the creator of a dance work of reflective practice through reduction, It is the result of review and review. The work was discussed for 4 hours once a week, and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work were grasp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Result: First, if we look at the themes of the 10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re were 2 Korean folktales, 2 expressions of nature, 2 people related to recollection or memories, and 3 people expressing will or wish.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thought of choosing a theme was composed based on the knowledge or activities they actually saw and felt through their life world where dance works were made and performances were performed.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made a creative work with 10 themes through experience, and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work was folk values and naturalism, consolation and recollection of memories, and expression of will. Conclusion: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disappointing that there were not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choices for the subject of Korean creative dance. As the scope of what was learned and experienced was limited, the subject matter of the work did not appear in a variety of ways, and it seems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created the dance to choose a new and diversified the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