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규모 공공시설 개발 사업지의 생태적 복원 연구 - 고양시 일산정수장 조성예정지를 사례로 - = Ecological Restoration Plan for a Small Scale Public Construction Area - A Case Study on Ilsan Water Treatment Plant, Goyang-Si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6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apply suitable natural ecosystem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develop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ways to build substitute habitats as a compensation plan for damaged soundly natural ecosystems in small-scale pro...

      This research is to apply suitable natural ecosystem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develop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ways to build substitute habitats as a compensation plan for damaged soundly natural ecosystems in small-scale projects such as resource recovery facility, filtration, etc. The environmental ecology evaluation i.e. generally based on their actual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wildlife, water system survey were measured the primary plans for reflecting unique natural environment level of sit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serve the land in fallow type of wetland, good conservative condition of deciduous forest, wetlanded watercourse for amphibia and reptiles crossing. However, the plan of filtration plant was destroyed wetland(sound ecosystem), natural forest, asian toad spawning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t schemed to build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plan to healthy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as compensation plan. The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are not only created a various water levels like depth of water is $0{\sim}30cm,\;30{\sim}60cm$, more than 1.5m but also it leads to asian toad spawning and wildlife inhabitant. Moreover, the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be applied to use the Quercus acutissima forest resources(114 upper trees, 71 canopy trees, 401 shrubs) and surface soil$(5,072m^3)$ in ecology creation se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전오, "환경친화적인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3

      2 양서영, "한국의 양서류" 아카데미서적 2001

      3 류순호, "토양학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 이수동,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획 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22-38, 2007

      5 김정호,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환경성검토 강화방안" 서울시립대학교 2001

      6 곽혜란, "참억새 및 수크령의 광도차에 따른 생육변화 및가스교환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7 (7): 110-115, 2004

      7 강인구, "자연생태계의 현황과 관리" 5 (5): 7-20, 1996

      8 오구균, "자생 수목 그루터기를 이용한 자연식생복원 녹화공법 연구(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6 (6): 28-39, 2003

      9 박미영, 김귀곤, 주영우, 임유라, "유휴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습지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9 (9): 1-15, 2006

      10 권기진, "습지식물의 적정 서식 환경 : 1. 줄과 애기부들"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72-88, 2006

      1 권전오, "환경친화적인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3

      2 양서영, "한국의 양서류" 아카데미서적 2001

      3 류순호, "토양학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 이수동,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획 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22-38, 2007

      5 김정호,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환경성검토 강화방안" 서울시립대학교 2001

      6 곽혜란, "참억새 및 수크령의 광도차에 따른 생육변화 및가스교환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7 (7): 110-115, 2004

      7 강인구, "자연생태계의 현황과 관리" 5 (5): 7-20, 1996

      8 오구균, "자생 수목 그루터기를 이용한 자연식생복원 녹화공법 연구(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6 (6): 28-39, 2003

      9 박미영, 김귀곤, 주영우, 임유라, "유휴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습지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9 (9): 1-15, 2006

      10 권기진, "습지식물의 적정 서식 환경 : 1. 줄과 애기부들"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72-88, 2006

      11 이경재, "서울 남산도시자연공원의 비오톱 구조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 32 (32): 102-118, 2004

      12 이은엽, "생태연못 조성공법 적용후의 자연생태 변화분석" 4 (4): 1-15, 2001

      13 홍선기, "생태복원공학-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과 관리-" 라이프사이언스 2005

      14 안홍규, "생태공학" 청문각 2003

      15 최송현, "산림생태계의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녹지의 자연성평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996

      16 이은희, "빗물을 이용한 소규모 생태연못 및 습지 모형 개발" 4 (4): 92-100, 2001

      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2002

      18 구본학, "목논에 형성된 자운늪의 유현분류 및 기능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6 (6): 65-70, 2003

      19 김종식, "리조트 개발에 의한 산림훼손예정지역의 생태적 대체기법 연구- 원주시 월송리 오크밸리 리조트를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2006

      20 서울특별시,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245-, 2000

      21 김귀곤, "도시림 복원 및 관리 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원식생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을 중심으로-" 3 (3): 27-37, 2000

      22 양병이,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사능성 평가지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27-48, 2002

      23 최진우, "녹지축의 야생조류 이동과 서식처 기능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24 김종원,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2004

      25 최기철, "기초생태학" 향문사 1973

      26 국토연구원,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체계의 연계방안 연구"

      27 양홍모, "고수부지에 조성한 수질정화 자유수면습지의 초기운영단게 질소제거" 6 (6): 41-48, 2003

      28 구본학, "건설관리 사업의 생태보전 및 복원 전략 -댐 사업을 중심으로-" 7 (7): 1-13, 2004

      29 葉山嘉一, "都市綠地における鳥類の生息特性に關する硏究" 57 (57): 229-234, 1994

      30 長田光世, "生態環境のまちづくり. In三船康道,まちづくりコラボレ-ション. まちづくりキ-ワ-ド事典" まちづくりキ-ワ-ド事典 188-201, 1997

      31 김민배, "沿岸에서의 Mitigation 적용상의 문제점과 법적과제"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519-548, 2004

      32 박종민, "日本 九州大 新캠퍼스 개발지구에 적용된 開發毁損지의 原生林 復元技術에 관한 考察"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5 (5): 50-57, 2002

      33 金子繁則, "テレメトリー法によるアズマキガエルの繁殖後の分散に관すゐ硏究" 13 (13): 139-153, 1990

      34 나정화, "·독간의 자연환경보전법 비교분석 Ⅰ" 5 (5): 69-91, 1997

      35 Wittig, R, "quick method for assessing two importance of openspace in town for urban nature conservation" 26 : 57-64, 1983

      36 Helliwell, D. R., "Valuation of wildlife resources" 3 : 41-47, 1969

      37 McIntosh, R. P., "The Background of Ecology-Concept and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8 Ronald, E. B, "Mastering NEPA: A Step by Step Approach" Solano Press Books 244p-, 1993

      39 김혜주, "Hemeroby를 이용한 자연환경평가 및 환경계획-LG빌리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12 (12): 253-258, 1998

      40 Wade, G. L., "Grass competition and setablishment of native species from forest soil seed banks. Landscape urban in the soil" 78 (78): 1079-1093, 1989

      41 Kirby, K., "Forest and woodland evaluation. In:Wildlife Conservation Evaluation" Chapman and Hall Ltd 201-222, 1986

      42 Ratcliffe, D. A,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nature reserves" 27 : 294-290, 1971

      43 Iverson, L. R, "Buried, viable seeds and their relation to revegetation after surface mining" 35 (35): 648-652, 1982

      44 Sukopp, H, "Biotopkartierung im besiedelten bereich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8 (18): 25-38,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