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생활 균형을 위한 중소기업 컨설팅 방안 탐색 = Exploration of Consulting Methods for Work-Life Balance at S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93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value and seek the harmonious life between work and life, away from a work-oriented lifestyle. Since 2008, the government has allowed companies to support workers' work-life balance and improve their working culture for ...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value and seek the harmonious life between work and life, away from a work-oriented lifestyle. Since 2008, the government has allowed companies to support workers' work-life balance and improve their working culture for a long time through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and has helped them continue their family-friendly management through follow-up consulting on family-friendly certified companies. This study focused on consulting SMEs with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For SMEs which lack resources compared to large companies, support from outsid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family-friendly system.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Family-Friendly Support Center's 28 consulting reports for 2016-2018 to obtain basic data to explore the consulting direction and strategy for SMEs. As a result, consulting issues were derived based on not only the type of business but also gender ratio, age distribution, marital status, the type of work and occupation of the workers, organization atmosphere. And family-friendly management promotion task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consulting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s for deriving customized management solutions applicable to individual SME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 중심적인 생활양식에서 벗어나 일과 생활 간의 조화로운 삶을 중시하고 추구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2008년부터 가족친화인증을 통해 기업으로 하여금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

      일 중심적인 생활양식에서 벗어나 일과 생활 간의 조화로운 삶을 중시하고 추구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2008년부터 가족친화인증을 통해 기업으로 하여금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고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도록 하고 있으며, 가족친화인증기업에 대한 컨설팅 등의 사후관리를 통해 가족친화경영을 지속하도록 돕고 있다. 본 연구는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중소기업의 컨설팅에 초점을 두었다. 대기업에 비해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으로서는 외부로부터의 지원이 가족친화제도를 정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 대상의 컨설팅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가족친화지원센터의 2016~2018년 3개년의 컨설팅 보고서 28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소기업의 업종, 근로자 구성(성비, 결혼 여부, 연령 등), 직무 및 직종, 조직분위기, 근무환경 등에 따른 일·생활 균형 관련 컨설팅 이슈와 컨설팅 이슈에 대응하는 추진 과제를 도출하게 되었다. 일·생활 균형을 중시하지 않고 가족친화제도 사용이 어려운 기업의 경우에는 최고경영자의 포럼 참석과 중간관리자 대상의 교육을 제안하였으며, 생산직 종사자를 위해서는 유연근무제의 도입 대신에 근무환경 개선을 제안하였다. 고객사의 일정을 따라야 하는 파견직 종사자를 위해서는 연차 사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계약 시 대체인력 사용에 관한 조항을 넣도록 제안하였다. 외근이나 출장이 많거나, 특정 시기에 일이 몰리거나, 근무시간이 일정하지 않은 특성을 갖는 기업의 경우에는 직무 및 직종, 근무 환경에 맞는 유연근무제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여성 직원이 많은 기업에게는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도입을, 고령자가 많은 기업에게는 손자녀출산 지원, 장기근속 포상과 같은 고령자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도입과 더불어 근무환경을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비혼 근로자를 위해서는 여가 및 문화생활 지원 프로그램 운영에 초점을 두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개별 중소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경영 솔루션을 도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소연, "한국의 가족친화 인증제 활성화 방안연구: 독일의 사례와 시사점" 한독사회과학회 20 (20): 63-86, 2010

      2 강민정, "중소기업의 여성인력활용제도 정착 및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 : 경력개발과 일가정 양립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3 장영순,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영역의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247-264, 2014

      4 구상욱, "중소기업 지원체계 재설계를 위한 컨설팅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229-246, 2014

      5 황경진, "중소기업 일·생활 균형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2018

      6 최수찬,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 - 가정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소 13 (13): 141-176, 2016

      7 김미영,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301-311, 2018

      8 고용노동부, "잘 나가는 기업, 비법은 유연근무제"

      9 김영옥,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2017)" 고용노동부 2017

      10 강민정, "육아휴직자 관리지원을 위한 중소기업 맞춤형 모델 개발" 여성가족부 2017

      1 원소연, "한국의 가족친화 인증제 활성화 방안연구: 독일의 사례와 시사점" 한독사회과학회 20 (20): 63-86, 2010

      2 강민정, "중소기업의 여성인력활용제도 정착 및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 : 경력개발과 일가정 양립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3 장영순,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영역의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247-264, 2014

      4 구상욱, "중소기업 지원체계 재설계를 위한 컨설팅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229-246, 2014

      5 황경진, "중소기업 일·생활 균형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2018

      6 최수찬,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 - 가정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소 13 (13): 141-176, 2016

      7 김미영,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301-311, 2018

      8 고용노동부, "잘 나가는 기업, 비법은 유연근무제"

      9 김영옥,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2017)" 고용노동부 2017

      10 강민정, "육아휴직자 관리지원을 위한 중소기업 맞춤형 모델 개발" 여성가족부 2017

      11 고은정, "유연근무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동기 및 개인, 조직, 직무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7 (17): 87-101, 2017

      12 권안나, "울산지역 근로자의 ʻ쉼ʼ 있는 삶을 위한 가족친화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가족친화인증기업(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3 (23): 83-97, 2019

      13 문은영, "서울시 중소기업 저출산 대응 가족친화제도 지원방안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09

      14 김원정, "서울시 중소기업 일생활균형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8

      15 권혜원,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유연근무제와 일-생활 균형: 제도의 실효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9 (19): 71-99, 2016

      16 "가족친화지원사업"

      17 유계숙,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징"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249-270, 2008

      18 전종근, "가족친화제도 활용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인증기업을 대상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7 (27): 175-196, 2017

      19 성민정,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의 영향요인 : 제도적 동형화와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20 김선미, "가족친화인증제도 검토를 위한 미인증기업의 가족친화문화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1 (21): 161-182, 2017

      21 홍승아, "가족친화인증제 운영의 기업업종별 특수성 반영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22 이유리, "가족친화 인증후 컨설팅사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2 (22): 1-21, 2018

      23 여성가족부, "2020년 가족친화 컨설턴트 보수교육"

      24 여성가족부, "2018년 가족친화 컨설턴트 1차 보수교육"

      25 여성가족부, "2016년 가족친화인증 심사원 양성교육"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6 0.78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