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수업방해 행위 및 방해학생들의 유형과 특징: 중학교 교실 참여관찰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ruption and Disruptive Students: Participant Observation in Middle School Classro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9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중등학교 교실에서 수업방해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야기는 넘쳐나나 사실상 한국에서 그 유형과 특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밝힌 연구는 많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2019...

      많은 중등학교 교실에서 수업방해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야기는 넘쳐나나 사실상 한국에서 그 유형과 특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밝힌 연구는 많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2019년도에 두 학기에 걸쳐 중학교 교실을 참여관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에 대답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질문은 첫째, 중학교 교실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수업방해 행위 및 방해학생들의 유형과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수업을 방해하는 현상의 기저에 무엇이 놓여있는가이다. 연구결과 수업을 방해하는 다양한 행위중에서, 속닥거리기, 놀리기, 소음 만들어 내기와 같이 간단한 주의만으로도 충분히 대응가능한 수업방해가 있는 반면 돌아다니거나 서서 장난치기, 진로방해하기, 교실 이탈하기 등 심각한 수업방해 행위도 있었다. 수업방해 학생들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알아본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으면서 수업을 방해하는 아이들, 학업성취도가 낮으면서 수업을 방해하는 아이들, 관심이 그리워 부정적 방향으로 관심을 끄는 아이들, 가정에서 문제를 들고 온 아이들 등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수업시간에 떠들면서 수업을 방해하는 행위에의 참여는 성적의 높고 낮음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단지 학업성취도에 따른 수업방해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다양한 수업방해 현상의 기저에는 ‘수업의 도구화, 교육의 수단화’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수업의 도구화는 이 연구에서 드러낸 ‘놀면서 공부하기’ 현상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수업의 문화적 성격과 관련된 것으로 이후에 수업방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수업문화 차원에서의 처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과거에 체벌로 통제되던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관계가 민주적으로 변한 오늘날, 이 연구는 교실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수업방해 현상을 그대로 드러냄으로써 향후 수업문화 구축 전략 개발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ruption in South Korea despite a large amount of discourse concerning many students repeatedly interfering with class in secondary schools. Addressing this issue, this study ...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ruption in South Korea despite a large amount of discourse concerning many students repeatedly interfering with class in secondary schools. Addressing this issue, this study sought to answer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by observing middle school classroom teaching over two semesters in 2019.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what the typic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ruption are.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of students engaging in classroom disturbance.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participate in low-level disruption such as chatting with one another, teasing, and making noise, which could be mitigated by a teacher s warning. On the other hand, serious patterns of classroom disruption occur with misbehavior such as wandering, interfering with the teacher s instructional plan, ignoring the teacher s instructions, and leaving the classroom. Thes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several types: high-achiever disengagement, low-achiever disengagement, students with negative attention-seeking behaviors, and students who bring problems from home. In summary, whether to participate in classroom disruption is not always something that has to do with the student s level of achievement;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ways of disrupting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hievement. Overall, students are continuously and invisibly compromising with their teachers during clas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class engagement with relaxation or relaxation with engage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classroom management by revealing what actually occurs in the classroom with respect to classroom disturbance, considering that toda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s more democratic, part of which previously displayed authoritarian control, including corporal punish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수업방해의 유형과 특징 Ⅴ. 논의 및 결론
      •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수업방해의 유형과 특징 Ⅴ.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숙, "한국교육의 종합이해와 미래구상 (Ⅲ):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편" 한국교육개발원 1992

      2 이종태, "한국교육 위기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0

      3 김경진,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교사와 학생의 관계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31-650, 2018

      4 이형빈,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5-51, 2014

      5 이상철, "학생의 수업시간 문제행동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예방과 대응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29, 2015

      6 조한혜정,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7 김정원, "학교는 붕괴하고 있는가: 학교의 일상을 통해 본 학교붕괴의 실체" 한국교육학회 40 (40): 13-298, 2002

      8 김성기,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09-127, 2012

      9 이혁규,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한 교실 붕괴 현상의 이해와 진단" 6 (6): 125-164, 2003

      10 김달효, "중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훈육유형과 훈육효과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 (1): 287-313, 2009

      1 이용숙, "한국교육의 종합이해와 미래구상 (Ⅲ):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편" 한국교육개발원 1992

      2 이종태, "한국교육 위기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0

      3 김경진,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교사와 학생의 관계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31-650, 2018

      4 이형빈,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5-51, 2014

      5 이상철, "학생의 수업시간 문제행동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예방과 대응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29, 2015

      6 조한혜정,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7 김정원, "학교는 붕괴하고 있는가: 학교의 일상을 통해 본 학교붕괴의 실체" 한국교육학회 40 (40): 13-298, 2002

      8 김성기,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09-127, 2012

      9 이혁규,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한 교실 붕괴 현상의 이해와 진단" 6 (6): 125-164, 2003

      10 김달효, "중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훈육유형과 훈육효과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 (1): 287-313, 2009

      11 서민경, "중학생의 학교행복감 변화궤적과 영향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8 (28): 391-416, 2021

      12 김경애, "중학생의 성장과정 분석: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중심으로(Ⅲ)" 한국교육개발원 2018

      13 박현욱,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 교사 열의 및 강압적 훈육 간의 종단적 관계" 교육연구소 18 (18): 563-588, 2017

      14 김성수, "수포자의 수학 학습 포기 경험에 대한 교육과정 사회학적 해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45-169, 2019

      15 성열관, "수업시간에 자는 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딜레마와 대응 유형" 한국교육학회 54 (54): 115-136, 2016

      16 이혜숙, "교육학에서 질적 연구: 학교현장 참여관찰" 23 : 214-227, 2007

      17 조용환, "‘교실붕괴’의 교육인류학적 분석: 학교문화와 청소년문화의 갈등을 중심으로" 3 (3): 43-66, 2000

      18 서덕희,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6 (6): 55-89, 2003

      19 Veerman, G-J.,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diversity and classroom disruption in the context of migration policies" 41 (41): 209-225, 2015

      20 Ben-Peretz, M., "Teacher education for classroom management in Israel: structures and orientations" 22 (22): 133-150, 2011

      21 OECD, "TALIS 2018 technical report" OECD Publishing 2019

      22 OECD, "TALIS 2013 Resul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OECD Publishing 2014

      23 McFadden, M., "Student engagement and the social relations of pedagogy" 23 (23): 357-366, 2002

      24 Munns, G,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self-assessment: the REAL framework" 13 (13): 193-213, 2006

      25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Sage 2009

      26 Bernstein, B.,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and critique" Rowman & Littlefield 2000

      27 Martin, J., "Pedagogy of the alienated: Can Freirian teaching reach working-class students?" 41 (41): 31-44, 2008

      28 OECD, "Creat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First Results from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OECD Publishing 2009

      29 Scherzinger, M., "Classroom disruption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classroom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students and external observers: a multimethod approach" 22 (22): 101-116, 2019

      30 Beaty-O’Ferrall, M., "Classroom Management Strategies for Difficult Students: Promoting Change through Relationships" 41 (41): 4-11,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