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申舜植, "歷代 韓醫學文獻의 考證, I II" 한국한의학연구소 1996
2 김 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일지사 2000
3 김성수, "한국의 옛 醫書" (13) : 1996
4 신동원,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대한의사학회 19 (19): 1-43, 2010
5 홍원식, "증보 중국의학사" 一中社 2001
6 이경록, "조선전기 감초의 토산화와 그 의미" 대한의사학회 24 (24): 423-455, 2015
7 이경록, "조선전기 『의방유취』의 성취와 한계 - ‘상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4 (34): 461-493, 2012
8 이경록,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태동고전연구소 26 : 215-250, 2010
9 이경록, "이제마의 의학론과 그 시대적 성격" 대한의사학회 14 (14): 79-100, 2005
10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 모델" 태학사 2002
1 申舜植, "歷代 韓醫學文獻의 考證, I II" 한국한의학연구소 1996
2 김 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일지사 2000
3 김성수, "한국의 옛 醫書" (13) : 1996
4 신동원,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대한의사학회 19 (19): 1-43, 2010
5 홍원식, "증보 중국의학사" 一中社 2001
6 이경록, "조선전기 감초의 토산화와 그 의미" 대한의사학회 24 (24): 423-455, 2015
7 이경록, "조선전기 『의방유취』의 성취와 한계 - ‘상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4 (34): 461-493, 2012
8 이경록,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태동고전연구소 26 : 215-250, 2010
9 이경록, "이제마의 의학론과 그 시대적 성격" 대한의사학회 14 (14): 79-100, 2005
10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 모델" 태학사 2002
11 안상우, "어의촬요연구 : 실전의서 복원총서 I" 한국한의학연구원 2000
12 이현숙, "신라의학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3 이경록,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3
14 이경록, "국역 향약구급방" 역사공간 2018
15 이경록, "국역 의방유취, 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7
16 이경록, "고려후기 의학지식의 계보 - 『비예백요방』과 『삼화자향약방』의 선후관계 재론 -" 국학연구원 (166) : 93-124, 2014
17 안상우, "고려의서 『비예백요방』의 고증 - 실전의서의 복원 Ⅱ" 한국의사학회 13 (13): 3-21, 2000
18 이경록, "고려와 조선 전기의 위령선 활용 - 동아시아 본초학의 한 사례" 대동문화연구원 (77) : 189-222, 2012
19 이경록, "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혜안 2010
20 金辰姬, "고려 의서 『備預百要方』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11
21 孫弘烈, "麗末鮮初 醫書의 編纂과 刊行" 11 (11): 1989
22 신영일, "高麗時代 醫學에 대한 考察" 동신대학교 7 : 1995
23 "高麗史節要"
24 "高麗史"
25 신순식, "韓國韓醫學史 再定立, 상 하" 한국한의학연구소 1995
26 金斗鍾, "韓國醫學史 全" 探求堂 1966
27 金信根, "韓國藥書攷"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28 孫弘烈, "韓國中世의 醫療制度硏究" 修書院 1988
29 "陽村先生文集"
30 孫弘烈, "重山鄭德基博士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景仁文化社 1996
31 "醫方類聚"
32 이경록, "鄕藥에서 東醫로 : 『향약집성방』의 의학이론과 고유 의술" 역사학회 (212) : 243-278, 2011
33 김중권,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한국서지학회 (35) : 183-229, 2006
34 "鄕藥集成方"
35 "鄕藥濟生集成方"
36 申榮日, "鄕藥救急方에 대한 연구 : 복원 및 醫史學的 고찰"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37 "鄕藥救急方"
38 "鄕藥採取月令"
39 孫炳胎, "鄕藥 藥材名의 國語學的 硏究" 영남대학교 1996
40 김용섭, "東아시아 역사 속의 한국문명의 전환-충격, 대응, 통합의 문명으로-" 지식산업사 2008
41 "東醫寶鑑"
42 "東醫壽世保元"
43 李能和, "朝鮮醫藥發達史"
44 三木榮, "朝鮮醫書誌" 學術圖書刊行會 1973
45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自家 出版 1963
46 "朝鮮王朝實錄"
47 김효연, "朝鮮朝 醫書에 관한 書誌的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48 金聖洙, "朝鮮時代 醫療體系와 『東醫寶鑑』" 경희대학교 2006
49 金澔, "朝鮮前期 對民 醫療와 醫書 編纂" 68 : 1996
50 金重權, "朝鮮初 鄕藥醫書에 관한 考察" 16 : 1998
51 富士川游, "日本醫學史" 法仁文化社 2006
52 "新集御醫撮要方"
53 "新增東國輿地勝覽"
54 "救急易解方"
55 廖溫仁, "支那中世醫學史" カニヤ書店 1932
56 "慶尙道續撰地理誌"
57 "慶尙道地理志"
58 "備預百要方"
59 南豊鉉, "借字表記法硏究" 檀大出版部 1981
60 孟景春周仲瑛, "中醫學槪論" 人民衛生出版社 1994
61 馬伯英高晞洪中立, "中外醫學文化交流史" 電波科學社 1997
62 朱建平, "中國醫學史硏究" 中醫古籍出版社 2003
63 陳邦賢, "中國醫學史" 商務印書館 1947
64 史蘭華, "中國傳統醫學史" 科學出版社 1992
65 "三國遺事"
66 "三國史記"
67 孫昌學, "三和子鄕藥方의 刊行時期에 對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2
68 "三和子鄕藥方"
69 강연석, "『향약집성방』의 향약의학 연구 : 향약본초의 처방용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70 이경록,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중국 의료의 조선화" 대한의사학회 20 (20): 225-262, 2011
71 이경록, "『향약구급방』과 『비예백요방』에 나타난 고려시대 의학지식의 흐름 ― 치과와 안과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8) : 119-156, 2014
72 崔桓壽, "『醫方類聚』의 引用書에 관한 연구(1)" 3 (3): 1997
73 金南一, "『鄕藥集成方』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87 : 1999
74 南豊鉉, "『鄕藥集成方』의 鄕名에 대하여" 87 :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