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젠더갈등은 어떻게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이 되었는가?: 보수언론의 젠더갈등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How Gender-Conflict Becomes the Main Discourse in Our Society?: Focused on Gender-Conflict Articles From Conservative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44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used by Korea’s major conservative media to create discourse regarding gender conflict in 2021, when the theme of ‘Men in their 20s undergoing reverse discrimination’ rose as a main deciding factor in the ele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used by Korea’s major conservative media to create discourse regarding gender conflict in 2021, when the theme of ‘Men in their 20s undergoing reverse discrimination’ rose as a main deciding factor in the elec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which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specified to be the reason and agent of conflict when discussing gender conflict, whose voice is represented as the elites of discord who explain and criticize gender conflict while leading the discourse, the context of gender conflict shown in reports about gender conflict, who is pointed out as responsible of generating gender conflict, and whether reports of gender conflict focus on relaying the conflict or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news from Chosun Ilbo, Donga Ilbo, and Joongang Ilbo in 2021.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discussion of gender conflict in 2021 took place mostly in political circles and online, and the main speakers of gender conflict issues are a small number of elites of discord such as politicians, online male- dominated communities, Jin JoonGwan etc. Also, those who assume systematic sexual discrimination (such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eminism or feminists) and promote policies preferential to women, which is the premise for reverse male discrimination, are targeted as the main contributor of gender conflict. Those excluded from the discourse of gender conflict are the history of sexual discrimination, discussion of existing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voice of men and women of the real world in their 20s. This study points out the risk of the current gender conflict discours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solving the social reconstruction crisis that Korea’s society is currently facing, and proposes the necessity of a constructive gender conflict discour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21년 보궐선거 이후, ‘역차별 받는 20대 남성’이 대선을 준비하는 정치권의 주요 캐스팅보트로 소환되는 현상을 배경으로, 2021년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언론(조선, 중아, 동아일...

      이 연구는 2021년 보궐선거 이후, ‘역차별 받는 20대 남성’이 대선을 준비하는 정치권의 주요 캐스팅보트로 소환되는 현상을 배경으로, 2021년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언론(조선, 중아, 동아일보)이 생산하는 젠더갈등 담론을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젠더갈등의 주체와 원인으로 어느 개인이나 집단을 특정하는지, 젠더갈등에 대해 설명하고 비판하며 담론을 주도하는 이른바 담론 엘리트로 누구의 목소리를 소개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에서 적시되는 젠더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지, 젠더갈등을 생산하는 책임은 누구에게로 집중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는 갈등의 중계와 대안제시,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 이루어지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21년 젠더갈등이 발화되거나 논의되는 공간의 대부분이 정치권과 온라인이었으며 젠더갈등 이슈에 대한 주요 발화자는 이준석, 하태경 등 정치인들과 온라인 남초 커뮤니티, 진중권 등 소수의 담론 엘리트임이 밝혀졌다. 정치적 이유에 의한 ‘역차별 받는 이대남’의 전략적 소환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은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로 여성 우대정책을 펴는 여가부를 젠더갈등의 유발자로 비판한다. 또한 온라인 남성 커뮤니티의 게시판과 댓글을 기사화함으로 ‘역차별 받는 남성’과 ‘남성을 혐오하는 여성’의 대립구도를 통해 젠더갈등 담론을 구체화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혐오 발화를 이대남/이대녀를 대표하는 목소리로 과잉재현하는 보도는 현실을 사는 이십대 여성과 남성들의 목소리를 삭제한 채 여혐과 남혐의 선정적 대립구도를 재생산한다. 또한 이러한 대립구도는 젠더갈등 담론을 특정 세대만의 문제로 축소하며 젠더갈등을 ‘그들만의 문제’로 고립시킨다. 이 연구는 현재의 젠더갈등 담론이 한국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 해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성을 지목하며 생산적인 젠더갈등 담론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20대 남성의 역차별에 집중하며 정치인과 온라인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는 젠더갈등 담론은 노동 현장에서의 성차별, 돌봄노동의 젠더화로 인한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성폭력에 대한 여성의 일상화된 공포 등, 20대 남성의 시각에서는 보이지 않는 젠더갈등의 이슈들을 외면하거나 축소한다. 결국, 남녀가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교육을 제외한 노동, 돌봄, 젠더화된 범죄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적 성차별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는 기형적 젠더갈등 담론이 생산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희정, "혐오담론 7년" (93) : 20-49, 2018

      2 김기동 ; 정다빈 ; 이재묵, "한국인의 젠더정체성과 젠더갈등" 한국정치학회 55 (55): 5-42, 2021

      3 류연규 ; 김영미,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131-160, 2019

      4 이재경, "한국사회 젠더 갈등과 ‘사회 통합’" 한국법학원 134 (134): 94-109, 2013

      5 전효관, "청년정책, 새로운 좌표의 설계" 78-99, 2019

      6 오재호, "청년세대의 젠더갈등과 해소" (185) : 56-59, 2021

      7 홍지아, "젠더화된 폭력에 대한 뉴스 보도: 4개 언론사(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의 강남역 여성살인사건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3 (83): 186-218, 2017

      8 김수아, "젠더정치의 미디어프레임, 그 페미니즘" 18-34, 2018

      9 김보명, "젠더 갈등과 반페미니즘의 문법" 비교문화연구소 56 : 1-25, 2019

      10 엄진,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193-236, 2016

      1 손희정, "혐오담론 7년" (93) : 20-49, 2018

      2 김기동 ; 정다빈 ; 이재묵, "한국인의 젠더정체성과 젠더갈등" 한국정치학회 55 (55): 5-42, 2021

      3 류연규 ; 김영미,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131-160, 2019

      4 이재경, "한국사회 젠더 갈등과 ‘사회 통합’" 한국법학원 134 (134): 94-109, 2013

      5 전효관, "청년정책, 새로운 좌표의 설계" 78-99, 2019

      6 오재호, "청년세대의 젠더갈등과 해소" (185) : 56-59, 2021

      7 홍지아, "젠더화된 폭력에 대한 뉴스 보도: 4개 언론사(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의 강남역 여성살인사건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3 (83): 186-218, 2017

      8 김수아, "젠더정치의 미디어프레임, 그 페미니즘" 18-34, 2018

      9 김보명, "젠더 갈등과 반페미니즘의 문법" 비교문화연구소 56 : 1-25, 2019

      10 엄진,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193-236, 2016

      11 윤보라, "일베와 여성혐오" (57) : 33-56, 2013

      12 김학준, "인터넷 커뮤니티 '일베저장소'에서 나타나는 혐오와 열광의 감정동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3 김감미 ; 이지은 ; 김연수 ; 김희선 ; 김성진, "여혐-남혐 갈등: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22 (22): 29-54, 2019

      14 강희영, "여성혐오 담론 분석을 통해 본 사회적 갈등 대응방안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019

      15 김수아, "언론, 성평등 보도관점 바꿔야한다" 63 (63): 57-63, 2021

      16 함승경 ; 최지명 ; 김영욱, "언론 보도의 여성 혐오 그리고 남성 혐오 분석: 언어 네트워크와 비판적 담론 분석의 결합" 한국PR학회 23 (23): 24-51, 2019

      17 TAPACROSS, "소셜 빅데이터로 보는 2019 시대정신"

      18 이선민 ; 이상길, "세월호, 국가, 미디어<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세월호 의견기사에 나타난 ‘국가 담론’ 분석"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3 (23): 5-66, 2015

      19 양승훈, "세대갈등 부각 속에 생략되는 ‘진짜 문제’" (609) : 8-12, 2021

      20 권김현영, "불평등 감각의 젠더차이 : 성차별 현실에 대한 부정과 인정" 47 (47): 35-53, 2019

      21 김수아, "미투 운동 이후 한국 신문에 나타난 성별 갈등 보도 분석" 언론중재위원회 5 (5): 95-139, 2019

      22 이수범 ; 송민호, "디지털 성범죄 사건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n번방 사건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7 (57): 150-195, 2020

      23 한국언론진흥재단,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7 한국" 2017

      24 정고운,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시공사 241-289, 2021

      25 김수아, "갈등 키우는 온라인 커뮤니티 중계보도. 온라인엔 없는 ‘현실의문제’ 보도할 때." (609) : 13-16, 2021

      26 김민정, "“성평등의식이 차이를 만듭니다”: 온라인상의 성차별 혐오표현 사례별 시민인식조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6 (36): 59-95, 2021

      27 김선기,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4 (24): 5-68, 2016

      28 정성조, "‘청년 세대’ 담론의 비판적 재구성: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23) : 12-39, 2019

      29 김수아 ; 김세은, "‘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 페이스북 ‘여성혐오’ 페이지 분석"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5-44, 2016

      30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대남’현상에 대한 인식" 8 (8): 2022

      31 최이숙 ; 장은미 ; 김세은,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 한국언론정보학회 104 : 122-163, 2020

      32 최종숙, "‘20대 남성 현상’ 다시 보기: 20대와 3040세대의 이념성향과 젠더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25) : 189-224, 2020

      33 강정석, "<일간베스트저장소>, 일베의 부상" (75) : 273-302, 2013

      34 김해원 ; 박동숙 ; 이재원 ; 정사강 ; 강혜원 ; 백지연,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6 (26): 85-139, 2018

      35 박보미, "30대의 결혼과 자녀, 행복에 대한 생각" 3-16, 2020

      36 천관율, "20대 남자. 남성 마이너리티, 자의식의 탄생" 세종도서 2020

      37 여성가족부, "2021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Women'S Communication Association -> Korean Women's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4 2.562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