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3G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모바일 의료영상 효용성 연구 = (The) research about medicinal value of Radiological image using mobile & tablet phone via 3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5837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21.38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vi, 11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손채봉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모바일 스마트폰과 휴대용 태블릿 PC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더군다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제는 단순한 전화기기라는 평이한 개념보다 하나의 휴대용 컴퓨터로 통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공간으로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다운로드와 업로드, 그리고 고화질 영상의 재생 및 뷰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의료정보센터의 PACS 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에 제약받지 않으면서 의료행위를 할 수 날이 머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무선통신으로 의료기관의 영상정보를 다운로드 및 뷰어했을 경우에 이 영상정보가 얼마나 의학적 가치가 있는 가에 대한 전문적 소견을 의료기관 영상정보관리자 2명과 보건대학 영상정보학 교수 2명, 판독용 모니터 정도관리 전문가 1명, 그리고 영상의학과 판독의 2명에게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적인 스마트폰을 선정하는 것이 보편성을 가질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 IT업체 구글(Google)사의 소프트웨어인 안드로이드 OS체제를 탑재한 삼성전자 GalaxyS(SHW-M110S)를 표본 연구 모델로 삼았다.
      둘째, 의료기관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 연계연동 할 수 있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정하여야 하는데 본인이 근무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 통신 프로그램인 국내업체 R-SUPPORT사의 R: RemoteView(Version 1.1.9.1)를 선정하였다. 본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PC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셋째, 실시간 원격 영상정보 조회를 하려면 디지털 의료영상서버가 필요한데 기존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던 필름(film) 형태의 아날로그 영상정보가 사라지고 현재는 대부분 종합 의료기관에서는 디지털 의료영상정보 저장전송 시스템, 즉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체계를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만 가능하다.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 PACS에 접속한 다음 평가할 각각의 테스트 영상검사를 모두 로딩(loading)한다.
      넷째, 스마트폰으로 환자의 의료영상을 뷰어한 다음 구글(google) 안드로이드 온라인 마켓에서 공룡소프트사가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인 빠른캡쳐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상검사를 스크린 캡처한다. 물론 스마트폰 자체의 캡처기능도 있지만 조작하기가 쉽지 않은 면이 있고 RemoteView(Version 1.1.9.1) 프로그램도 자체 캡처기능이 있지만 아직은 상용화되지 않아 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하였다.
      다섯째, 캡처된 영상검사들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컬러프린트하여 설문조사 문항지와 함께 7인의 전문가 집단에게 영상의 의학적 가치 판단 평가를 의뢰하였다.
      각각의 영상검사에 대한 의학적 가치 판단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로 삼은 12가지 의료영상에서 일반촬영, 자기공명영상, 체열검사는 의학적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초음파, 전산화단층영상, 투시검사, 핵의학검사, 양전자방출단층영상, 파노라마, 구강악안면단층영상은 의학적 가치는 있지만 약간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고 마지막으로 유방검사와 혈관조영술, 내시경 검사는 현재의 영상정보로는 의학적 진단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스마트폰의 화질과 픽셀의 구현성,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IT 인터페이스와 영상 보정 옵션 등이 가미될 경우 의료진과 환자에게 탁월한 의료영상정보 서비스가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되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의료영상을 보고 진료할 수 있는 시공간 초월 IT/의료 융합기술이 보편화 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모바일 스마트폰과 휴대용 태블릿 PC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더군다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제는 단순한 전화기기라는 평이한 개념보다 하나의 휴대용 컴퓨터로 통용...

      최근 들어 모바일 스마트폰과 휴대용 태블릿 PC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더군다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제는 단순한 전화기기라는 평이한 개념보다 하나의 휴대용 컴퓨터로 통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공간으로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다운로드와 업로드, 그리고 고화질 영상의 재생 및 뷰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의료정보센터의 PACS 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에 제약받지 않으면서 의료행위를 할 수 날이 머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무선통신으로 의료기관의 영상정보를 다운로드 및 뷰어했을 경우에 이 영상정보가 얼마나 의학적 가치가 있는 가에 대한 전문적 소견을 의료기관 영상정보관리자 2명과 보건대학 영상정보학 교수 2명, 판독용 모니터 정도관리 전문가 1명, 그리고 영상의학과 판독의 2명에게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적인 스마트폰을 선정하는 것이 보편성을 가질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 IT업체 구글(Google)사의 소프트웨어인 안드로이드 OS체제를 탑재한 삼성전자 GalaxyS(SHW-M110S)를 표본 연구 모델로 삼았다.
      둘째, 의료기관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 연계연동 할 수 있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정하여야 하는데 본인이 근무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 통신 프로그램인 국내업체 R-SUPPORT사의 R: RemoteView(Version 1.1.9.1)를 선정하였다. 본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PC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셋째, 실시간 원격 영상정보 조회를 하려면 디지털 의료영상서버가 필요한데 기존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던 필름(film) 형태의 아날로그 영상정보가 사라지고 현재는 대부분 종합 의료기관에서는 디지털 의료영상정보 저장전송 시스템, 즉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체계를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만 가능하다.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 PACS에 접속한 다음 평가할 각각의 테스트 영상검사를 모두 로딩(loading)한다.
      넷째, 스마트폰으로 환자의 의료영상을 뷰어한 다음 구글(google) 안드로이드 온라인 마켓에서 공룡소프트사가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인 빠른캡쳐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상검사를 스크린 캡처한다. 물론 스마트폰 자체의 캡처기능도 있지만 조작하기가 쉽지 않은 면이 있고 RemoteView(Version 1.1.9.1) 프로그램도 자체 캡처기능이 있지만 아직은 상용화되지 않아 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하였다.
      다섯째, 캡처된 영상검사들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컬러프린트하여 설문조사 문항지와 함께 7인의 전문가 집단에게 영상의 의학적 가치 판단 평가를 의뢰하였다.
      각각의 영상검사에 대한 의학적 가치 판단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로 삼은 12가지 의료영상에서 일반촬영, 자기공명영상, 체열검사는 의학적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초음파, 전산화단층영상, 투시검사, 핵의학검사, 양전자방출단층영상, 파노라마, 구강악안면단층영상은 의학적 가치는 있지만 약간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고 마지막으로 유방검사와 혈관조영술, 내시경 검사는 현재의 영상정보로는 의학적 진단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스마트폰의 화질과 픽셀의 구현성,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IT 인터페이스와 영상 보정 옵션 등이 가미될 경우 의료진과 환자에게 탁월한 의료영상정보 서비스가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되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의료영상을 보고 진료할 수 있는 시공간 초월 IT/의료 융합기술이 보편화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Mobile smartphone & tablet PC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recently. On top of this, via various application, now this is appeared the one PC rather than simple cellular phone. for this reason, anywhere and at any time will enter internet space so acquire diverse information furthermore download, upload and play high-difinition images became possible. with the utilization of in this mobile smartphone function, treat a patient simultaneously access to medical facility PACS server wihout limitation of room.
      In this research, put to use smartphone that most widely used device of Korea use real time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e with medical facility server, and then appraise download & view medical image on smartphone. assessors are medical image 2 administrators, 2 image information professor in health college, QA specialist of diagnosis monitor, 2 doctor for radiology and assess point is medical value of each image, asses method is consult paper.
      Research progres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 select research model that GalaxyS(Samsung electronics), it use Android operating system(Google software) because it is most common smartphone in korea so paper will has popularity.
      Second, need a communicating application for PACS in the medical facility, this paper use R: RemoteView, it is remote control program in my hospital office. this applicaion also activate in PC.
      Third, necessary digital image server for real time remote service where medical facility, at this present most general hospital use PACS instead of established film system so this paper apply only upper facility. through remote control application, connect with medical facility PACS and then loading test images that
      evaluated for medical evaluated worth.
      Fourth, viewing the patient medical image via smartphone and capture each image via 'pparun capture' application that produced by Gong-Ryong software in google online market. of course, smartphone has self capture function but it is difficult to handle so use this application. remoteview program has self capture also, it is the same.
      fifth, store capture images filed form and color print out that images, and then consult with question paper to 7 experts about medical value of capture images.
      Result that medical value of each capture image is as follow.
      Of all 12 medical test images, general X-ray, magnetic resonance, thermography are adjudged that have sufficient value of medical diagnosis.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fluorography, nuclear medicin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dental panorama, dental tomography are adjudged that have medical value but require a little supplementation.
      Mammography, X-ray angiography, endoscopy are adjudged that have no value of medical diagnosis.
      Henceforth, if upper images gain additory smartphone pixel definition and IT interface & image correction option, possible to excellent medical image service to medical staff and patient so then without difficulty view the medical image anytime, anywhere that mean of generalization in time and space transcendence about IT&medicine fusion technology.
      번역하기

      Using the Mobile smartphone & tablet PC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recently. On top of this, via various application, now this is appeared the one PC rather than simple cellular phone. for this reason, anywhere and at any time will enter internet...

      Using the Mobile smartphone & tablet PC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recently. On top of this, via various application, now this is appeared the one PC rather than simple cellular phone. for this reason, anywhere and at any time will enter internet space so acquire diverse information furthermore download, upload and play high-difinition images became possible. with the utilization of in this mobile smartphone function, treat a patient simultaneously access to medical facility PACS server wihout limitation of room.
      In this research, put to use smartphone that most widely used device of Korea use real time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e with medical facility server, and then appraise download & view medical image on smartphone. assessors are medical image 2 administrators, 2 image information professor in health college, QA specialist of diagnosis monitor, 2 doctor for radiology and assess point is medical value of each image, asses method is consult paper.
      Research progres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 select research model that GalaxyS(Samsung electronics), it use Android operating system(Google software) because it is most common smartphone in korea so paper will has popularity.
      Second, need a communicating application for PACS in the medical facility, this paper use R: RemoteView, it is remote control program in my hospital office. this applicaion also activate in PC.
      Third, necessary digital image server for real time remote service where medical facility, at this present most general hospital use PACS instead of established film system so this paper apply only upper facility. through remote control application, connect with medical facility PACS and then loading test images that
      evaluated for medical evaluated worth.
      Fourth, viewing the patient medical image via smartphone and capture each image via 'pparun capture' application that produced by Gong-Ryong software in google online market. of course, smartphone has self capture function but it is difficult to handle so use this application. remoteview program has self capture also, it is the same.
      fifth, store capture images filed form and color print out that images, and then consult with question paper to 7 experts about medical value of capture images.
      Result that medical value of each capture image is as follow.
      Of all 12 medical test images, general X-ray, magnetic resonance, thermography are adjudged that have sufficient value of medical diagnosis.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fluorography, nuclear medicin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dental panorama, dental tomography are adjudged that have medical value but require a little supplementation.
      Mammography, X-ray angiography, endoscopy are adjudged that have no value of medical diagnosis.
      Henceforth, if upper images gain additory smartphone pixel definition and IT interface & image correction option, possible to excellent medical image service to medical staff and patient so then without difficulty view the medical image anytime, anywhere that mean of generalization in time and space transcendence about IT&medicine fusion techn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방법
      • II. 연구 재료 정의 및 특성
      • 2.1 스마트폰 GalaxyS (SHW-M110S)
      • I.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방법
      • II. 연구 재료 정의 및 특성
      • 2.1 스마트폰 GalaxyS (SHW-M110S)
      • 2.1.1 운영체제
      • 2.2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 - RemoteView
      • 2.3 화면 캡처 어플리케이션 - 빠른캡처
      • 2.4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 2.4.1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실무적 정의
      • 2.4.2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DICOM)
      • 2.4.3 PACS 프로그램을 통한 DICOM 의학영상 접근
      • III. 연구 프로토콜에 따른 영상 접근
      • 3.1 스마트폰(GalaxyS-SHW-110S)을 가동
      • 3.2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 적용
      • 3.3 캡처프로그램(빠른캡처) 구동
      • 3.4 의료영상 뷰어 및 다운로드
      • IV. 설문조사 의뢰 및 결과
      • 4.1 설문조사 의뢰지 작성
      • 4.2 설문조사 의뢰 결과
      • 4.3 설문조사 의뢰 결과 통계
      • 4.4 설문조사 의뢰 결과 고찰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