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지니,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59-87, 2016
2 김경애, "플립러닝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방법모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21-30, 2016
3 이민경,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4 정주영,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5-235, 2017
5 성민경, "플립러닝 :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6 엄성원,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모형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5) : 73-97, 2016
7 김양희,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7) : 323-352, 2015
8 신나리, "이러닝의 미래-강의실 변화 꿈꿔" 한국대학신문
9 안미리,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한 플립 러닝 수업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과 요인"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9 (19): 114-136, 2016
10 임정훈,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09-836, 2016
1 전지니,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59-87, 2016
2 김경애, "플립러닝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방법모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21-30, 2016
3 이민경,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4 정주영,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5-235, 2017
5 성민경, "플립러닝 :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6 엄성원,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모형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5) : 73-97, 2016
7 김양희,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7) : 323-352, 2015
8 신나리, "이러닝의 미래-강의실 변화 꿈꿔" 한국대학신문
9 안미리,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한 플립 러닝 수업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과 요인"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9 (19): 114-136, 2016
10 임정훈,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09-836, 2016
11 정윤희, "수업시간 강의가 사라진다" 한국대학신문
12 유해준, "동료평가를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평가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46) : 127-146, 2015
13 김현정, "대화주의적 관점에서의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수정 방법과 의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18): 547-575, 2017
14 김세영, "대학수업에서 적용된 플립러닝의 만족도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자기결정성 동기, 몰입의 예측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91-109, 2017
15 염민호, "대학 ‘글쓰기 센터’의 학부생 상담원이 인식하는 피드백의 가치와 효과" 한국작문학회 (25) : 157-189, 2015
16 김지선, "글쓰기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72) : 557-586, 2014
17 Bergmann, J., "거꾸로교실: 진짜 배움으로 가는 길" 에듀니티 2015
18 이민경, "거꾸로교실, 잠자는 아이들을 깨우는 수업의 비밀" 살림터 2015
19 The Flipped Learning Global Initiative, "The Flipped Learning Global Initiative 홈페이지"
20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학습혁신센터, "Education 4.0 소개"
21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학습혁신센터, "Education 3.0 –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