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외배엽이형성 증후군을 동반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유치원 통합을 위한 플로어타임 치료 사례: DIR/Floortime® Approach = A Case Study of Floor Time based Play Therapy for Child with Ectodermal Dyspras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1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of a six years ten months boy who showed ectodermal dyspras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difficulty adapting to his preschool. His problems were attributed to lack of social skills and poor emotional regulation. Floor time based play therapy was conducted for 15 sessions based on the theory of Developmental, Individual Difference, Relationship based Model.
      The Floor time based play therapy aimed to: (1) help him to obtain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to escape from the fear and anxiety about the social interaction from preschool and maintain stable emotional state in everyday life. (2) help him to appears symbolic play and promote verbal two way communication. After the sessions: (1) he became possible friends and teacher with social and emotional two way verbal communication in preschool; (2) his emotionally withdrawn in everyday life decreased; (3) he experienced competence and his self-esteem began to increased; (4) It was reported to start the play about his interesting play theme; (5) The participation of child was also increasing through active effort of parents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Floor time based play therapy and active parenting support for child with ectodermal dysprasia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d developed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based two way communi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of a six years ten months boy who showed ectodermal dyspras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difficulty adapting to his preschool. His problems were attributed to lack of social skills and poor emotional regul...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of a six years ten months boy who showed ectodermal dyspras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difficulty adapting to his preschool. His problems were attributed to lack of social skills and poor emotional regulation. Floor time based play therapy was conducted for 15 sessions based on the theory of Developmental, Individual Difference, Relationship based Model.
      The Floor time based play therapy aimed to: (1) help him to obtain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to escape from the fear and anxiety about the social interaction from preschool and maintain stable emotional state in everyday life. (2) help him to appears symbolic play and promote verbal two way communication. After the sessions: (1) he became possible friends and teacher with social and emotional two way verbal communication in preschool; (2) his emotionally withdrawn in everyday life decreased; (3) he experienced competence and his self-esteem began to increased; (4) It was reported to start the play about his interesting play theme; (5) The participation of child was also increasing through active effort of parents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Floor time based play therapy and active parenting support for child with ectodermal dysprasia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d developed social skills and emotional regulation based two way commun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완전 통합을 한 만6세10개월 된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이다. 본 연구의 사례아동은 외배엽이형증이라는 선천성 희기질환을 갖고 있으며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동반하고 있다. 연구자는 아동의 현재 어려움이 원인은 선천적 희기질환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외모의 특이성과 지적발달지연의 문제가 낮은 자존감과 정서적 위축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고, 아동의 자폐스펙트럼증상으로 인해서 사회․정서적인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핍이 친구와 또래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유치원에서의 회피적이고 참여하지 않는 문제 행동이 나타난 것이라고 보고 15회기 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놀이치료 목표는 아동이 타인과 정서적 관계를 맺고 쌍방향 의사소통을 시작하며, 의사소통의 주도성을 아동이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floor time 놀이치료 중재를 통해 상징을 매개로 주제놀이 표현이 나타나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아동은 유치원에서 교사와 친구들과의 사회․정서적인 쌍방향 의사소통이 시작되고 발전되었다. 또한 자신이 흥미 있는 주제는 의사소통의 순환이 먼저 시작되는 것이 기관에서 보고되었고, 가정과 유치원 적응을 위한 적극적인 개별화 교육계획 지원은 아동의 활동참여도를 증가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외배엽이형성증을 동반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유치원 통합을 위한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완전 통합을 한 만6세10개월 된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이다. 본 연구의 사례아동은 외배엽이형증이라는 선천성 희기질환을 갖고 있으며 자폐스펙트...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완전 통합을 한 만6세10개월 된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이다. 본 연구의 사례아동은 외배엽이형증이라는 선천성 희기질환을 갖고 있으며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동반하고 있다. 연구자는 아동의 현재 어려움이 원인은 선천적 희기질환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외모의 특이성과 지적발달지연의 문제가 낮은 자존감과 정서적 위축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고, 아동의 자폐스펙트럼증상으로 인해서 사회․정서적인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핍이 친구와 또래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유치원에서의 회피적이고 참여하지 않는 문제 행동이 나타난 것이라고 보고 15회기 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놀이치료 목표는 아동이 타인과 정서적 관계를 맺고 쌍방향 의사소통을 시작하며, 의사소통의 주도성을 아동이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floor time 놀이치료 중재를 통해 상징을 매개로 주제놀이 표현이 나타나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아동은 유치원에서 교사와 친구들과의 사회․정서적인 쌍방향 의사소통이 시작되고 발전되었다. 또한 자신이 흥미 있는 주제는 의사소통의 순환이 먼저 시작되는 것이 기관에서 보고되었고, 가정과 유치원 적응을 위한 적극적인 개별화 교육계획 지원은 아동의 활동참여도를 증가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외배엽이형성증을 동반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유치원 통합을 위한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아, "한국판 유아행동평가 척도 교사용(C-TRF)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65-86, 2011

      2 정경미,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 K-PSI 전문가 지침서" 학지사 2008

      3 박은정, "플로어 타임(Floor-time) 중심 부모 교육이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조성진,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의 공존질환 및 동반증상에 대한연구" 10 (10): 64-75, 1999

      5 이선희,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에서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유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의 변별력"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6 (26): 30-37, 2015

      6 김정연, "의사소통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58-81, 2005

      7 신은수, "유아의 가장놀이에서 탈맥락화 수준, 언어기능 수준과 가장에 대한 이해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2002

      8 이명우, "상담실무자를 위한 사례개념화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6

      9 김승국, "사회성숙도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95

      10 김중술,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마음사랑 2005

      1 김영아, "한국판 유아행동평가 척도 교사용(C-TRF)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65-86, 2011

      2 정경미,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 K-PSI 전문가 지침서" 학지사 2008

      3 박은정, "플로어 타임(Floor-time) 중심 부모 교육이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조성진,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의 공존질환 및 동반증상에 대한연구" 10 (10): 64-75, 1999

      5 이선희,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에서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유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의 변별력"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6 (26): 30-37, 2015

      6 김정연, "의사소통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58-81, 2005

      7 신은수, "유아의 가장놀이에서 탈맥락화 수준, 언어기능 수준과 가장에 대한 이해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2002

      8 이명우, "상담실무자를 위한 사례개념화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6

      9 김승국, "사회성숙도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95

      10 김중술,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마음사랑 2005

      11 Lillard, A. S., "Young children's conceptualization of pretense : Action or mental representational state?" 64 (64): 372-386, 1993

      12 Greenspan, S. I., "The affect diathesis hypothesis : The role of emotions in the core deficit in autism and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5 (5): 1-45, 2001

      13 Gowen, J. W., "Research in Review. The Early Development of Symbolic Play" 50 (50): 75-84, 1995

      14 Mcintosh, D. N., "Overview of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In The sensory profile: examiner's manual"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59-73, 1999

      15 Perry, D., "Living with X-linked hypohidrotic ectodermal dysplasia" 19 (19): 26-30, 2005

      16 곽금주, "K-WISC-IV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4 판 전문가지침서"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1

      17 Mastrangelo, S., "Harnessing the power of play : Opportuniti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42 (42): 34-49, 2009

      18 Belsky, J., "From exploration to play : A cross-sectional study of infant free play behavior" 17 (17): 630-639, 1981

      19 Stacey, P., "Floor time" 291 (291): 127-134, 2003

      20 Greenspan, S. I., "Floor Time™ : What it really is, and what it isn’t" Interdisciplinary Council on Developmental and Learning Disorders 2012

      21 Greenspan, S. I., "Engaging autism: Using the floor time approach to help children relate, communicate, and think" Da Capo Press 2009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23 Greenspan, S. I., "Developmental patterns and outcomes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disorders in relating and communicating : A chart review of 200 cases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agnoses" 1 : 87-142, 1997

      24 Hess, E. B., "DIR®/floor time(TM) : Evidence-based practice towards the treatment of autism and sensory processing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6 (6): 267-274, 2013

      25 Rutherford, M. D., "Cognitive underpinnings of pretend play in autism" 33 (33): 289-302, 2003

      26 Maturen, V. L., "Children with ectodermal dysplasias" 68 (68): 216-218, 1998

      27 Greenspan, S. I.,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 Individual differences, affect, interaction, and outcomes" 20 (20): 675-703, 2000

      28 Wieder, S., "Can children with autism master the core deficits and become empathetic, creative, and reflective?" 2004

      29 Westby, C., "A scale for assessing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2 : 15-57, 2000

      30 Greenspan, S. I., "A functional developmental approach to autism spectrum disorders" 24 (24): 147-16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2-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for Infant Mental Health -> Korean Journal for Infant Mental Health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