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와 조선시대의 의학발전 단계 시론― 의서를 중심으로 ― = A Trial Discussion about the Medical Development in Goryeo and Joseon Period — Focused on the Medical Textbook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46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East Asian medicine had been developed in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medical textbooks of Goryeo and Joseon.
      As the Chinese medicine enter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tellectuals accepted knowledges of the Chinese medicine, and a small number of the ruling class benefited from the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s and imported medicine.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the Hyangyakgugeupbang(鄕藥救急方) was published. It paid attention to the drug properties of the Korean medicine. This book contains the long-accumulated knowledge of the Korean medicine which used local drugs “Hyangyak.” In Joseon, the government and medical scientists investigated the reality of the Korean medicine on a national scale. It carried out for increasing types and productions of the Korean medicine. As a result, the era of Dongui(東醫) was opened. The goal of treating all diseases of Joseon with the medicine of Joseon was achived.
      However, medical theory of the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printed in 1433 was quite insufficient. Thus, by the successive publication of the Euibangyoochui(醫方類聚) printed in 1477 and the Donguibogam(東醫寶鑑) printed in 1613, the medical theory tailored to the ideological, socioeconomic and medical situations of Joseon was completed.
      It was no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at Lee Je-ma's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was able to overcome the Donguibogam. Lee Je-ma classified every people into four distinctive types: greater yang[tai yang] person, lesser yin[shao yin] person, greater yin[tai yin] person, and lesser yin[shao yin] person. This theory insisted proper treatment for each type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differences of physical features and temperament. His theory has many modern aspects.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uld be modernized by itself.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East Asian medicine had been developed in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medical textbooks of Goryeo and Joseon. As the Chinese medicine enter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tellect...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East Asian medicine had been developed in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medical textbooks of Goryeo and Joseon.
      As the Chinese medicine enter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tellectuals accepted knowledges of the Chinese medicine, and a small number of the ruling class benefited from the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s and imported medicine.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the Hyangyakgugeupbang(鄕藥救急方) was published. It paid attention to the drug properties of the Korean medicine. This book contains the long-accumulated knowledge of the Korean medicine which used local drugs “Hyangyak.” In Joseon, the government and medical scientists investigated the reality of the Korean medicine on a national scale. It carried out for increasing types and productions of the Korean medicine. As a result, the era of Dongui(東醫) was opened. The goal of treating all diseases of Joseon with the medicine of Joseon was achived.
      However, medical theory of the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printed in 1433 was quite insufficient. Thus, by the successive publication of the Euibangyoochui(醫方類聚) printed in 1477 and the Donguibogam(東醫寶鑑) printed in 1613, the medical theory tailored to the ideological, socioeconomic and medical situations of Joseon was completed.
      It was no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at Lee Je-ma's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was able to overcome the Donguibogam. Lee Je-ma classified every people into four distinctive types: greater yang[tai yang] person, lesser yin[shao yin] person, greater yin[tai yin] person, and lesser yin[shao yin] person. This theory insisted proper treatment for each type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differences of physical features and temperament. His theory has many modern aspects.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uld be modernized by itself.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申舜植, "歷代 韓醫學文獻의 考證, I II" 한국한의학연구소 1996

      2 김 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일지사 2000

      3 김성수, "한국의 옛 醫書" (13) : 1996

      4 신동원,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대한의사학회 19 (19): 1-43, 2010

      5 홍원식, "증보 중국의학사" 一中社 2001

      6 이경록, "조선전기 감초의 토산화와 그 의미" 대한의사학회 24 (24): 423-455, 2015

      7 이경록, "조선전기 『의방유취』의 성취와 한계 - ‘상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4 (34): 461-493, 2012

      8 이경록,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태동고전연구소 26 : 215-250, 2010

      9 이경록, "이제마의 의학론과 그 시대적 성격" 대한의사학회 14 (14): 79-100, 2005

      10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 모델" 태학사 2002

      1 申舜植, "歷代 韓醫學文獻의 考證, I II" 한국한의학연구소 1996

      2 김 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일지사 2000

      3 김성수, "한국의 옛 醫書" (13) : 1996

      4 신동원,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대한의사학회 19 (19): 1-43, 2010

      5 홍원식, "증보 중국의학사" 一中社 2001

      6 이경록, "조선전기 감초의 토산화와 그 의미" 대한의사학회 24 (24): 423-455, 2015

      7 이경록, "조선전기 『의방유취』의 성취와 한계 - ‘상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4 (34): 461-493, 2012

      8 이경록,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태동고전연구소 26 : 215-250, 2010

      9 이경록, "이제마의 의학론과 그 시대적 성격" 대한의사학회 14 (14): 79-100, 2005

      10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 모델" 태학사 2002

      11 안상우, "어의촬요연구 : 실전의서 복원총서 I" 한국한의학연구원 2000

      12 이현숙, "신라의학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3 이경록,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3

      14 이경록, "국역 향약구급방" 역사공간 2018

      15 이경록, "국역 의방유취, 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7

      16 이경록, "고려후기 의학지식의 계보 - 『비예백요방』과 『삼화자향약방』의 선후관계 재론 -" 국학연구원 (166) : 93-124, 2014

      17 안상우, "고려의서 『비예백요방』의 고증 - 실전의서의 복원 Ⅱ" 한국의사학회 13 (13): 3-21, 2000

      18 이경록, "고려와 조선 전기의 위령선 활용 - 동아시아 본초학의 한 사례" 대동문화연구원 (77) : 189-222, 2012

      19 이경록, "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혜안 2010

      20 金辰姬, "고려 의서 『備預百要方』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11

      21 孫弘烈, "麗末鮮初 醫書의 編纂과 刊行" 11 (11): 1989

      22 신영일, "高麗時代 醫學에 대한 考察" 동신대학교 7 : 1995

      23 "高麗史節要"

      24 "高麗史"

      25 신순식, "韓國韓醫學史 再定立, 상 하" 한국한의학연구소 1995

      26 金斗鍾, "韓國醫學史 全" 探求堂 1966

      27 金信根, "韓國藥書攷"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28 孫弘烈, "韓國中世의 醫療制度硏究" 修書院 1988

      29 "陽村先生文集"

      30 孫弘烈, "重山鄭德基博士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景仁文化社 1996

      31 "醫方類聚"

      32 이경록, "鄕藥에서 東醫로 : 『향약집성방』의 의학이론과 고유 의술" 역사학회 (212) : 243-278, 2011

      33 김중권,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한국서지학회 (35) : 183-229, 2006

      34 "鄕藥集成方"

      35 "鄕藥濟生集成方"

      36 申榮日, "鄕藥救急方에 대한 연구 : 복원 및 醫史學的 고찰"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37 "鄕藥救急方"

      38 "鄕藥採取月令"

      39 孫炳胎, "鄕藥 藥材名의 國語學的 硏究" 영남대학교 1996

      40 김용섭, "東아시아 역사 속의 한국문명의 전환-충격, 대응, 통합의 문명으로-" 지식산업사 2008

      41 "東醫寶鑑"

      42 "東醫壽世保元"

      43 李能和, "朝鮮醫藥發達史"

      44 三木榮, "朝鮮醫書誌" 學術圖書刊行會 1973

      45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自家 出版 1963

      46 "朝鮮王朝實錄"

      47 김효연, "朝鮮朝 醫書에 관한 書誌的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48 金聖洙, "朝鮮時代 醫療體系와 『東醫寶鑑』" 경희대학교 2006

      49 金澔, "朝鮮前期 對民 醫療와 醫書 編纂" 68 : 1996

      50 金重權, "朝鮮初 鄕藥醫書에 관한 考察" 16 : 1998

      51 富士川游, "日本醫學史" 法仁文化社 2006

      52 "新集御醫撮要方"

      53 "新增東國輿地勝覽"

      54 "救急易解方"

      55 廖溫仁, "支那中世醫學史" カニヤ書店 1932

      56 "慶尙道續撰地理誌"

      57 "慶尙道地理志"

      58 "備預百要方"

      59 南豊鉉, "借字表記法硏究" 檀大出版部 1981

      60 孟景春周仲瑛, "中醫學槪論" 人民衛生出版社 1994

      61 馬伯英高晞洪中立, "中外醫學文化交流史" 電波科學社 1997

      62 朱建平, "中國醫學史硏究" 中醫古籍出版社 2003

      63 陳邦賢, "中國醫學史" 商務印書館 1947

      64 史蘭華, "中國傳統醫學史" 科學出版社 1992

      65 "三國遺事"

      66 "三國史記"

      67 孫昌學, "三和子鄕藥方의 刊行時期에 對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2

      68 "三和子鄕藥方"

      69 강연석, "『향약집성방』의 향약의학 연구 : 향약본초의 처방용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70 이경록,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중국 의료의 조선화" 대한의사학회 20 (20): 225-262, 2011

      71 이경록, "『향약구급방』과 『비예백요방』에 나타난 고려시대 의학지식의 흐름 ― 치과와 안과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8) : 119-156, 2014

      72 崔桓壽, "『醫方類聚』의 引用書에 관한 연구(1)" 3 (3): 1997

      73 金南一, "『鄕藥集成方』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87 : 1999

      74 南豊鉉, "『鄕藥集成方』의 鄕名에 대하여" 87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WHA SAHAK YEONGU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6 0.96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