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elationship between migraine and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in Korea : the necessity of further evaluation of gluten sensitivity in Eastern coun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5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positive relevance between migraine and NCGS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in Korea. Also, the effect of GFD (gluten free diet) on migraineurs will be assessed.
      Backgrou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graine and NCGS is raising its reasonability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1) The migraine brain is genetically hyperactive. 2) On the concept of the brain-gut axis, indigestible gluten causes chronic inflammation and activates the neuronal signaling of ENS. 3) Migraineurs commonly suffer from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most gluten sensitive patients have headache. Therefore, it had been reported in Western countries that GFD improved patients who had both migraine and NCGS.
      Methods: Migraineurs were recruited from neurology outpatient clinics in Kore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2016 and August 2016.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their headache characteristics (frequency, average intensity, triggering factor), gastrointestinal symptoms (using ROME Ⅲ criteria of IB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wheat diet pattern. 36 migraineurs who ingests wheat and have IBS were educated to avoid gluten for 1 month. The follow-up 16 patients answered the second questionnaire. The authors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the SRWIH (self-reported wheat induced headache) group and IBS group. The analysis was done on their headache characteristics and if the symptoms improved after GFD.
      Results: Among the 36 patients, 6 (17%) patients had SRWIH, 20 (56%) patients had IBS, and 14 patients (14%) had both SRWIH and IBS. The SRWIH group had more frequent headache (p=0.094) and higher frequency plus intensity score (p=0.086). The SRWIH/IBS group had more frequent headache (p=0.012) and higher frequency plus intensity score (p=0.008). Among the 16 follow-up patients, 4 patients succeeded in avoiding. 2 patients were SRWIH, and the other 2 patients were non-SRWIH but had IBS. All 4 patients who succeeded in GFD were improved, and among the 12 failed patients only 1 patient improved.
      Discussion: More frequent and intense headache happens if the patient has SRWIH and IBS. GFD will be effective to those patients. This study supports the established hypothesis of the positive relevance between migraine and NCGS. On the other hand, it raises a question on the conventional belief of GRD (gluten related disorders) as a Western genetic disease. Undiagnosed gluten sensitivity might exist in Korea and further evaluation is required.
      번역하기

      Objective: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positive relevance between migraine and NCGS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in Korea. Also, the effect of GFD (gluten free diet) on migraineurs will be assessed. Background: The correlation ...

      Objective: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positive relevance between migraine and NCGS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in Korea. Also, the effect of GFD (gluten free diet) on migraineurs will be assessed.
      Backgrou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graine and NCGS is raising its reasonability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1) The migraine brain is genetically hyperactive. 2) On the concept of the brain-gut axis, indigestible gluten causes chronic inflammation and activates the neuronal signaling of ENS. 3) Migraineurs commonly suffer from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most gluten sensitive patients have headache. Therefore, it had been reported in Western countries that GFD improved patients who had both migraine and NCGS.
      Methods: Migraineurs were recruited from neurology outpatient clinics in Kore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2016 and August 2016.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their headache characteristics (frequency, average intensity, triggering factor), gastrointestinal symptoms (using ROME Ⅲ criteria of IB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wheat diet pattern. 36 migraineurs who ingests wheat and have IBS were educated to avoid gluten for 1 month. The follow-up 16 patients answered the second questionnaire. The authors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the SRWIH (self-reported wheat induced headache) group and IBS group. The analysis was done on their headache characteristics and if the symptoms improved after GFD.
      Results: Among the 36 patients, 6 (17%) patients had SRWIH, 20 (56%) patients had IBS, and 14 patients (14%) had both SRWIH and IBS. The SRWIH group had more frequent headache (p=0.094) and higher frequency plus intensity score (p=0.086). The SRWIH/IBS group had more frequent headache (p=0.012) and higher frequency plus intensity score (p=0.008). Among the 16 follow-up patients, 4 patients succeeded in avoiding. 2 patients were SRWIH, and the other 2 patients were non-SRWIH but had IBS. All 4 patients who succeeded in GFD were improved, and among the 12 failed patients only 1 patient improved.
      Discussion: More frequent and intense headache happens if the patient has SRWIH and IBS. GFD will be effective to those patients. This study supports the established hypothesis of the positive relevance between migraine and NCGS. On the other hand, it raises a question on the conventional belief of GRD (gluten related disorders) as a Western genetic disease. Undiagnosed gluten sensitivity might exist in Korea and further evaluation is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표: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에서 편두통과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 간 상호관련성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글루텐 제한식이 편두통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한다.
      배 경: 서양 국가에서 편두통과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은 다음의 근거들을 토대로 상호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 편두통성 뇌는 유전적으로 항진되어 있다. 2) 뇌-장축 이론에 따르면 소화되지 않은 글루텐은 장내 만성 염증을 일으키고 장신경계의 신경전달을 활성화시킨다. 3) 편두통 환자들은 대부분 위장증상을 동반하며,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두통이다. 따라서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을 동반한 편두통 환자에서 글루텐 제한식이 증상을 호전 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방 법: 2016년 4월 ~ 8월에 구로병원 신경과 외래로 내원한 편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두통의 양상 (빈도, 평균 강도, 유발 인자), 소화기 증상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여부), 그리고 밀 섭취 양상을 설문하였다. 밀을 섭취하며,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기준에 맞는 36명의 편두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1개월 간 글루텐 제한식을 진행하였다. 글루텐 제한식 후 16명의 환자를 추적할 수 있었다. 환자들을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과 ‘과민대장증후군 군’으로 나누어 그들의 두통 양상과 글루텐 제한식 후 호전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 과: 36명의 환자 중 6명 (17%) 이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에, 20명 (56%) 이 ‘과민대장증후군 군’에, 14명 (14%) 이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 과민대장증후군 군’에 동시에 해당되었다.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은 두통 빈도가 더 높았고 (p=0.094), 두통 빈도와 강도를 더한 값도 더 높았다 (p=0.086). 16명의 추적 환자들 중 4명만이 글루텐 제한식에 성공하였는데, 이들 중 2명은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이었고, 2명은 ‘과민대장증후군 군’이었다. 글루텐 제한식에 성공한 4명은 모두 호전되었고, 실패한 12명 중 1명이 호전되었다.
      토 론: 편두통 환자 중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 이나 ‘과민대장증후군 군’에 속할 경우 더 빈번하고 강한 두통을 겪으며, 이들에게 글루텐 제한식은 효과적이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편두통 – NCGS 간 관련성을 지지한다. 반면 글루텐 관련질환은 서양 국가의 유전질환이라는 통념에 이의를 제기하며, 국내에 진단되지 않은 NCGS 환자들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목 표: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에서 편두통과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 간 상호관련성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글루텐 제한식이 편두통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한다. ...

      목 표: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에서 편두통과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 간 상호관련성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글루텐 제한식이 편두통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한다.
      배 경: 서양 국가에서 편두통과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은 다음의 근거들을 토대로 상호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 편두통성 뇌는 유전적으로 항진되어 있다. 2) 뇌-장축 이론에 따르면 소화되지 않은 글루텐은 장내 만성 염증을 일으키고 장신경계의 신경전달을 활성화시킨다. 3) 편두통 환자들은 대부분 위장증상을 동반하며,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두통이다. 따라서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을 동반한 편두통 환자에서 글루텐 제한식이 증상을 호전 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방 법: 2016년 4월 ~ 8월에 구로병원 신경과 외래로 내원한 편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두통의 양상 (빈도, 평균 강도, 유발 인자), 소화기 증상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여부), 그리고 밀 섭취 양상을 설문하였다. 밀을 섭취하며,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기준에 맞는 36명의 편두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1개월 간 글루텐 제한식을 진행하였다. 글루텐 제한식 후 16명의 환자를 추적할 수 있었다. 환자들을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과 ‘과민대장증후군 군’으로 나누어 그들의 두통 양상과 글루텐 제한식 후 호전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 과: 36명의 환자 중 6명 (17%) 이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에, 20명 (56%) 이 ‘과민대장증후군 군’에, 14명 (14%) 이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 과민대장증후군 군’에 동시에 해당되었다.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은 두통 빈도가 더 높았고 (p=0.094), 두통 빈도와 강도를 더한 값도 더 높았다 (p=0.086). 16명의 추적 환자들 중 4명만이 글루텐 제한식에 성공하였는데, 이들 중 2명은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이었고, 2명은 ‘과민대장증후군 군’이었다. 글루텐 제한식에 성공한 4명은 모두 호전되었고, 실패한 12명 중 1명이 호전되었다.
      토 론: 편두통 환자 중 ‘자가보고 밀 유발 두통 환자군’ 이나 ‘과민대장증후군 군’에 속할 경우 더 빈번하고 강한 두통을 겪으며, 이들에게 글루텐 제한식은 효과적이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편두통 – NCGS 간 관련성을 지지한다. 반면 글루텐 관련질환은 서양 국가의 유전질환이라는 통념에 이의를 제기하며, 국내에 진단되지 않은 NCGS 환자들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6
      • Introduction 8
      • Methods 10
      • Results 12
      • Discussion 14
      • Abstract 6
      • Introduction 8
      • Methods 10
      • Results 12
      • Discussion 14
      • Reference 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