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이식 수혜자에서 수술 전 Beta-blocker의 사용과 수술 후 급성 신 손상과의 연관성 = Preoperative Use of Beta-blocker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Acute Kidney Injury in MELD score >15 Patients Following Liver Transpla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24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Background: Nonselective β-blockers (NSBB) reduce portal pressure and risk of variceal bleeding in patients with cirrhosi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questioned the beneficial effect of NSBB in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cirrh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NSBB was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acute kidney injury (AKI) and mortality after liver transplantation surgery.
      Methods: We performed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analysis of 1908 patients who underwent liver transplantation from 2008 through 2014.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 use of NSBB. The occurrence of posttransplant AKI and all-cause overall mortality was assessed between two groups using the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with subgroup analysis based on the MELD score of >15 and ≤15. The presence of AKI was defined by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criteria.
      Results: NSBB group patients (n=415) and no NSBB group patients (n=1493) were compared. Four hundred and five pairs were created after 1-to-1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incidence of AKI was 68.9% in NSBB group and 63.5% in no NSBB group (odds ratio [O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61; P = 0.041) befor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68.4% in NSBB group and 65.4% in no NSBB group (OR, 1.14; 95% CI, 0.85-1.53; P = 0.368) after propensity matching, respectively. The median follow-up for the whole patients was 3.4 years. For the subgroup analysis, 144 pairs of MELD score >15 and 256 pairs of MELD score ≤15 were made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the group of MELD score >15, AKI incidence showed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OR: 1.60, 95% CI: 1.03-2.48, P = 0.035 and OR: 1.78, 95% CI: 1.10-2.88, P = 0.018, respectively). However, AKI incidence of MELD score ≤15 groups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OR: 1.21, 95% CI: 0.91-1.60, P = 0.190 and OR: 1.02, 95% CI: 0.70-1.47, P = 0.930, respectively). The use of NSBB was not associated with overall mortality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subgroup analysis.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ubgroup analysis based on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score, the use of NSBB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KI in MELD score >15 patients (OR, 1.77; 95% CI, 1.13-2.77; P = 0.013).
      Conclusions: Preoperative use of NSBB was not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all-cause mortality. However, NSBB use in MELD >15 patients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KI. This result suggests that NSBB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liver cirrhosis and who receive liver transplantation.
      번역하기

      Abstract Background: Nonselective β-blockers (NSBB) reduce portal pressure and risk of variceal bleeding in patients with cirrhosi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questioned the beneficial effect of NSBB in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cirrhosis. The...

      Abstract
      Background: Nonselective β-blockers (NSBB) reduce portal pressure and risk of variceal bleeding in patients with cirrhosi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questioned the beneficial effect of NSBB in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cirrh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NSBB was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acute kidney injury (AKI) and mortality after liver transplantation surgery.
      Methods: We performed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analysis of 1908 patients who underwent liver transplantation from 2008 through 2014.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 use of NSBB. The occurrence of posttransplant AKI and all-cause overall mortality was assessed between two groups using the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with subgroup analysis based on the MELD score of >15 and ≤15. The presence of AKI was defined by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criteria.
      Results: NSBB group patients (n=415) and no NSBB group patients (n=1493) were compared. Four hundred and five pairs were created after 1-to-1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incidence of AKI was 68.9% in NSBB group and 63.5% in no NSBB group (odds ratio [O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61; P = 0.041) befor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68.4% in NSBB group and 65.4% in no NSBB group (OR, 1.14; 95% CI, 0.85-1.53; P = 0.368) after propensity matching, respectively. The median follow-up for the whole patients was 3.4 years. For the subgroup analysis, 144 pairs of MELD score >15 and 256 pairs of MELD score ≤15 were made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the group of MELD score >15, AKI incidence showed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OR: 1.60, 95% CI: 1.03-2.48, P = 0.035 and OR: 1.78, 95% CI: 1.10-2.88, P = 0.018, respectively). However, AKI incidence of MELD score ≤15 groups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OR: 1.21, 95% CI: 0.91-1.60, P = 0.190 and OR: 1.02, 95% CI: 0.70-1.47, P = 0.930, respectively). The use of NSBB was not associated with overall mortality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subgroup analysis.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ubgroup analysis based on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score, the use of NSBB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KI in MELD score >15 patients (OR, 1.77; 95% CI, 1.13-2.77; P = 0.013).
      Conclusions: Preoperative use of NSBB was not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all-cause mortality. However, NSBB use in MELD >15 patients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KI. This result suggests that NSBB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liver cirrhosis and who receive liver transplan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간경화 환자에서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는 간문맥압을 낮추고 식도정맥류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 말기 간경화 환자에서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의 사용의 이점이 의문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수술 전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의 복용이 간이식 수술 후 급성 신손상이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 아산 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은 1908명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를 복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베타차단제 그룹 (n=1493, NSBB 그룹)과 비 베타차단제 그룹 (n=415, No NSBB 그룹)의 두 군으로 나눴다. 수술 후의 급성 신손상과 all-cause mortality를 비교하기 위해 1:1 프로펜시티 스코어 매칭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간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MELD 점수를 계산하여 15점 이하와 초과의 그룹으로 나누어 서브그룹 분석을 시행하였다. 급성 신손상의 정의는 KDIGO정의에 따랐다.
      프로펜시티 스코어 매칭 후, 베타차단제 군(n=405) 에서 급성 신손상의 유병률은 68.4% 였고, 비 베타차단제 군(n=405)에서는 65.4%였다 (오즈비, 1.14; 95% 신뢰구간, 0.85-1.53; P = 0.368). 서브그룹 분석을 위해 MELD >15의144쌍의 환자군과 MELD ≤15의 256쌍의 환자군이 프로펜시티 스코어 매칭을 통해 구했다. MELD 점수 15를 초과하는 군에서 베타차단제를 복용한 환자군에서 급성 신손상의 유병률은 79.2%,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68.1%였고,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오즈비, 1.78; 95% 신뢰구간, 1.10-2.88, P = 0.018 MELD ≤15 군에서 베타차단제를 복용한 군에서의 급성 신손상의 유병률은 61.7%,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61.3% (오즈비, 1.02; 95% 신뢰구간, 0.70-1.47, P = 0.930)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ELD >15 군에서 비선택적 베타차단제를 복용하는 환자군의 사망률은 12.5%, 복용하지 않는 군의 사망률은 11.1% (위험률, 1.13; 95%신뢰구간, 0.62-2.05, P = 0.698) 이었고, MELD점수 15이하에서는 비선택적 베타차단제를 사용한 군에서는 3.9%,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7.0% (위험률, 0.51; 95%신뢰구간, 0.23-1.14, P = 0.102)를 보였다. 따라서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의 복용은 MELD점수가 높은 군에서와 낮은군 모두에서 사망률과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급성 신손상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의 사용은 MELD점수 15를 초과한 군에서는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 밝혀졌다 (오즈비, 1.77; 95% 신뢰구간, 1.13-2.77, P = 0.013).
      결론적으로 MELD점수 15점을 초과하는 환자군에서 간이식 전의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사용은 수술 후 급성 신손상과 독립적인 연관관계를 보인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말기 간부전을 갖는 환자에서 간이식이 예견되어 있다면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의 사용은 신중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간경화 환자에서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는 간문맥압을 낮추고 식도정맥류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 말기 간경화 환자에서 비선택적인 베타차단...

      간경화 환자에서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는 간문맥압을 낮추고 식도정맥류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 말기 간경화 환자에서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의 사용의 이점이 의문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수술 전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의 복용이 간이식 수술 후 급성 신손상이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 아산 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은 1908명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비선택적인 베타차단제를 복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베타차단제 그룹 (n=1493, NSBB 그룹)과 비 베타차단제 그룹 (n=415, No NSBB 그룹)의 두 군으로 나눴다. 수술 후의 급성 신손상과 all-cause mortality를 비교하기 위해 1:1 프로펜시티 스코어 매칭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간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MELD 점수를 계산하여 15점 이하와 초과의 그룹으로 나누어 서브그룹 분석을 시행하였다. 급성 신손상의 정의는 KDIGO정의에 따랐다.
      프로펜시티 스코어 매칭 후, 베타차단제 군(n=405) 에서 급성 신손상의 유병률은 68.4% 였고, 비 베타차단제 군(n=405)에서는 65.4%였다 (오즈비, 1.14; 95% 신뢰구간, 0.85-1.53; P = 0.368). 서브그룹 분석을 위해 MELD >15의144쌍의 환자군과 MELD ≤15의 256쌍의 환자군이 프로펜시티 스코어 매칭을 통해 구했다. MELD 점수 15를 초과하는 군에서 베타차단제를 복용한 환자군에서 급성 신손상의 유병률은 79.2%,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68.1%였고,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오즈비, 1.78; 95% 신뢰구간, 1.10-2.88, P = 0.018 MELD ≤15 군에서 베타차단제를 복용한 군에서의 급성 신손상의 유병률은 61.7%,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61.3% (오즈비, 1.02; 95% 신뢰구간, 0.70-1.47, P = 0.930)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ELD >15 군에서 비선택적 베타차단제를 복용하는 환자군의 사망률은 12.5%, 복용하지 않는 군의 사망률은 11.1% (위험률, 1.13; 95%신뢰구간, 0.62-2.05, P = 0.698) 이었고, MELD점수 15이하에서는 비선택적 베타차단제를 사용한 군에서는 3.9%,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7.0% (위험률, 0.51; 95%신뢰구간, 0.23-1.14, P = 0.102)를 보였다. 따라서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의 복용은 MELD점수가 높은 군에서와 낮은군 모두에서 사망률과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급성 신손상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의 사용은 MELD점수 15를 초과한 군에서는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 밝혀졌다 (오즈비, 1.77; 95% 신뢰구간, 1.13-2.77, P = 0.013).
      결론적으로 MELD점수 15점을 초과하는 환자군에서 간이식 전의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사용은 수술 후 급성 신손상과 독립적인 연관관계를 보인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말기 간부전을 갖는 환자에서 간이식이 예견되어 있다면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의 사용은 신중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i
      • 표 및 그림목차 iv
      • Introduction 1
      • Method 3
      • Result 8
      • 요약 i
      • 표 및 그림목차 iv
      • Introduction 1
      • Method 3
      • Result 8
      • Discussion 11
      • Reference 17
      • Abstract 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