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에 대한 논의가 분분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한국의 헌법은 경성헌법의 특성이 강한 탓에 개헌론은 결실을 맺지 못하고 사라졌던 바 있다. 개헌논의 중에서도 경제조항은 그다지 주목받...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개헌에 대한 논의가 분분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한국의 헌법은 경성헌법의 특성이 강한 탓에 개헌론은 결실을 맺지 못하고 사라졌던 바 있다. 개헌논의 중에서도 경제조항은 그다지 주목받...
개헌에 대한 논의가 분분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한국의 헌법은 경성헌법의 특성이 강한 탓에 개헌론은 결실을 맺지 못하고 사라졌던 바 있다. 개헌논의 중에서도 경제조항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던 분야였다. 하지만 가장 개헌에 있어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은 경제구조가 급격하게 변해 왔다. 현재 헌법의 경제조항을 처음 구상되었던 시대에는 상상할 수도 없던 경제구조로 전환되어 있다. 마치 말하자면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과 같다. 더 이상 동일한 경제조항이 적용되기에 마땅하지 않는 조항들도 많다. 그렇다고 여겨지는 헌법의 경제 조항들을 나열해 보았고, 바뀌어져야 할 내용들이나 지향되어야 할 방향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quite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Constitution Revisement. However, the Constitution of Korea can be revised only by very difficult procedures. With thus hard constitution, the debate on pursuing the Constitution was not fruitful and ...
There has been quite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Constitution Revisement. However, the Constitution of Korea can be revised only by very difficult procedures. With thus hard constitution, the debate on pursuing the Constitution was not fruitful and had to disappear. Among the discussions of the revisement, economic provisions wer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However, it is the most important area to be dealt with in the constitutional reform. Korea's economic structure has changed dramatically. The economic provisions of the present Constitution have been shifted to an economic structure that was unimaginable in the time when it was first conceived. It's like wearing clothes that don't fit body. Many provisions no longer deserve the same economic provisions. I would like to try listed the economic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at are believed to be changed, and examined what needs to be changed or which direction should be oriented.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5
3 "헌법재판소 1998.5.28., 96헌가4"
4 김성수, "헌법상 경제조항에 대한 개정론" 한국공법학회 34 (34): 183-208, 2006
5 "헌법개정 주요 의제"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2017
6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1
7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8
8 성승제, "한국의 재정공금융법 운용과 중앙은행의 역할" 한국법정책학회 17 (17): 445-468, 2017
9 김상겸, "한국 경제질서와 헌법상의 경제조항에 관한 연구 - 독일기본법과 관련하여 -" 한독사회과학회 19 (19): 3-28, 2009
10 성승제, "총부채 관리 재정운용과 법정책" 한국행정법학회 (9) : 2015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5
3 "헌법재판소 1998.5.28., 96헌가4"
4 김성수, "헌법상 경제조항에 대한 개정론" 한국공법학회 34 (34): 183-208, 2006
5 "헌법개정 주요 의제"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2017
6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1
7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8
8 성승제, "한국의 재정공금융법 운용과 중앙은행의 역할" 한국법정책학회 17 (17): 445-468, 2017
9 김상겸, "한국 경제질서와 헌법상의 경제조항에 관한 연구 - 독일기본법과 관련하여 -" 한독사회과학회 19 (19): 3-28, 2009
10 성승제, "총부채 관리 재정운용과 법정책" 한국행정법학회 (9) : 2015
11 법제처, "정부헌법연구반보고서" 1980
12 필립 T. 호프먼, "정복의 조건(Why did Europe conquer the world?)" 책과함께 2016
13 김성수, "시민사회운동과 신자유주의 경제개혁" 한국정치정보학회 17 (17): 197-226, 2014
14 김문현, "사회․경제질서와 재산권" 법원사 2001
15 허성욱, "법의 경제적 분석에 관한 몇 가지 오해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48 (48): 179-205, 2007
16 서보국, "독립행정기관의 설치·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2
17 성승제, "독과점 시장구조 개선을 위한 공정거래법상 시장분석" 한국경제법학회 12 (12): 319-352, 2013
18 성승제, "기관투자가의 경영개입"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587-618, 2006
19 나카무라 사토루(中村哲),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 일조각 2007
20 맥스 샤피로, "권력과 인플레" 도서출판 둥지 1982
21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보고서" 2018
22 SHINYOUNGHYUN, "국가의 시장규제에 대한 헌법적 정당성 - 대형마트 및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영업제한 판결과 관련하여 -" 법학연구소 6 (6): 115-149, 2016
23 권영설, "국가와 경제 –경제질서의 헌법적 기초" 한국공법학회 16 : 1988
24 성승제, "공기업 경쟁중립성 개선을 위한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7
25 홍민기, "고용중심적 복지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노동연구원 2013
26 정순훈, "경제헌법" 법문사 1993
27 성승제, "경제민주화의 효율적 구현을 위한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4
28 노진석, "경제민주화 정책에 대한 헌법적 평가" 국회입법조사처 7 (7): 281-304, 2015
29 김민호, "경제관련 헌법조항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학회 26 (26): 69-100, 2015
30 "https://en.wikipedia.org/wiki/Louis_Brandeis"
31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617722&ref=D"
32 Pearl Sydenstricker Buck, "How It Happens; Talk abot the German People, 1914-1933" Literary Licensing, LLC
33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개헌 집중토론을 위한 전체회의 자료) 제2-2권 재정제도·회계검사기관·경제 등" 2017
경기북부지역의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설치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에서 매도인의 조기 인도 및 초과 인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1 | 0.839 | 0.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