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점 상황 시 마라톤 선수의 심리적 경험과 대처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마라톤 경기 경험이 있는 마라톤 선수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다양한 연구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69918
서울 :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 생활체육전공 생활체육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서울
70 ; 26 cm
지도교수: 김한별
I804:11602-20000080904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점 상황 시 마라톤 선수의 심리적 경험과 대처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마라톤 경기 경험이 있는 마라톤 선수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다양한 연구결...
본 연구는 사점 상황 시 마라톤 선수의 심리적 경험과 대처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마라톤 경기 경험이 있는 마라톤 선수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된 마라톤 선수를 완주 횟수에 따라 구분하여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참여자 A, B, C, D, E, F, G, H로 대체하였다.
마라톤 선수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전문가 회의(스포츠심리학 교수 1인, 스포츠심리학 박사 2인)를 통하여 심층면담지를 작성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 책임자가 연구참여자들과 개별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전에 준비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면담의 내용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취하였으며, 추가적인 응답이나 연구에 필요한 부분을 위해 후속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에서 나타난 결과를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주제영역, 코드영역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점 상황 시 마라톤 선수의 심리적 경험은 ‘인지’, ‘정서’, ‘신체화’ 3개의 주제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인지 영역은 ‘사점 인지 시점’, ‘부정적 인식’, ‘수용적 사고’, ‘현실부정’ 4개의 코드영역으로, 정서 영역은 ‘부담감’, ‘양가감정’, ‘두려움’, ‘긴장’, ‘의욕상실’ 5개의 코드영역으로, 신체화 영역은 ‘신체적 통증’, ‘신체적 이상증상’, ‘신체적 변화’ 3개의 코드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사점 상황 시 마라톤 선수의 대처방안으로는 ‘심리적 대처’, ‘전략적 대처’, ‘기술적 대처’, ‘체력적 대처’로 4개의 주제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심리적 대처 영역은 ‘긍정적 사고’, ‘긍정적 기억회상’, ‘성공사례 회상’, ‘목표 심상’, ‘인내’, ‘의지’ 6개의 코드영역으로, 전략적 대처 영역은 ‘경기 전략’, ‘경쟁 전략’ 2개의 코드영역으로, 기술적 대처 영역은 ‘기술 보완’ 1개의 코드영역으로, 체력적 대처 영역은 ‘신체적 이완’, ‘수분 섭취’, ‘체온 조절’ 3개의 코드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점 상황 시 마라톤 선수의 다양한 심리적 경험과 대처방안을 탐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심리적 전략을 통해 사점 상황을 대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점 상황 시 마라톤 선수의 심리적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대처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마라톤 훈련 프로그램과 경기 전략에 기여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선수들은 경기 중 발생하는 심리적 경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최적의 경기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심리적 훈련과 전략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스포츠 심리학 분야의 이론적 발전에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종합하여 연구가 사점 상황을 겪는 마라톤 선수들에게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coping strategies of marathoners at dead point. Eight marathoners with competition experiences were chosen as participants in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ca...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coping strategies of marathoners at dead point. Eight marathoners with competition experiences were chosen as participants in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by the number of marathons they finished to yield comprehensive results. To maintain anonymity, each runner will be referred to as participant A, B, C, D, E, F, G, and H throughout the paper.
An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 was devised after carefully reviewing prior research works and expert consultation. In-depth interview was individually conducted by the principal investigator using previously written questionnaires. The interview was recorded with consent, and follow-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as needed. Thematic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study results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ir subject and coded areas. The specific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arathoners at dead point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ubject areas: cognition, emotion, and physicality. The cognition area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periods of dead point recognition, negative perception, receptive thinking, and denial of reality. Keywords in emotion include pressure, ambivalence, fear, tension, and loss of motivation. Terms in the physical area consist of physical pain, physical abnormalities, and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t dead point, marathoners incorporate several approaches to alleviate pain: psychological, strategic, technical, and physical coping. Coded areas in psychological coping are positive thinking, affirmative recollection, recalling successful cases, goal setting, endurance, and strong will. While strategical coping was divided into race strategy and competition strategy, technical coping only had technical improvement. Physical coping methods are physical relaxation, hydration, and body temperature regulation.
The research elucidated insightful aspects of diverse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coping methods of marathoners at dead point, such as a trend that most runners utilized psychological approaches to endure dead poi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uccessfully contribute to diverse marathon training programs and race strategies as the research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marathoners at dead point and suggested efficient coping strategies. Marathoners can effectively control their psychological processes through such programs and thus yield optimal results in competitions. As such,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offer valuable fundamental resources to develop psychological training processes and advanced strategies that provide for runners' mental and physical health during dead poin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