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07년 빅터음반 수록 기악곡의 내용과 특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6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07년 미국 빅터 유성기음반사가 발매한 한국음악 SP 음반에 수록된 기악곡들이 현재 전승되는 전통음악 중 어떤 악곡과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음반에 수록된 음악은 1906년 서울에서 녹음한 것으로, 본고의 연구 대상 음반과 악곡 및 연주자는 다음과 같다. VICTOR 13515 (A) KOREAN NATIVE DANCE MUSIC  영산도도리靈山道桃李 Yongsan-Totori 한국동韓國東萊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5 (A) KOREAN NATIVE BAND  륙각거샹六樂擧觴 Yukak-Kosang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6 (A) KOREAN NATIVE BAND DANCE MUSIC  륙각샹단계쥬六樂上壇啓奏 Yukak-Sangtan-Kyeju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54 (A) KOREAN ROYAL NATIVE BAND  황실대취태皇室大吹打 Taichita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5 (A) KOREAN ROYAL NATIVE BAND  별가락別歌樂 Pyolkarak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6 (A) KOREAN ROYAL NATIVE BAND  국거리掬巨里 Kuk-Kör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이 중 <륙각거상>은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한 <계면두거(염양춘)>이며, <륙각샹단계주>는 <륙각향당교주(六角鄕唐交奏)>를 잘 못 표기한 것인데, 이 곡은 <관악영산회상>의 <상영산>을 무용반주로 쓰기 위하여 변주한 <향당교주>이다. <황실대취태>는 황실에서 의전용으로 연주하던 곡으로, 현행 <대취타>와 같은 곡이고, <굿거리>의 전반부 선율은 현재 불교의식에서 바라춤의 반주음악으로 사용되는 <천수바라>와 같은 음악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영산도드리>와 <별가락>은 오늘날의 어떤 곡과 관련이 있는지 알 수 없었으며, <굿거리> 후반부의 빠른 음악도 현행 음악에서 비슷한 곡을 찾지 못하였다. 이들 악곡 중 삼현육각 편성의 음악은 연향용 음악이며, 대취타계통 악곡은 황실 의전용 음악이다. 특히 대취타계통 악곡들은 순차진행하는 짧은 선율군을 반복하고, 평조(솔-선법)로 되어 있으며, 화려한 장식음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야외에서 연주되는 행진음악의 특징을 살리기 위하여 부단하게 움직이는 역동적인 선율을 연주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07년 미국 빅터 유성기음반사가 발매한 한국음악 SP 음반에 수록된 기악곡들이 현재 전승되는 전통음악 중 어떤 악곡과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음반에 수록된 음악은 1906...

      이 글은 1907년 미국 빅터 유성기음반사가 발매한 한국음악 SP 음반에 수록된 기악곡들이 현재 전승되는 전통음악 중 어떤 악곡과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음반에 수록된 음악은 1906년 서울에서 녹음한 것으로, 본고의 연구 대상 음반과 악곡 및 연주자는 다음과 같다. VICTOR 13515 (A) KOREAN NATIVE DANCE MUSIC  영산도도리靈山道桃李 Yongsan-Totori 한국동韓國東萊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5 (A) KOREAN NATIVE BAND  륙각거샹六樂擧觴 Yukak-Kosang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6 (A) KOREAN NATIVE BAND DANCE MUSIC  륙각샹단계쥬六樂上壇啓奏 Yukak-Sangtan-Kyeju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54 (A) KOREAN ROYAL NATIVE BAND  황실대취태皇室大吹打 Taichita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5 (A) KOREAN ROYAL NATIVE BAND  별가락別歌樂 Pyolkarak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6 (A) KOREAN ROYAL NATIVE BAND  국거리掬巨里 Kuk-Kör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이 중 <륙각거상>은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한 <계면두거(염양춘)>이며, <륙각샹단계주>는 <륙각향당교주(六角鄕唐交奏)>를 잘 못 표기한 것인데, 이 곡은 <관악영산회상>의 <상영산>을 무용반주로 쓰기 위하여 변주한 <향당교주>이다. <황실대취태>는 황실에서 의전용으로 연주하던 곡으로, 현행 <대취타>와 같은 곡이고, <굿거리>의 전반부 선율은 현재 불교의식에서 바라춤의 반주음악으로 사용되는 <천수바라>와 같은 음악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영산도드리>와 <별가락>은 오늘날의 어떤 곡과 관련이 있는지 알 수 없었으며, <굿거리> 후반부의 빠른 음악도 현행 음악에서 비슷한 곡을 찾지 못하였다. 이들 악곡 중 삼현육각 편성의 음악은 연향용 음악이며, 대취타계통 악곡은 황실 의전용 음악이다. 특히 대취타계통 악곡들은 순차진행하는 짧은 선율군을 반복하고, 평조(솔-선법)로 되어 있으며, 화려한 장식음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야외에서 연주되는 행진음악의 특징을 살리기 위하여 부단하게 움직이는 역동적인 선율을 연주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iews on whether the instrumental musics contained in SP record by Victor Talking Machine Company in the US is related to which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the followings. The musics were recored in Seoul in 1906, as shown below: VICTOR 13515 (A) KOREAN NATIVE DANCE MUSIC  영산도도리靈山道桃李 Yongsan-Totori 한국동韓國東萊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5 (A) KOREAN NATIVE BAND  륙각거샹六樂擧觴 Yukak-Kosang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6 (A) KOREAN NATIVE BAND DANCE MUSIC  륙각샹단계쥬六樂上壇啓奏 Yukak-Sangtan-Kyeju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54 (A) KOREAN ROYAL NATIVE BAND  황실대취태皇室大吹打 Taichita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5 (A) KOREAN ROYAL NATIVE BAND  별가락別歌樂 Pyolkarak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6 (A) KOREAN ROYAL NATIVE BAND  국거리掬巨里 Kuk-Kör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Yukak-Kosang> was played by Samhyun-yukgak(a band consist of 6 instruments), which was <Kyemyeondugeo(Yeomyangchun)>, and <Yukak-sangtan-Kyekju> is a misspelled title of <Yukak-Hyangdang-Kyoju> which was <Hyangdang-Kyoju> varied as a dancing accompaniment for <Sangryeongsan> of <Kwanak-Youngsan-hoesang>. <Hwangsil- Taichitai> was a ceremonial music, which is equivalent to the current <Taechwita>, and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rhythm of <Gutgeori> was found as <Cheonsu-bara>, accompaniment of Barachum of Buddhist ceremony. However, <Youngsan-totori>, <Pyolkarak> and <Kukgeori>'s conclusion in fast tempo were not found a relationship to any today's music. Among those records, music played by Samhyun-yukgak band was for a court banquet, and sort of Taechwita music was for a formal ceremony. Taechwita music especially repeated a short melody in order and Pyeonjo(Sol-mode) and with fancy graces. Also,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 of march, it played an active melody.
      번역하기

      This article reviews on whether the instrumental musics contained in SP record by Victor Talking Machine Company in the US is related to which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the followings. The musics were recored in Seoul in 1906, as shown below: VIC...

      This article reviews on whether the instrumental musics contained in SP record by Victor Talking Machine Company in the US is related to which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the followings. The musics were recored in Seoul in 1906, as shown below: VICTOR 13515 (A) KOREAN NATIVE DANCE MUSIC  영산도도리靈山道桃李 Yongsan-Totori 한국동韓國東萊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5 (A) KOREAN NATIVE BAND  륙각거샹六樂擧觴 Yukak-Kosang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46 (A) KOREAN NATIVE BAND DANCE MUSIC  륙각샹단계쥬六樂上壇啓奏 Yukak-Sangtan-Kyeju 한국셔울韓國京城 악공등樂工等 VICTOR RECORD 13554 (A) KOREAN ROYAL NATIVE BAND  황실대취태皇室大吹打 Taichita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5 (A) KOREAN ROYAL NATIVE BAND  별가락別歌樂 Pyolkarak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VICTOR RECORD 13556 (A) KOREAN ROYAL NATIVE BAND  국거리掬巨里 Kuk-Köri 한국셔울韓國京城 취고슈구인吹鼓手九人 <Yukak-Kosang> was played by Samhyun-yukgak(a band consist of 6 instruments), which was <Kyemyeondugeo(Yeomyangchun)>, and <Yukak-sangtan-Kyekju> is a misspelled title of <Yukak-Hyangdang-Kyoju> which was <Hyangdang-Kyoju> varied as a dancing accompaniment for <Sangryeongsan> of <Kwanak-Youngsan-hoesang>. <Hwangsil- Taichitai> was a ceremonial music, which is equivalent to the current <Taechwita>, and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rhythm of <Gutgeori> was found as <Cheonsu-bara>, accompaniment of Barachum of Buddhist ceremony. However, <Youngsan-totori>, <Pyolkarak> and <Kukgeori>'s conclusion in fast tempo were not found a relationship to any today's music. Among those records, music played by Samhyun-yukgak band was for a court banquet, and sort of Taechwita music was for a formal ceremony. Taechwita music especially repeated a short melody in order and Pyeonjo(Sol-mode) and with fancy graces. Also,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 of march, it played an active melo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빅터음반 기악곡의 내용과 특징
      • Ⅲ. 맺는말 : 빅터음반 수록 기악곡의 가치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빅터음반 기악곡의 내용과 특징
      • Ⅲ. 맺는말 : 빅터음반 수록 기악곡의 가치
      • 〈참고문헌〉
      • Abstract
      • 〈참고악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국, "피리正樂譜"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보존회 2007

      2 김태섭, "피리 口音 正樂譜" 사단법인 대악회 1983

      3 "진찬의궤(신축)"

      4 "진연의궤(임인, 4월)"

      5 "진연의궤(임인, 11월)"

      6 "진연의궤(신축)"

      7 정영서, "재의식의 태평소 선율에 관한 연구 :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8 이건회, "재미있는 태평소" 한소리국악원 2008

      9 "인간문화재 정재국 <피리 태평소 작품집 1>"

      10 "무속악의 명인 <허용업 기악독주집>"

      1 정재국, "피리正樂譜"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보존회 2007

      2 김태섭, "피리 口音 正樂譜" 사단법인 대악회 1983

      3 "진찬의궤(신축)"

      4 "진연의궤(임인, 4월)"

      5 "진연의궤(임인, 11월)"

      6 "진연의궤(신축)"

      7 정영서, "재의식의 태평소 선율에 관한 연구 :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8 이건회, "재미있는 태평소" 한소리국악원 2008

      9 "인간문화재 정재국 <피리 태평소 작품집 1>"

      10 "무속악의 명인 <허용업 기악독주집>"

      11 정재국, "대취타" 은하출판사 1996

      12 "김점석 기악곡집 3"

      13 "김점석 기악곡집 1"

      14 "93일요명인명창전2 <정재국 피리독주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8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