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양검정법에 의한 전남지역 논잡초 발생양상과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분포 = Occurrence Patterns of Paddy Weeds and Distribution of Resistant Weeds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in Jeonnam by a Soil Assay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4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s of paddy weeds, their resistance levels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and to estimate the areas of resistance in these paddy fields. We used soil collected from 358 paddy fields of Jeonnam provi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s of paddy weeds, their resistance levels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and to estimate the areas of resistance in these paddy fields. We used soil collected from 358 paddy fields of Jeonnam province in 2017. Based on their life cycles, weeds were 96% annuals and 4% perennial. Additionally, according to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59% were broad leaves, 28% were sedges and 13% were grasses. Different areas within Jeonnam province contained different numbers and occurrence rates of weed species. However, generally, we observed Lindernia dubia var. dubia,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Ludwigia prostrata, L. procumbens, Cyperus difformis, Scirpus juncoides, Eleocharis Kuroguwai, Echinochloa oryzoides, and E. crus-galli var. echinata. We also observed seven weeds resistant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They were M. vaginalis, S. juncoides, C. difformis, L. dubia, Ludwigia prostrata, E. oryzoides, and E. crus-galli var. echinata.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occurrence rate of resistant weed species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among areas in Jeonnam province, the M. vaginalis, C. difformis, and S. juncoides occurred in 23 cities and counties in Jeonnam including Gwangju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rates (52%) of resistant occurrence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in Jeonnam province, the area of weed resistant paddy fields was estimated to be 91,543 h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토양검정법을 이용하여 전라남도 지역 논에서 발생되고 있는 잡초발생 양상과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여부 검증 및 저항성 잡초 발생 논면적을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2017년 ...

      본 연구는 토양검정법을 이용하여 전라남도 지역 논에서 발생되고 있는 잡초발생 양상과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여부 검증 및 저항성 잡초 발생 논면적을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2017년 전남지역 358 필지에서 채취한 토양에 발생한 잡초의 경우 생활사별로 분류한 경우 일년생 96.1%와 다년생 3.9% 발생하였고, 형태적으로 분류한 경우 광엽잡초 59.0%, 사초과 28.3%, 화본과 12.7% 순으로 발생하였다. 비록 전남에서도 시 군별 논잡초 발생 초종수와 초종별 발생율에 차이가 있으나 미국외풀, 물달개비, 여뀌바늘,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논피, 물피 등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남지역에서는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미국외풀, 여뀌바늘, 물피, 논피 7초종이 발생하였다. 비록 전남 시 군별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잡초 초종수와 발생율은 다르나 이중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는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전남 23개 시 군에서 발생하였다. 전남지역의 ALS 저해제 저항성 발생율(51.5%)에 기초한 저항성 논잡초 발생 논면적는 91,543 ha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효율적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선,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 현황, 메카니즘 및 방제" 농업과학연구소 41 (41): 85-99, 2014

      2 박태선,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 현황과 전망" 한국잡초학회 31 (31): 119-133, 2011

      3 박태선, "제초제 저항성 및 난방제 잡초 방제를 위한 제초제 선발" 한국잔디학회 2 (2): 248-253, 2013

      4 이인용,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한국잡초학회 32 (32): 121-126, 2012

      5 임일빈, "전남지역 벼 재배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 특성" 한국잔디학회 4 (4): 295-307, 2015

      6 이인용,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한국잔디학회 2 (2): 318-321, 2013

      7 하헌영, "국내 논잡초 발생분포조사" 한국잔디학회 3 (3): 71-77, 2014

      8 이인용, "과거 50년간 우리나라 논잡초 군락의 변화" 한국잔디학회 5 (5): 1-4, 2016

      9 김상국, "경북 지역 Sulfonylurea계 저항성 논잡초 발생양상과 분포" 한국잔디학회 2 (2): 131-137, 2013

      10 朴載邑, "最近 논雜草 發生 特性 및 群落變動" 한국잡초학회 22 (22): 272-279, 2002

      1 박태선,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 현황, 메카니즘 및 방제" 농업과학연구소 41 (41): 85-99, 2014

      2 박태선,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 현황과 전망" 한국잡초학회 31 (31): 119-133, 2011

      3 박태선, "제초제 저항성 및 난방제 잡초 방제를 위한 제초제 선발" 한국잔디학회 2 (2): 248-253, 2013

      4 이인용,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한국잡초학회 32 (32): 121-126, 2012

      5 임일빈, "전남지역 벼 재배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 특성" 한국잔디학회 4 (4): 295-307, 2015

      6 이인용,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한국잔디학회 2 (2): 318-321, 2013

      7 하헌영, "국내 논잡초 발생분포조사" 한국잔디학회 3 (3): 71-77, 2014

      8 이인용, "과거 50년간 우리나라 논잡초 군락의 변화" 한국잔디학회 5 (5): 1-4, 2016

      9 김상국, "경북 지역 Sulfonylurea계 저항성 논잡초 발생양상과 분포" 한국잔디학회 2 (2): 131-137, 2013

      10 朴載邑, "最近 논雜草 發生 特性 및 群落變動" 한국잡초학회 22 (22): 272-279, 2002

      11 Kim, S.J., "Weed occurrence in lowland rice feld in Gyeongbuk province" 17 (17): 262-268, 1997

      12 Park, J.E.,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ora in paddy rice feld" 21 (21): 327-334, 2001

      13 Heap, I., "The international survey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14 국용인,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 및 감수성 물달개비,미국외풀 및 마디꽃의 발아 및 생장 특성과 저항성 잡초종에 의한 벼의 수량감소" 한국잡초학회 23 (23): 143-152, 2003

      15 Kim, S.C., "Statu of paddy weed fora and community dynamics in Korea" 3 (3): 223-245, 1983

      16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agricultural area" 2017

      17 Itoh, K., "Occurrence of sulfonylurea resistant Lindernia micrantha D. Don. in Japan" 42 (42): 16-17, 1997

      18 Kwon, O.D., "Herbicide response and control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Monochoria vaginalis in paddy felds in Chonnam province, Korea" 20 (20): 46-52, 2000

      19 Chun, J.C., "Efect of depth of tuber burial,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uber sprouting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14 (14): 49-55, 1994

      20 Oh, Y.J.,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eld in Korea" 1 (1): 21-29, 1981

      21 Park, K.H.,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eld in Korea" 15 (15): 254-261,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1-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4 0.59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