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생 인식에 근거한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플립 러닝 활용 방안 = A Study on the Utilization Methods of Flip Learning in University Writing Class Based on Student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8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 examples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and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ed a pilot case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and conducted on the survey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application in university writing class.
      The flipped learning class, which was pilot-operated in this study, provided a total of 7 lessons of learning video, and was conducted in the manner of peer feedback during class.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se flipped learning methods and responded that it helped them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s writing courses, many students felt burdened by having to take part in separate pre-learning sessions in addition to carrying out their assig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reduce the burden of students on participation in pre-learn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learning videos should be produced for more than 10 to less than 20 minutes, and with content that students can use both before and after class. It also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feel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class, including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that help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during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effects and problems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based on student perception result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di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effects of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but also suggested ways to improve 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writing subjec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 examples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and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ed a pilot case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and conducted on the survey t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 examples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and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ed a pilot case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and conducted on the survey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application in university writing class.
      The flipped learning class, which was pilot-operated in this study, provided a total of 7 lessons of learning video, and was conducted in the manner of peer feedback during class.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se flipped learning methods and responded that it helped them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s writing courses, many students felt burdened by having to take part in separate pre-learning sessions in addition to carrying out their assig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reduce the burden of students on participation in pre-learn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learning videos should be produced for more than 10 to less than 20 minutes, and with content that students can use both before and after class. It also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feel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class, including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that help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during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effects and problems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based on student perception result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di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effects of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but also suggested ways to improve 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writing subj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지니,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59-87, 2016

      2 김경애, "플립러닝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방법모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21-30, 2016

      3 이민경,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4 정주영,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5-235, 2017

      5 성민경, "플립러닝 :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6 엄성원,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모형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5) : 73-97, 2016

      7 김양희,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7) : 323-352, 2015

      8 신나리, "이러닝의 미래-강의실 변화 꿈꿔" 한국대학신문

      9 안미리,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한 플립 러닝 수업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과 요인"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9 (19): 114-136, 2016

      10 임정훈,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09-836, 2016

      1 전지니,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59-87, 2016

      2 김경애, "플립러닝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방법모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21-30, 2016

      3 이민경,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4 정주영,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5-235, 2017

      5 성민경, "플립러닝 :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6 엄성원,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모형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5) : 73-97, 2016

      7 김양희,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7) : 323-352, 2015

      8 신나리, "이러닝의 미래-강의실 변화 꿈꿔" 한국대학신문

      9 안미리,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한 플립 러닝 수업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과 요인"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9 (19): 114-136, 2016

      10 임정훈,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09-836, 2016

      11 정윤희, "수업시간 강의가 사라진다" 한국대학신문

      12 유해준, "동료평가를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평가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46) : 127-146, 2015

      13 김현정, "대화주의적 관점에서의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수정 방법과 의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18): 547-575, 2017

      14 김세영, "대학수업에서 적용된 플립러닝의 만족도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자기결정성 동기, 몰입의 예측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91-109, 2017

      15 염민호, "대학 ‘글쓰기 센터’의 학부생 상담원이 인식하는 피드백의 가치와 효과" 한국작문학회 (25) : 157-189, 2015

      16 김지선, "글쓰기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72) : 557-586, 2014

      17 Bergmann, J., "거꾸로교실: 진짜 배움으로 가는 길" 에듀니티 2015

      18 이민경, "거꾸로교실, 잠자는 아이들을 깨우는 수업의 비밀" 살림터 2015

      19 The Flipped Learning Global Initiative, "The Flipped Learning Global Initiative 홈페이지"

      20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학습혁신센터, "Education 4.0 소개"

      21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학습혁신센터, "Education 3.0 – 프로그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양교육연구소 ->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 Da Vinci Mira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