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춘천지역 강, 하천, 저수지에 대한 수질 상태 및 수생식물 분포 = Survey of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 for River, Stream and Reservoir in Chun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1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춘천지역의 강, 하천, 저수지에 대하여 수질 상태 및 수생식물의 분포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소양댐의 하류(세월교), 석사천(온의교 부근) 그리고 강원고등학교 옆에 위치하고 있...

      본 연구는 춘천지역의 강, 하천, 저수지에 대하여 수질 상태 및 수생식물의 분포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소양댐의 하류(세월교), 석사천(온의교 부근) 그리고 강원고등학교 옆에 위치하고 있는 노루목저수지 등에 대하여 2013년 4월 28일부터 5월 12일까지 조사를 하였다. 강, 하천 및 저수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조사한결과, 세월교에서 41개체를, 온의교에서 53개체를 그리고 노루목저수지에서 34개체 등 전체 128개의 수생식물을 발견하였다. 세월교에서는 주로 둑새풀(27개체)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온의교(36개체)와 노루목저수지(26개체)에서는 갈대가 가장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의교 부근에서는 타 지역에 비하여 수생식물의 종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반면에 노루목저수지에서는 갈대와 연만 관찰되어 타 지역에 비하여 수생식물 종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댐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세월교의 수질은 pH 7.1, 용존산소량(Do) 7.8mg/L, 총인(TP) 0.011 mg/L, 총질소(TN) 1.670 mg/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1.3 mg/L으로 측정되었다. 생활수가 유입되고 있는 석사천 온의교의 수질은 pH 6.9, 용존산소량(Do) 7.5 mg/L, 총인(TP) 0.091 mg/L, 총질소(TN) 4.114mg/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4.3 mg/L으로 측정되었다. 농업용 관개수로 사용되는 노루목저수지의 수질은 pH6.7, 용존산소량(Do) 7.2 mg/L, 총인(TP) 0.092 mg/L, 총질소(TN) 1.292 mg/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5.0 mg/L으로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수소이온농도(pH)와 용존산소량(Do)의 경우는 분석한 3개 지역 중에서 세월교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총인(TP)의 경우는 노루목저수지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총질소(TN)는 온의교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의 경우는 노루목저수지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생식물들의 분포 및 수질 분석 결과는 앞으로 춘천지역의 강, 하천, 저수지에서 서식하는 수생식물들의 분포 현황과 수질 상태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s for river, stream and reservoir in Chuncheon, we survey three areas of soyang river (sewolgyo), seoksa stream (onuigyo) and norumok reservoir from April 28 to May 12, 2...

      In order to understand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s for river, stream and reservoir in Chuncheon, we survey three areas of soyang river (sewolgyo), seoksa stream (onuigyo) and norumok reservoir from April 28 to May 12, 2013. We found a total of 128 aquatic plants as follows; 41 plants in sewolgyo, 53 plants in onuigyo, and 34 plants in norumok reservoir, respectively. Among them, water foxtail (Alopecurus aequalis Sobol.) mainly observed in sewolgyo (27 plants), and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was found most frequently in onuigyo (36 plants) and norumok reservoir (26 plants). Particularly, in onuigyo, we observed many species of aquatic plants and their plants compared to other areas, but in norumok reservoir, which showed the lowest aquatic plants, we only found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and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On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or the three areas, water quality respectively showed pH 7.1,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o) 7.8 mg/L,total phosphorus (TP) 0.011 mg/L, total nitrogen (TN) 1.670 mg/L, chemical oxygen demand (COD) 1.3 mg/L in sewolgyo, pH 6.9, Do 7.5mg/L, TP 0.091mg/L, TN 4.114 mg/L, COD 4.3 mg/L in onuigyo, and pH 6.7, Do 7.2 mg/L, TP 0.092 mg/L, TN 1.292 mg/L, COD 5.0 mg/L in norumok reservoir. The sewolgyo of soyang river showed the highest in pH and Do. Meanwhile, the norumok reservoir and onuigyo showed the highest in TP and TN, respectively. And COD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norumok reservoir. In our study, the results of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 for rivers, streams, reservoir in Chunche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