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일상생활과 '문화 아카이빙' = 'Cultural Archiving' of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5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out the 70 years of division,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s accelerat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rchive of the everyday life of North Korean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North. Here, everyday life is defined as social space where various practices and actions of individuals intersect with the social structure including institutions, social control, norms, and ord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pply this concept of everyday life to design an archive-building model rich in evidence and memories of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To this end, a methodolo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 life is needed, which is called ‘cultural archiving’. By applying the ‘cultural archiving’ methodology, a model that includes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building everyday life archives in North Korea is proposed. This also investigates how each build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hrough actual example(a database of life, culture, and histor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actual case (“Database of Living History and Culture in North Korea for the Foundation of Unified Korea”) is investigated as to how each construction procedure could be applied.
      번역하기

      Throughout the 70 years of division,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s accelerat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rchive of the everyday life of North Korean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North. Here, everyday life is define...

      Throughout the 70 years of division,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s accelerat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rchive of the everyday life of North Korean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North. Here, everyday life is defined as social space where various practices and actions of individuals intersect with the social structure including institutions, social control, norms, and ord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pply this concept of everyday life to design an archive-building model rich in evidence and memories of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To this end, a methodolo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 life is needed, which is called ‘cultural archiving’. By applying the ‘cultural archiving’ methodology, a model that includes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building everyday life archives in North Korea is proposed. This also investigates how each build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hrough actual example(a database of life, culture, and histor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actual case (“Database of Living History and Culture in North Korea for the Foundation of Unified Korea”) is investigated as to how each construction procedure could be appl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분단 70년을 거치며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 대한 장기적인 아카이브 구축은 북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상생활을 "제도, 사회통제, 규범, 질서 등의 사회구조적 측면과 개인의 다양한 실천과 행위가 교차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일상생활의 개념을 적용하여 북한 일상생활에 관한 증거와 기억이 풍부하게 담긴 아카이브 구축 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상생활의 특징을 반영한 방법론이 필요한데, 이를 '문화 아카이빙’이라고 명명하고 그 핵심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 일상생활 아카이브 구축의 원칙과 절차가 포함된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구축 절차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실제 사례(북한 생활·문화·역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분단 70년을 거치며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 대한 장기적인 아카이브 구축은 북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

      분단 70년을 거치며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 대한 장기적인 아카이브 구축은 북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상생활을 "제도, 사회통제, 규범, 질서 등의 사회구조적 측면과 개인의 다양한 실천과 행위가 교차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일상생활의 개념을 적용하여 북한 일상생활에 관한 증거와 기억이 풍부하게 담긴 아카이브 구축 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상생활의 특징을 반영한 방법론이 필요한데, 이를 '문화 아카이빙’이라고 명명하고 그 핵심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 일상생활 아카이브 구축의 원칙과 절차가 포함된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구축 절차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실제 사례(북한 생활·문화·역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문원,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한국기록학회 (42) : 287-326, 2014

      2 오웰, 조지, "코끼리를 쏘다: 조지 오웰 산문선" 실천문학사 2003

      3 베커, 하워드 S., "증거의 오류" 책세상 2020

      4 오경환, "조경공간의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 김종욱,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248-291, 2010

      6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한울 2010

      7 조정아,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한울아카데미 397-431, 2010

      8 고유환,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27-49, 2015

      9 양문수,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109-137, 2015

      10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2015

      1 설문원,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한국기록학회 (42) : 287-326, 2014

      2 오웰, 조지, "코끼리를 쏘다: 조지 오웰 산문선" 실천문학사 2003

      3 베커, 하워드 S., "증거의 오류" 책세상 2020

      4 오경환, "조경공간의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 김종욱,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248-291, 2010

      6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한울 2010

      7 조정아,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한울아카데미 397-431, 2010

      8 고유환,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27-49, 2015

      9 양문수,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109-137, 2015

      10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2015

      11 박순성,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138-169, 2015

      12 조정아,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한울 170-197, 2015

      13 최완규,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46-70, 2003

      14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2003

      15 황진태,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9 (29): 118-156, 2019

      16 오창은, "북한 연구에서 북한 문화연구로" 96 : 38-56, 2018

      17 남근우, "북한 시장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대항문화인가, 하위문화인가" 인문학연구원 58 : 163-194, 2014

      18 이화연, "밀양 고압 송전선로 건설 갈등에 대한 일간지 보도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비판사회학회 (98) : 40-76, 2013

      19 김주관,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9 (9): 447-483, 2006

      20 설문원,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 15 (15): 151-171, 2015

      21 설문원,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32) : 3-44, 2012

      22 설문원, "로컬리티 기록콘텐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3 (43): 317-342, 2012

      23 윤은하,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6 (16): 57-79, 2016

      24 류은영,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 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 인문콘텐츠학회 (14) : 229-262, 2009

      25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2002

      26 설문원,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 23 (23): 437-455, 2012

      27 최효진,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46) : 95-152, 2015

      28 Bastian, Jeannette, "‘Play Mas’: Carnival in the Archives and the Archives in Carnival: Records and Community Identity in the US Virgin Islands" 9 : 113-125, 2009

      29 Anderson, Kimberly, "The Footprint and the Stepping Foot: Archival Records, Evidence, and Time" 13 : 349-371, 2013

      30 Shilton, Katie, "Participatory Appraisal and Arrangement for Multicultural Archival Collections" 63 : 87-101, 2007

      31 Cunningham, Adrian, "Dynamic Descriptions: Recent Developments in Standards for Archival Description and Medadata" 25 (25): 3-17, 2000

      32 Hedstrom, Margaret,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Libraries Unlimited 163-180, 2010

      33 Millar, Laura, "A Matter of Facts: The Value of Evidence in an Information Age" ALA Neal-Schuman 2019

      34 김원,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 1-3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