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생존전략, 불교 = Survival Strate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dd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5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1st centur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idered the survival strategies based on the spirit of the ages.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Buddhism was examined as a survival strategy for ...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1st centur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idered the survival strategies based on the spirit of the ages.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Buddhism was examined as a survival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Buddhist cultures, which were changed and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requests of Sakyamuni Buddha, are considered as part of the 21st century cultural movement.
      By a brief overview of major change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tried to elucidate that the Buddhist cultural perspectives of the world of suffering are not farfetched interpretation and religious approach, which distort the society phenomenon to religious doctrine of Buddhism, but more reasonable and diverse approach.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21st century social change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ment have an influence on the whole society, specifically the religious world,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Buddhist cultural movement direction.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Buddhist culture gives a direction for not only the special situations of the 21st century society, but also by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 freedom and liberty and manifestation of the Buddhist Elysium. At this point, the fundamental mental culture soil of Buddhism will be shared and developed as the culture that reflects the zeitgeist of the 21st centur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시대변화의 특성과 4차 산업혁명의 특성을 고찰하고, 시대정신을 고민하였다. 이런 고찰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과 생존전략으로 불교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21세기는 무한 경쟁으로 ...

      21세기 시대변화의 특성과 4차 산업혁명의 특성을 고찰하고, 시대정신을 고민하였다.
      이런 고찰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과 생존전략으로 불교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21세기는 무한 경쟁으로 인한 자연과 환경, 그리고 인간이 피폐화되어가는 그런 세계관이 아닌 다른 세계관이 요구되고 있으며, 힘에 의하여 약자를 수탈하는 그런 세계가아닌 새로운 세계가 추구되어져야할 것이다. 상생의 가치와 세계관을 제시하고 구현하고자 하는 불교의 주요한 관점들을 간단히 개괄함으로써, 불교적 가치관만이 이 세기적인 변화에서 인류를 재앙에서 건져낼 수 있는 유일한 가치이며 생존전략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이 불교관점에서 견강부회한 불교 중심적인 접근이 아니라 보다 합리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21세기 4차 산업혁명이 사회전반에 걸쳐, 그리고 종교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 것이며, 앞으로 생존전략의 방향성 정립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불교가21세기 사회의 특수상황 뿐만 아니라 인류사적 측면에서 인간해방과 불국정토 구현이라는 인류 보편적 사상의 실천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럼 구체적으로 불교가 4 차 산업혁명의 생존정략으로 그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측면에서 불교의 정신문화적 토양이 21세기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핵심으로 더욱 빛을 발휘할 것이며 발전할것이라는 점을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모 하빌리스"

      2 정석범, "현대미술 이단아 뒤샹"

      3 위키백과, "표준화"

      4 "팔상도"

      5 김영수, "통치의 기본 정명(正名)"

      6 김은경, "창의적 공학설계(Training How To Think Creatively)(MSE)" 한빛아카데미 2016

      7 "지관(止觀)"

      8 박승원, "정보지식 사회의 도전에 직면한 불교 불교와 사회(16)"

      9 시사상식사전, "정보전염병"

      10 류성태, "정보사회와 원불교" 원광대학교출판국 201-214, 1998

      1 "호모 하빌리스"

      2 정석범, "현대미술 이단아 뒤샹"

      3 위키백과, "표준화"

      4 "팔상도"

      5 김영수, "통치의 기본 정명(正名)"

      6 김은경, "창의적 공학설계(Training How To Think Creatively)(MSE)" 한빛아카데미 2016

      7 "지관(止觀)"

      8 박승원, "정보지식 사회의 도전에 직면한 불교 불교와 사회(16)"

      9 시사상식사전, "정보전염병"

      10 류성태, "정보사회와 원불교" 원광대학교출판국 201-214, 1998

      11 최종덕, "정보사회와 불교"

      12 이영무, "유마경강설" 한국불교출판부 111-112, 1993

      13 김기추, "유마경" 불광출판부 244-, 2001

      14 장동인, "왜 애플은 강한가?"

      15 "올드보이 명대사"

      16 이상한 옴니버스, "연금술의 완전한 진실"

      17 "어떤 훌륭한 학자가 ‘남은선사‘ 에게 찾아가 선(禪)을 묻자"

      18 청허 휴정, "선가귀감" 새움 2017

      19 "산문(山門)"

      20 김응철, "불교의 주요교리로 분석한 정보사회의 이해 -십여시, 연기론, 팔정도를 중심으로 -" 1-2, 2003

      21 김응철, "불교의 사이버 사회 대응 양상 ―종교학계의 이론적 논의 종합"

      22 장상목, "불교관점에서 정보사회 바로보기"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 20 (20): 97-, 2014

      23 "법문(法門)"

      24 "문화의 시대 - 왜 문화인가?"

      25 김형진, "문화예술의 퓨전적 해석" 한솜미디어 2003

      26 크리스 젠크스, "문화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225-, 1996

      27 신동희, "문화 콘텐츠와 문화 기술"

      28 "모든 의견 반대해 보는 'NO 교육'..이스라엘 창조경제의 원동력"

      29 백선기, "대중문화 논의, 새로운 방향 · 지평 · 의의"

      30 "노예의 삶에 익숙한 젊은이들"

      31 "금세공업자 춘다의 이야기"

      32 장상목, "금강반야바라밀경 강론" 부다가야 2009

      33 이진우, "구글과 애플은 왜 강한가?"

      34 "구글 명상지도자 차드 멩 탄"

      3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문왕의귀설화 [景文王─說話]"

      36 법인, "검색의 시대, 사유의 회복" 불광출판사 2015

      37 "[한경에세이] 닫힌 문과 열린 문"

      38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정신은 長幼無序"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2-02-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