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해 양동산성 목간 판독문의 재검토 = Review of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Yangdongsanseong Fortress, Gimh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39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김해 양동산성 목간의 판독문을 재검토하여 내용에 대해 기초적 검토를 가한다.
      1호 목간에서 ‘破日’을 새로 판독해서 외위 彼日의 이표기로 추정하였다. 이 목간은 외위 소지자가 양동산성에 곡물을 납부할 때 사용한 하찰로 생각된다.
      2호 목간은 1번째 글자가 ‘除’자일 가능성을 지적하였고 ‘六十’으로 판독된 글자를 ‘本’자로 보았다. 목간이 파손되어 있어서 구체적인 성격을 알기 어렵지만 麦과 石이 있으므로 곡물 관리와 관련되는 부찰이나하찰로 추정된다.
      3호 목간은 모두 부분을 ‘癸亥年十一月’이라는 날짜 표기로 판독하였다. 1호 목간과 같은 하찰 목간일 가능성이 크다.
      3점의 목간 모두 산성에서의 보리 납부나 관리에 관련된 목간으로 보인다. 날짜를 명기한 것은 대구 팔거산성 목간과 공통되지만 月까지 명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6세기 신라의 날짜 표기를 정리해서 검토한 결과 월 다음에 中을 쓰지 않었던 것은 처음 확인된 사례로 주목된다.
      그리고, 1호와 2호 목간에 나오는 ‘除麦’에 대해 검토하였다. ‘城下麦’과 같은 동사로 사용된 가능성과 ‘稻 米’처럼 탈곡된 것임을 명시하기 위한 표현일 가능성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양동산성 목간은 점수도 적고 판독도 쉽지 않지만, 성산산성 목간이나 팔거산성 목간과는 다른 기재 내용이 있다. 앞으로 새로운 하찰 목간이 나오는 것을 기대하고 같이 검토하는 것을 통해 신라 하찰 목간의 성격을 자세히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신라 지방 제도나 조세제도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김해 양동산성 목간의 판독문을 재검토하여 내용에 대해 기초적 검토를 가한다. 1호 목간에서 ‘破日’을 새로 판독해서 외위 彼日의 이표기로 추정하였다. 이 목간은 외위 소지자...

      이 글은 김해 양동산성 목간의 판독문을 재검토하여 내용에 대해 기초적 검토를 가한다.
      1호 목간에서 ‘破日’을 새로 판독해서 외위 彼日의 이표기로 추정하였다. 이 목간은 외위 소지자가 양동산성에 곡물을 납부할 때 사용한 하찰로 생각된다.
      2호 목간은 1번째 글자가 ‘除’자일 가능성을 지적하였고 ‘六十’으로 판독된 글자를 ‘本’자로 보았다. 목간이 파손되어 있어서 구체적인 성격을 알기 어렵지만 麦과 石이 있으므로 곡물 관리와 관련되는 부찰이나하찰로 추정된다.
      3호 목간은 모두 부분을 ‘癸亥年十一月’이라는 날짜 표기로 판독하였다. 1호 목간과 같은 하찰 목간일 가능성이 크다.
      3점의 목간 모두 산성에서의 보리 납부나 관리에 관련된 목간으로 보인다. 날짜를 명기한 것은 대구 팔거산성 목간과 공통되지만 月까지 명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6세기 신라의 날짜 표기를 정리해서 검토한 결과 월 다음에 中을 쓰지 않었던 것은 처음 확인된 사례로 주목된다.
      그리고, 1호와 2호 목간에 나오는 ‘除麦’에 대해 검토하였다. ‘城下麦’과 같은 동사로 사용된 가능성과 ‘稻 米’처럼 탈곡된 것임을 명시하기 위한 표현일 가능성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양동산성 목간은 점수도 적고 판독도 쉽지 않지만, 성산산성 목간이나 팔거산성 목간과는 다른 기재 내용이 있다. 앞으로 새로운 하찰 목간이 나오는 것을 기대하고 같이 검토하는 것을 통해 신라 하찰 목간의 성격을 자세히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신라 지방 제도나 조세제도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s the letters of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Yangdongsanseong Fortress, and ex amines the rudimentary contents.
      In No. 1 wooden tablet, ‘破日’ was newly deciphered and estimated to be a alternative form of the 彼日.
      This wooden tablet is thought to be a tag used when delivering barley to Yangdongsanseong Fortress.
      In No. 2 wooden tablet, I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letter is the letter ‘除’. The letter de ciphered as ‘六十’ was regarded as ‘本’. Because of the damag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pecific nature of the wooden tablet but since there are 麥 and 石, it is presumed to be a tag related to grain manage ment.
      In No. 3 wooden tablet, the beginning part can be interpreted as the date ‘癸亥年十一月’. It is highly likely that it is a tag similar to No. 1.
      All three wooden tablets appear to be tags related to barley payment or management in the fortress.
      Specifying date is common to the wooden tablets of Daegu Palgeosanseong Fortress, but it is character ized by specifying the mon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ate notation of the 6th century Silla, it is noted that it is the first confirmed case that the ‘中’ was not used after ‘月’.
      In addition, the meaning of 除麦 was reviewed, and two possibilities wer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a verb such as ‘(城)下麦’ and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to state that it was not threshed like ‘稻米’.
      The wooden tablets of Yangdongsanseong Fortress are only three and not easy to decipher, but they have different contents from those of Seongsansanseong Fortress and Palgeosanseong Fortress. It is ex pected that the character of tags of Silla can be known in detail by reviewing it together with new ones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know the Silla local system and tax system in detail.
      번역하기

      This paper reviews the letters of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Yangdongsanseong Fortress, and ex amines the rudimentary contents. In No. 1 wooden tablet, ‘破日’ was newly deciphered and estimated to be a alternative form of the 彼日. This woo...

      This paper reviews the letters of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Yangdongsanseong Fortress, and ex amines the rudimentary contents.
      In No. 1 wooden tablet, ‘破日’ was newly deciphered and estimated to be a alternative form of the 彼日.
      This wooden tablet is thought to be a tag used when delivering barley to Yangdongsanseong Fortress.
      In No. 2 wooden tablet, I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letter is the letter ‘除’. The letter de ciphered as ‘六十’ was regarded as ‘本’. Because of the damag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pecific nature of the wooden tablet but since there are 麥 and 石, it is presumed to be a tag related to grain manage ment.
      In No. 3 wooden tablet, the beginning part can be interpreted as the date ‘癸亥年十一月’. It is highly likely that it is a tag similar to No. 1.
      All three wooden tablets appear to be tags related to barley payment or management in the fortress.
      Specifying date is common to the wooden tablets of Daegu Palgeosanseong Fortress, but it is character ized by specifying the mon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ate notation of the 6th century Silla, it is noted that it is the first confirmed case that the ‘中’ was not used after ‘月’.
      In addition, the meaning of 除麦 was reviewed, and two possibilities wer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a verb such as ‘(城)下麦’ and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to state that it was not threshed like ‘稻米’.
      The wooden tablets of Yangdongsanseong Fortress are only three and not easy to decipher, but they have different contents from those of Seongsansanseong Fortress and Palgeosanseong Fortress. It is ex pected that the character of tags of Silla can be known in detail by reviewing it together with new ones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know the Silla local system and tax system in detai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