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중고기의 부방(赴防)과 군역 = Bubang(赴防)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and military du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70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is ‘who’ were actually required to report for military duties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It was the mid-ancient period when the Shilla government started to mobilize its citizens in military duties, and the peopl...

      Examined in this article is ‘who’ were actually required to report for military duties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It was the mid-ancient period when the Shilla government started to mobilize its citizens in military duties, and the people who were subjected to such calling were usually believed to have been the local population. But it seems that was only true in case of mobilizations during wartime, and a somewhat different principle might have been applied in peacetime situations. In that regard, we should take a loot at the concept of ‘Bubang(赴防),’ described in a story of a female with the last name Seol(“薛氏女傳”) which was inserted in Samguk Sagi. According to this story, some of the residents in the capital were ordered to serve at border areas. A similar account can be found from the ‘Shilla’ entry of a Chinese historical text Suseo(隋書, History of Su) , which informs us of various types of recruitment manners other than the Bubang practice.
      Recruited personnel served both in the capital and at border areas. The region they were sent to serve, the unit they were set to serve in, and the manner of their services varied by cases. Local citizens were allowed to serve at their hometowns. We can see that ‘Bubang’ was the military service expected of the capital residents, which was imposed upon some of the males in the age of 18 to 60, and with the status of below the 6 Dupum grade. They would have been selected from households. Recruitment of them commenced in the mid-6th century when the function of the Ministry of Military(兵部) was officially launched and the Daejang(大幢) units were commissioned. The Military Ministry’s authority was expanded to cover wider local regions, enabling the Bubang practice as seen in the aforementioned tale of Seol the female, eventu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1. 「설씨녀전」에 보이는 부방
      • 2. 군역의 형태 : 왕경인과 지방민
      • 3. 왕경인의 군역과 부방
      • 맺음말
      • 머리말
      • 1. 「설씨녀전」에 보이는 부방
      • 2. 군역의 형태 : 왕경인과 지방민
      • 3. 왕경인의 군역과 부방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黃仁德, "「薛氏女」傳의 劇本的性格試考(下)" 韓國民俗學 23 , 1990

      2 박미선, "「慈藏定律」조로 본 慈藏의 생애와 ‘定律’의 의미"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3 , 2012

      3 松本政春, "律令兵制史の硏究" 淸文堂出版 , 2002

      4 姜鳳龍, "한국역사연구입문 1" 풀빛 , 1995

      5 金錫亨, "한국사와 농민" 신서원 , 1998

      6 임용한, "한국군사사5 -조선전기 1-" 육군본부 , 2012

      7 전덕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48) : 85 ~ 124 , 2007

      8 崔南善, "조선상식문답속편" 景仁文化社 , 2013

      9 기요하라노 나츠노, "영의해 역주 상・하" 세창출판사 , 2014

      10 김택민, "역주 당육전 상・중・하" 신서원 , 2003

      1 黃仁德, "「薛氏女」傳의 劇本的性格試考(下)" 韓國民俗學 23 , 1990

      2 박미선, "「慈藏定律」조로 본 慈藏의 생애와 ‘定律’의 의미"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3 , 2012

      3 松本政春, "律令兵制史の硏究" 淸文堂出版 , 2002

      4 姜鳳龍, "한국역사연구입문 1" 풀빛 , 1995

      5 金錫亨, "한국사와 농민" 신서원 , 1998

      6 임용한, "한국군사사5 -조선전기 1-" 육군본부 , 2012

      7 전덕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48) : 85 ~ 124 , 2007

      8 崔南善, "조선상식문답속편" 景仁文化社 , 2013

      9 기요하라노 나츠노, "영의해 역주 상・하" 세창출판사 , 2014

      10 김택민, "역주 당육전 상・중・하" 신서원 , 2003

      11 朱甫暾,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 신서원 , 1998

      12 기꾸찌 히데오, "세미나 수당오대사" 서경 , 2005

      13 권영국,하일식,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 2008

      14 김기흥,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 -사회변동과 관련하여-" 역사비평사 , 1991

      15 임용한, "고려, 조선전기의 부병제" 역사문화연구 (40) : 87 ~ 120 , 2011

      16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 지배 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모시는 사람들 , 2005

      17 趙仁城, "高麗光宗硏究" 一潮閣 , 1981

      18 李基白, "韓國史學의 方向" 一潮閣 , 1978

      19 梁正錫, "韓國古代軍事史硏究의 現況과 課題" 軍史 32 , 1996

      20 金哲埈, "韓國古代社會硏究" 知識産業社 , 1975

      21 白南雲, "朝鮮社會經濟史" 이론과 실천 , 1994

      22 李貞姬, "日・唐軍防令의 比較硏究"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硏究論文集 53 , 1996

      23 阿部猛編輯, "日本古代史事典" 朝倉書店 , 2005

      24 李文基, "新羅의 六部兵과 그 性格" 歷史敎育論集 27 , 2001

      25 尹善泰, "新羅의 力祿과 職田-祿邑硏究의 進展을 위한 提言-" 韓國古代史硏究 13 , 1998

      26 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 1980

      27 李文基, "新羅軍事組織硏究의 成果와 課題" 歷史敎育論集 12 , 1988

      28 三品彰英, "新羅花郞徒의 硏究" 集文堂 , 1994

      29 李基白,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 1974

      30 李仁哲, "新羅政治制度史硏究" 一志社 , 1993

      31 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 1974

      32 申瀅植, "新羅兵部令考" 歷史學報 61 , 1974

      33 李基白, "新羅兵制史硏究" 一潮閣 , 1997

      34 丁德氣, "新羅中古期兵部의 成立과 整備" 3士論文集 70 , 2010

      35 朱甫暾, "新羅中古期6停에 대한 몇 가지 問題" 新羅文化 3・4 , 1987

      36 國史編纂委員會, "國譯中國正史朝鮮傳" 國史編纂委員會 , 1986

      37 徐榮敎, "嘉實“防秋”의 時空間" 韓國古代史探究 8 , 2011

      38 金羨珉, "唐代府兵役의 性格에 관하여" 中國古中世史硏究 16 , 1996

      39 盧泰敦, "三國時代의 ‘部’에 關한 硏究" 韓國史論 2 , 1975

      40 趙仁城, "三國史記 􀀠凡例의 摸索-本紀記事의 選定基準을 中心으로-" 韓國古代史硏究 40 , 2004

      41 孫政仁, "〈薛氏女傳〉의 인물형성과 서사구조" 大東學文學 14 , 2001

      42 강종훈, "7세기 통일신라기의 순국 인물 분석"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5 , 2004

      43 김창석,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百濟ㆍ新羅의 전쟁과 大耶城" 신라문화 34 (34) : 77 ~ 104 , 2009

      44 최상기, "6~7세기 신라 六停의 戰時운용" 韓國史論 59 ,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