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업사이클링(Upcycling)과 상표권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상표권 보호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 = Upcycling and Tradema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65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상표권 보호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업사이클링(Upcycling)과 상표권 보호를 둘러싼 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오늘날 인간은 지구가 연간 생성할 수 있는 자원을 초과하여 소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 고갈 문제는 폐기물의 증가와 함께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건의 재사용률을 높여 자원 낭비를 줄이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리사이클링(Recycling)과 업사이클링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업사이클링은 기존 제품을 단순히 재사용하는 것을 넘어,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더 나은 품질과 더 높은 수준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업사이클링 과정에서 상표권, 디자인권, 저작권 등에 관한 다양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 논문은 2023년 서울중앙지방법원과 2024년 특허법원의 루이비통 리폼 판결을 계기로 리폼을 포함한 업사이클링의 출처 혼동 가능성 및 상표적 사용 여부, 상표권 소진의 범위와 희석화(Dilution) 문제 등을 분석하였다. 해당 사건에서는 소비자가 소유한 루이비통 가방을 업사이클링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품을 제작한 행위가 상표권을 침해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법원은 혼동가능성을 인정하였으며 업사이클링된 제품이 시장에 유통될 가능성이 있음을 근거로 상표적 사용을 인정하였고, 상표권 소진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국내 판결을 기반으로, 미국 및 유럽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에서는 Prestonettes, Inc. v. Coty 사건을 통해 상표권 소진론이 최초로 인정되었으며, 이후 상표권자가 자신의 제품을 최초 판매한 이후에는 해당 제품에 대한 상표권을 주장할 수 없다는 원칙이 확립되었다. 또한 스위스 연방대법원은 Rolex 커스터마이징 사건을 통해 정품이며, 사적이용을 위한 것이라면 업사이클링이 상표권 침해를 성립시키지 않는다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출처의 혼동 가능성 판단 시 상품의 구매자뿐만 아니라 중고품 거래시장에서의 제3자(잠재적 수요자)의 혼동 가능성까지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지 논의하였다. 또한 권리소진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며 상품의 동일성을 해할 정도의 가공이나 수선이 이루어진 경우를 어느 범위까지 포함할 것인지를 판단하였다. 더불어 희석화 방지 관점에서 업사이클링 제품이 상표의 식별력 약화(blurring)나 명성손상(tarnishment)를 야기할 가능성도 논의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은 지속가능성이라는 사회적 가치와 상표권자의 권리보호 간의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의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업사이클링의 법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해 상표권의 권리소진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상표권자의 권리가 과도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신중한 법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상표권 보호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업사이클링(Upcycling)과 상표권 보호를 둘러싼 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오늘날 인간은 지구가 연간 생성할 수 있는 자...

      이 논문은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상표권 보호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업사이클링(Upcycling)과 상표권 보호를 둘러싼 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오늘날 인간은 지구가 연간 생성할 수 있는 자원을 초과하여 소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 고갈 문제는 폐기물의 증가와 함께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건의 재사용률을 높여 자원 낭비를 줄이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리사이클링(Recycling)과 업사이클링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업사이클링은 기존 제품을 단순히 재사용하는 것을 넘어,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더 나은 품질과 더 높은 수준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업사이클링 과정에서 상표권, 디자인권, 저작권 등에 관한 다양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 논문은 2023년 서울중앙지방법원과 2024년 특허법원의 루이비통 리폼 판결을 계기로 리폼을 포함한 업사이클링의 출처 혼동 가능성 및 상표적 사용 여부, 상표권 소진의 범위와 희석화(Dilution) 문제 등을 분석하였다. 해당 사건에서는 소비자가 소유한 루이비통 가방을 업사이클링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품을 제작한 행위가 상표권을 침해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법원은 혼동가능성을 인정하였으며 업사이클링된 제품이 시장에 유통될 가능성이 있음을 근거로 상표적 사용을 인정하였고, 상표권 소진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국내 판결을 기반으로, 미국 및 유럽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에서는 Prestonettes, Inc. v. Coty 사건을 통해 상표권 소진론이 최초로 인정되었으며, 이후 상표권자가 자신의 제품을 최초 판매한 이후에는 해당 제품에 대한 상표권을 주장할 수 없다는 원칙이 확립되었다. 또한 스위스 연방대법원은 Rolex 커스터마이징 사건을 통해 정품이며, 사적이용을 위한 것이라면 업사이클링이 상표권 침해를 성립시키지 않는다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출처의 혼동 가능성 판단 시 상품의 구매자뿐만 아니라 중고품 거래시장에서의 제3자(잠재적 수요자)의 혼동 가능성까지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지 논의하였다. 또한 권리소진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며 상품의 동일성을 해할 정도의 가공이나 수선이 이루어진 경우를 어느 범위까지 포함할 것인지를 판단하였다. 더불어 희석화 방지 관점에서 업사이클링 제품이 상표의 식별력 약화(blurring)나 명성손상(tarnishment)를 야기할 가능성도 논의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은 지속가능성이라는 사회적 가치와 상표권자의 권리보호 간의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의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업사이클링의 법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해 상표권의 권리소진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상표권자의 권리가 과도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신중한 법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upcycling in relation to trademark rights, focusing on balancing the sustainable use of resources and trademark protection. As resource depletion and waste generation become critical concerns, upcycling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extend product life cycles and reduce environmental impact. However, legal disputes arise when upcycled products incorporate existing trademarks, leading to potential trademark infringement and unfair competition claims.
      The research examines key legal issues,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exhaustion doctrine, the likelihood of confusion among consumers, and the dilution of trademark. Upon the 2023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and 2024 Patent Court’s ruling on Louis Vuitton's upcycling case, this paper analyzes how courts interpret upcycling under trademark law and unfair competition law. Furthermore, from comparative legal perspectives, primarily from the United States and selected European jurisdictions, this article provides insights into potential legal frameworks that balance sustainabi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inally, this articl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while trademark protection is crucial, overly strict interpretations may hinder sustainable practices. Therefore, legal frameworks should consider reasonable exceptions for upcycling that do not compromise consumer protection or dilute the reputation of the trademark. This article is expected to contributes to ongoing discuss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nd sustainability by proposing a more flexible approach to upcycling within trademark law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upcycling in relation to trademark rights, focusing on balancing the sustainable use of resources and trademark protection. As resource depletion and waste generation become critical concerns, upcycli...

      This article explores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upcycling in relation to trademark rights, focusing on balancing the sustainable use of resources and trademark protection. As resource depletion and waste generation become critical concerns, upcycling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extend product life cycles and reduce environmental impact. However, legal disputes arise when upcycled products incorporate existing trademarks, leading to potential trademark infringement and unfair competition claims.
      The research examines key legal issues,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exhaustion doctrine, the likelihood of confusion among consumers, and the dilution of trademark. Upon the 2023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and 2024 Patent Court’s ruling on Louis Vuitton's upcycling case, this paper analyzes how courts interpret upcycling under trademark law and unfair competition law. Furthermore, from comparative legal perspectives, primarily from the United States and selected European jurisdictions, this article provides insights into potential legal frameworks that balance sustainabi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inally, this articl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while trademark protection is crucial, overly strict interpretations may hinder sustainable practices. Therefore, legal frameworks should consider reasonable exceptions for upcycling that do not compromise consumer protection or dilute the reputation of the trademark. This article is expected to contributes to ongoing discuss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nd sustainability by proposing a more flexible approach to upcycling within trademark law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