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산의 해원상생 관점에서의 개고기 논쟁 = A Debate on Dogmeat from the Perspective of Jeungsan’s Grievance 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8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gmeat i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cuisine tha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out history. However, this matter has emerged as a major point of interest due to the process Korea has undergone in recent times, during which it has become more ope...

      Dogmeat i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cuisine tha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out history. However, this matter has emerged as a major point of interest due to the process Korea has undergone in recent times, during which it has become more open. The tension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eating dogmeat is increasingly as acute as it is impossible to draw social consensus or legal arbitration. In this regard, Kang Jeungsan suggested a “grievance 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as one solution to this contentious situation, which is a practical ethics focused on resolving accumulated grievances and pursuing mutual beneficence. The conflicts that have emerged around the notion of eating dogmeat have been born out of aged-old tradition, however, the present circumstance requires to continually find new ways for new views on value and life. In Jeungsan’s view, as a grievance 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urges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society,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undamentally removing conflicts and clashes among individuals, classes, races, ethnic groups, nations, and civilizations. In this context, grievance resolution then becomes a stepping stone towards suggesting a solution to the conflict over the consumption of dogmeat. If eating dogmeat is comprehended as a unique element of Korean culture, its practice is likely to be justified. Conversely, if it is driven to the point of requiring a radical grievance resolution, the rationale for its practice is weakened, thus positioning the consumption of dogmeat as a subject of avoidance and suspicion. Most Korean people have changed their views on eating dogmeat, as the practice has confronted tremendous adversity both at home and abroad. Accordingly, this research describes a solution for resolving this conflict, in which a certain food or food culture has emerge as a social issue, by suggesting Jeungsan’s concept of a “grievance 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thus reflecting the present perspective. In addition, his thought is applied more broadly throughout this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개고기 식용은 우리나라의 관습적 식문화의 일부로서 오랜 기간 한국인 의 전통음식으로 자리잡아 왔으나 최근 한국사회가 개방성을 띠는 과정에 서 논쟁의 대상으로 부상하였고 찬반간 대...

      개고기 식용은 우리나라의 관습적 식문화의 일부로서 오랜 기간 한국인 의 전통음식으로 자리잡아 왔으나 최근 한국사회가 개방성을 띠는 과정에 서 논쟁의 대상으로 부상하였고 찬반간 대립은 사회적 합의나 법률적 중재 가 어려울 만큼 첨예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강증산이 제 시한 상생은 사회의 첨예한 갈등을 종교적인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는 묵은 원을 풀고 상생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는 실 천윤리인 ‘해원상생’을 갈등 구조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한다. 개고기 식용 논쟁은 인습적 사고의 틀 속에서 잉태되었고,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은 새로 운 시대가 요청하는 새로운 가치관과 새로운 삶의 방식을 끊임없이 모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 통합과 발전을 기하도록 촉구하는 후천시대의 사 회관계로서 증산의 해원상생은 개인, 계급, 민족, 국가, 문명들 간의 충돌과 갈등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해원상생은 개고기 식용 논란의 해법에 교두보를 마련한다. 만약 개고기 식용이 고유한 문화로서 상생적 해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면 존재 가치가 충분하겠지만, 반대로 상극적 해원으로 치닫는다면 그것의 존 재 이유는 설득력을 잃어 의심과 회피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국내외적으로 상당한 도전으로 받고 있는 개고기 식용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역시 이미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대라는 시대적 관점을 반영하여 증산의 해원상생의 교리가 갖는 윤리성이 어떤 음식 또는 음식문 화가 논쟁거리로 부상할 경우 그에 대한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설 명하고 해원상생을 보다 넓은 차원에서 해석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윤오, "흥부전과 조선후기 농민층 분화" 57 : 274-293, 2001

      2 김상훈, "현행 민사법 하에서의 반려동물의 보호가능성" 법학연구소 16 (16): 309-347, 2015

      3 차선근, "현대사회와 무속의례 ― 해원상생굿의 출현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72) : 151-183, 2013

      4 박용철, "해원시대를 전제하는 인존시대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학술원 27 : 135-169, 2016

      5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학술원 4 : 541-568, 1998

      6 박용철, "해원상생의 실현에 대한 고찰" 대순사상학술원 4 : 209-235, 1998

      7 김석, "해원상생과 정신분석의 욕망이론 - 애도를 중심으로 -" 대순사상학술원 28 : 73-102, 2017

      8 안용근, "한국인의 개고기 식용에 대한 인식" 13 (13): 372-378, 2000

      9 조석금, "한국의 개고기 식용정책의 개선방향" 16 (16): 72-83, 2003

      10 강남이, "한국의 개고기 식용의 역사와 문화" 12 (12): 387-396, 1999

      1 최윤오, "흥부전과 조선후기 농민층 분화" 57 : 274-293, 2001

      2 김상훈, "현행 민사법 하에서의 반려동물의 보호가능성" 법학연구소 16 (16): 309-347, 2015

      3 차선근, "현대사회와 무속의례 ― 해원상생굿의 출현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72) : 151-183, 2013

      4 박용철, "해원시대를 전제하는 인존시대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학술원 27 : 135-169, 2016

      5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학술원 4 : 541-568, 1998

      6 박용철, "해원상생의 실현에 대한 고찰" 대순사상학술원 4 : 209-235, 1998

      7 김석, "해원상생과 정신분석의 욕망이론 - 애도를 중심으로 -" 대순사상학술원 28 : 73-102, 2017

      8 안용근, "한국인의 개고기 식용에 대한 인식" 13 (13): 372-378, 2000

      9 조석금, "한국의 개고기 식용정책의 개선방향" 16 (16): 72-83, 2003

      10 강남이, "한국의 개고기 식용의 역사와 문화" 12 (12): 387-396, 1999

      11 안용근, "한국의 개고기 식용의 역사와 문화" 12 (12): 387-396, 1999

      12 정지윤, "한국의 개고기 식용문화에 관한 종교인의 의식 조사 -대순진리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신종교학회 32 (32): 25-62, 2015

      13 안용근, "한국의 개고기 식용 정책의 개선방향" 한국식품영양학회 16 (16): 72-83, 2003

      14 김학선, "한국설화에 나타난 도깨비" 3 : 69-93, 1982

      15 방옥자, "한국 신종교 의례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 - 대순진리회의 치성음식을 중심으로 -" 종교와문화연구소 (26) : 233-259, 2016

      16 이기언, "텍스트와 해석학" 26 : 25-47, 2001

      17 데일리메일, "초복’정치 진흙탕 쌈질 그만 ‥ 국민에게 보신탕 한그릇의 정치를"

      18 민병삼, "증산의 풍수물형과 해원사상" 한국신종교학회 33 (33): 139-170, 2015

      19 허남진, "증산사상과 공공성" 종교와문화연구소 (28) : 87-115, 2017

      20 중앙일보, "중국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개고기 축제 금지해달라’ 청원20만건 돌파"

      21 문수재, "주한 외국인의 한국 식당의 음식및 써비스에 대한 의견조사" 24 (24): 63-73, 1986

      22 정진홍, "종교와 음식문화" 14 : 1-18, 1995

      23 유재경, "종교 경험의 형성과정과 내용의 해석학적 고찰" 41 : 129-152, 2014

      24 한상권, "조선후기 세도가문의 축재와 농민항쟁" 22 : 83-101, 1998

      25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원의 양상과 해원" 대순사상학술원 4 : 447-482, 1998

      26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7 안병국, "잡귀 설화고: 도깨비를 중심으로" 5 : 263-283, 1999

      28 Talbott, William J, "인권의발견" 한길사 2011

      29 장승희, "음식생활에 대한 윤리적 논의와 음식윤리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321-348, 2013

      30 김대군, "윤리적 문화의 기준에 관한 소고" 한국윤리교육학회 (7) : 263-281, 2005

      31 류성태, "원불교 해석학의 방향과 과제" 36 : 211-260, 2013

      32 고진현, "에스닉 푸드의 위험지각과 국가이미지간의 관계 연구" 537-550, 2014

      33 이강원, "애견산업 육성을 위한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34 한국정책학회, "식용견 위생처리를 위한 정책연구 보고서" 2004

      35 심순철, "식용견 문화의 변화와 진화론적 고찰" (사)한국조리학회 24 (24): 122-129, 2018

      36 노길명, "세계화와 “해원상생" 4 : 94-123, 2009

      37 이정덕, "서양의 오만과 개고기" 29 : 22-26, 2002

      38 정화성,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9 (9): 171-194, 2015

      39 경향신문, "삼계탕, 말복 보양식 ‘으뜸"

      40 정진영, "사족과 농민 -대립과 갈등, 그리고 상호 의존적 호혜관계-" 조선시대사학회 (73) : 153-191, 2015

      41 한국경제, "복날의 옥자"

      42 배영동, "복날[伏日] 풍속의 전승과 변화" 실천민속학회 28 : 7-45, 2016

      43 梁玉多, "발해의 몇 가지 음식습관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학회 (42) : 347-363, 2006

      44 김세영, "반려견에 대한 태도와 개의 식용을 설명하는 경로 모델" 한국예방수의학회 35 (35): 139-146, 2011

      45 김종헌, "문화해석과 문화정치" 철학과 현실사 2003

      46 Harris, Marvin, "문화의 수수께끼" 한길사 2012

      47 유명기, "문화상대주의와 반문화상대주의" 1 : 31-56, 1993

      48 김용환, "문화상대론의 한계와 개고기 식용의 문화비평" 10 : 339-354, 2002

      49 서태양, "문화관광론" 대왕사 2002

      50 김혜숙, "문화, 언어, 실재: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한 고찰" 61 : 195-212, 1999

      51 종단역사연구팀, "도전님의 이궁(移宮)이 갖는" 199 : 20-29, 2017

      52 서해숙, "도깨비의 허와 실" 26 : 29-49, 1998

      53 김종대, "도깨비신앙의 유형과 전승양상" 4 : 181-204, 1997

      54 송기태, "도깨비신앙의 양가성과 의례의 상대성 고찰" 남도민속학회 (22) : 169-194, 2011

      55 강오식, "도깨비 민담" 2 : 145-147, 2004

      56 나경수, "대표적인 세시절식(歲時節食)의 주술적 의미" 한국민속학회 67 : 85-116, 2018

      57 차선근, "대순진리회 마음관 연구 서설 - 해원(解冤)과 감응(感應)을 중심으로 -" 한국신종교학회 36 (36): 111-142, 2017

      58 이상호, "대순전경" 동도교 증산교회본부 1965

      59 이경원,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인존론(人尊論)을 중심으로" 12 : 293-327, 2005

      60 김의성, "대순사상(大巡思想)의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 ‘해원상생(解冤相生)’의 이념을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72) : 355-388, 2017

      61 한겨레, "다시 불붙은 개고기 논쟁…뒷전에서 눈치보는 정부"

      62 노컷뉴스, "국민 53.2% ‘개고기 식용 합법화’ 찬성"

      63 변진경, "개를 어찌 먹느냐? 고기 먹을 뿐이다! 또 복날이 온다" 150 : 64-66, 2010

      64 이성기, "개고기의 저장중 지방산화에 관한 연구" 9 : 96-100, 1998

      65 주강현, "개고기와 문화제국주의" 중앙 M&B 2002

      66 한겨레21, "개고기는 남성연대의 상징"

      67 김성한, "개고기 판매에 반대하는 한 소론" 대동철학회 (46) : 47-69, 2009

      68 박종구, "개고기 식용문화는 야만적인가, 아니면 한국 고유 음식문화인가에 대한 문화상대론적 논의" 한국관광학회 41 (41): 217-234, 2017

      69 한겨레, "개고기 식용금지법’ 찬성 40%, 반대 51%"

      70 MBC, "개고기 식용’ 서울 도심 찬반 집회"

      71 박경숙, "개고기 다리와 가슴 근육에서 추출한 근원섬유 단백질의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453-457, 2006

      72 스포츠경향, "개 도살 금지법’ 여론조사, 찬성 44.2% VS 반대 43.7%"

      73 파이낸셜뉴스, "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가구… ‘반려동물 보유현황 및 국민인식조사’"

      74 Polisi, Catherine E, "Universal Rights and Cultural Relativism: Hinduism and Islam Deconstructed" 167 (167): 41-46, 2004

      75 Pelikan, Jaroslav, "The Vindication of Tradition" Yale University Press 1984

      76 Sustein, Cass R, "The Rights of Animals: A Very Short Primer"

      77 Desjardins, Michel, "Teaching about Religion with Food" 7 (7): 153-158, 2004

      78 Matthew Patrick Rowley, "Religion, Hermeneutics and Violence: An Introduction" SAGE Publications 34 (34): 77-90, 2017

      79 Podberscek, Anthony L, "Good to Pet and Eat: The Keeping and Consuming of Dogs and Cats in South Korea" 65 (65): 615-632, 2009

      80 Thomas Hylland Eriksen, "Global citizenship and the challenge from cultural relativism" University of Belgrade 12 (12): 1141-1151, 2017

      81 Poon, Shuk-Wah, "Dogs and British Colonialism: The Contested Ban on Eating Dogs in Colonial Hong" 42 (42): 308-328, 2014

      82 Tosa, Masaki, "Dogs Are Good to Eat, and/or to Pet: The Controversial Dog-eating Custom in Globalized South Korea" 5 : 43-58, 2009

      83 Kim, Rakhyun E, "Dog Meat in Korea: A Socio-Legal Challenge" 14 (14): 201-236, 2008

      84 Avieli, Nir, "Dog Meat Politics in a Vietnamese Town" 50 (50): 59-78, 2011

      85 Herskovits, Melville J, "Cultural Relativism: Perspectives in Cultural Pluralism" Random House 1972

      86 Ramezan Mahdavi Azadboni, "Cultural Relativism and the Realistic Approach of Moral Values" Liceo de Cagayan University 7 (7): 151-162, 2012

      87 Michael F. Brown, "Cultural Relativism 2.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49): 363-383, 2008

      88 McGlory Speckman, "Bible subversion: An ideology critique of the manner and motif behind the use of scriptures by politicians" AOSIS 72 (72): 1-9, 2016

      89 신재영, "88올림픽게임의 관광객을 위한 한국 고유음식의 개발" 8 : 168-183, 1984

      90 문화체육관광부, "2018년 한국의 종교현황" 2018

      91 백승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 성격 - 농민의 관점에서 -" 역사학연구소 (27) : 7-25, 2014

      92 경향신문, "10명 중 9명 복날 보양식 즐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80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