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60년을 기점으로 산업화 사회로 전환되면서 주거 및 생활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가져왔다.많은 변화의 요인 중 노인인구 증가는 2000년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인구의 7.25%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015759
진주 :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 건축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경상남도
; 26cm
지도교수 :김근성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1960년을 기점으로 산업화 사회로 전환되면서 주거 및 생활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가져왔다.많은 변화의 요인 중 노인인구 증가는 2000년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인구의 7.25%를 ...
우리나라는 1960년을 기점으로 산업화 사회로 전환되면서 주거 및 생활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가져왔다.많은 변화의 요인 중 노인인구 증가는 2000년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인구의 7.25%를 초과하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급속하게 진행되어 2026년에는 20%를 초과하여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노인문제는 사회환경의 핵심적 사안으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와 물리적 지원을 통한 건전한 생활환경을 제공하여 사회의 소외계층이 아닌 동반자적인 위치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한다. 특히 거주상황이 핵가족화를 이루면서 가족애의 상실 , 비인간화 현상이 만연하여 노인들이 갈 곳을 잃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노인 인구의 여가활동 욕구를 충족시키고 따뜻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경로당시설을 중심으로 보다 나은 여가생활을 하기 위한 시설을 만드는 것이 본 연구의 우선 목적이다.
기존의 경로당에서의 여가활동은 노인들의 취미생활과 사회활동을 충족시키기보다는 단순한 시간 보내기 정도만을 제공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고 공간 또한 한정적으로 되어있어 다양한 여가생활을 하기에는 어렴움이 있다. 그리고 노인들은 농촌에서 태어나 성장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농작물 재배, 화초 가꾸기등 외부에서 하는 여가생활을 원하므로 내부공간도 중요하지만 외부공간을 조화롭게 배치, 계획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노인문제는 지역에 따라 그 성격을 달리함으로 본 연구에서는 경상 남도 사천시에 소재한 48개소의 경로당을 조사하고 조사방법은 관찰조사, 면담, 설문지, 도면분석을 통하여 그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경로당의 이용실태와 개선방안을 위한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사용자인 노인의 노화에 따른 노인의 신체, 사회, 심리적 특성과 노인여가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고 노인여가 복지시설의 종류와 경로당 시설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각 경로당시설 현황과 설문을 통한 요구사항 그리고 시설공간의 유형과 이용현황분석, 사례별문제점, 공간구성의 다양하지 못한 한정적인문제 등을 지적하고 고려하여 건축계획적 공간구성에 맞게 시설의 다양한 실구성, 다목적실(취미실, 작업실) 추가, 노인의 안정성·편리성확보, 외부생활과 소득활동등이 가능한시설개선, 노인과 어린이의 보완적연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천시 경로당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획일화된 기존 경로당의 시설을 지역적 특수성이 반영된 다양한 실구성을 통하여 이용자의 욕구충족이 가능한 시설로 계획한다. 각 지역마다의 문화나 생활환경등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경로당의 공간프로그램이나 요구조건에서의 내용을 충족시키는 외에도 지역의 용도에 맞는 시설로서의 면모를 갖춘 계획설계가 되도록 하여야 하겠다. 또한 경로당 계획에 있어서 지역의 다양한 전문가들의 깊은 관심과 참여가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이며 전문화된 시설을 계획토록 함께 노력해야 할것이다.
둘째, 다목적실(취미실, 작업실 등)을 추가하여 이용자 중심의 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시설유형의 개선에 따라 기능실의 추가로 인하여 시설증설을 통한 시설규모 확충이 필요하며 시설유형이 단순하고 시설규모상 상대적으로 취약한 오래된 경로당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시설유형의 개선과 더불어 시설규모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내부공간을 실속있는 공간외에 여가활동을 반영할 수 있는 다목적실등을 확충하여 노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겠다.
셋째, 노인이 이용하기에 안전한 시설기준(경사로, 바닥재, 손잡이, 화장실 등)을 확보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을 갖춘 쾌적한 노인시설이 되도록 계획한다.
2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존 경로당 시설은 별도의 피난계단 및 경사로 및 피난발코니를 설치하며 기존 경로당 수직증설시 노인 재난시 피난을 고려한 시설구성을 통하여 노인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또한 경로당을 이용함에 있어 경로당의 위치선정에도 중점을 두어 도보의 이동에서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완만한 경사로, 미끄럼방지 대책이 충분히 고려된 바닥재, 안전손잡이 등 안전장치를 설치해서 노인들의 신체리듬에 맞게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외부공간의 적극적인 제공으로 휴식, 운동 및 공동작업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하여 동적인 외부생활과 소득활동 등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경로당의 대부분이 대지공간확보의 미흡으로 인한 동적인 활동공간에 취약하다. 야외에서의 휴식이나 운동공간 및 공동작업등을 설치하여 외부공간에서의 건전하고 생산적이며 건강에도 유익한 장소가 되기 위한 일환으로 노인들에게 사회참여 활동과 여가시간을 무료하지 않게 다양한 활동이 가능토록 외부공간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것이다.
다섯째, 노인과 어린이의 보완적 연계를 위해 어린이공부방과 놀이방등의 다목적용도의 실을 운영하여 세대간 유기적인 인간관계 형성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욕구를 충족시키고 여가를 보람있게 하며 풍부한 인생 경험을 살려 경로당을 공부방으로 운영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실로서의 변화도 필요하다. 노인이나 어린이는 서로 보완적이고 상생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할 기회를 많이 만들어 유기적인 인간관계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외국에 비해 단지 내 시설이 단조롭고 노인에 대한 배려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외국의 경우 건강 보조시설이나 사회활동, 노인교육훈련 프로그램, 오락문화활동 등 여러 가지 취미그룹이나 시설이 있다. 그리고 외부공간은 입주자와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이나 각종 이벤트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이웃과의 교류의장이 마련되어 있고 그리고 나무와 그늘이 많은 옥외광장이나 정원, 폭포, 연못 등 노인들이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활발한 사회참여로 인해 노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고 삶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며 자신들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보람있게 살아갈수 있게 하여야 한다. 노인들의 풍부한 경험과 지혜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일원이 될수 있도록 사회참여를 촉진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런시설을 확충·개선하더라도 중앙부서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의 관심이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경로당 시설은 시설의 관리 및 이용률이 저하되어 노인의 원활한 여가활동 및 친목을 위한 공간으로서는 아직까지도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적극적으로 개선의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며 특별한 기준없이 시설과 환경만을 개선할 것이 아니라 노인들의 행태가 고려된 시설로 계획되어야 한다. 이러한 접근에서 경로당 시설을 개선하여 지역사회 내 문화 및 여가의 거점시설로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의 신체적 특성뿐만 아니라 행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공간을 보다 합리적이고 융통성 있게 계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 Korea was changed to the industrial society from 1960, it brought about rapid changes in housing and life environment. Among factors of the changes, as elderly population over 65 exceeded 7.25% of total population, we went into an aging society, and...
s Korea was changed to the industrial society from 1960, it brought about rapid changes in housing and life environment. Among factors of the changes, as elderly population over 65 exceeded 7.25% of total population, we went into an aging society, and it was unprecedentedly processed and it is expected to excess 20% in 2026 and go into a super-aged society. The elderly problem is a key issue, and they should be taken care of to live as a companion not a social alienated class by understating their life style and providing sound life environment.
Among contents analyzed through a sampling, senior citizen halls that were possible to be reflected as a construction space were presented by means of a space plan, and those that should be presente as a program for facility operation were presented by means of the program.
First, the study planned to change existing uniform senior citizen halls to the facilities satisfying users through diverse constructions of halls reflecting local specialty.
Second, it planned to support user-oriented leisure activities by adding multipurpose rooms(leisure room, workroom, etc).
Third, it planned to make clean senior facilities with safety and convenience by securing safe facility standards(ramp, flooring, floor-coverings, handle, restroom, etc) for old people to use.
Fourth, it planned to make dynamic outdoor living and income activities possible by providing the outdoor space with active support to make smooth rest, exercising, and co-work.
Fifth, it planned to create organic human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 and children.
Senior citizen halls started as the facilities for senior leisure satisfying local old people’s diverse desires, and it will be alternative facilities to solve elderly problems in a super-aged society because they are expected to be in comprehensive and multipurpose senior center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on senior citizen halls are the issue connected to elderly problems, and it should be a plan to solve problems of a super-aged society through constant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