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단지성 관점의 통일교육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iewpoi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about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6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집단지성 관점에서 통일교육정책의 변천을 살펴보고 집단지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대중의 지혜’라고 부를 수 있는 집단지성은 집단 의사소통으로부터 ...

      본 논문은 집단지성 관점에서 통일교육정책의 변천을 살펴보고 집단지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대중의 지혜’라고 부를 수 있는 집단지성은 집단 의사소통으로부터 창출된 지혜라는 의미로 과거부터 일상에 존재해왔지만 최근 인터넷이 활발해지면서 각광받은 개념으로 대중들이 협력해 도출한 아이디어를 뜻한다. 집단지성을 이루는 핵심 요소인 독립성, 다양성, 전문성, 자발성을 중심으로 통일교육정책의 변천을 분석했다. 통일교육정책 수립의 배경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시기부터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은 한반도 통일 조항으로 연결되었다. 교육 측면에서 통일에 대한 정통성은 한국의 교육이념인 홍익인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독립성에서 개인이 자유롭게 통일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다양성은 형식적 차원에서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교육 내용에서 다양성을 확보하기는 어려웠다. 셋째, 전문성에서 전문가와 일반인은 누구나 통일에 대해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제시할 역량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자발성에서 정부로부터 단일 방향적으로 교육을 받아왔다는 점에서 낮다고 볼 수 있다. 과거 통일교육정책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했고 소수 사람들이 정책을 기획하고 교육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집단지성이 나타나기 어려웠다. 그렇지만 90년대 국제 정세 변화와 남북교류협력이 강조되면서 개인의 지식과 경험을 드러낼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고 인터넷의 활성화로 통일에 관심 있는 개인이나 단체의 의사소통 기회가 늘어났다. 통일교육정책에서 집단지성을 이루는 요소인 독립성, 다양성, 전문성, 자발성을 정부가 어떤 형태로 관리하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긍정적일 것이지만 부정적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집단 지성의 결과가 정책에 반영되어 집단을 이루는 개인과 국민에게 알려졌을 때 더 활발한 참여와 협력을 기대할 수 있고 환류 과정을 통해서 미비한 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social intelligence called "We are smarter than me.". Nowadays Unification education isn``t taught by humans any longer. Anyone who wants the most refined and latest knowledge has to be allowed to take it a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social intelligence called "We are smarter than me.". Nowadays Unification education isn``t taught by humans any longer. Anyone who wants the most refined and latest knowledge has to be allowed to take it and polish it. Unification education instructors and students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each other so that they have to seek social community life, a national way-out and develop a mature sense of citizenship pursuing developed countries.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activation of the plan looks at the evolu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perspective on the unified education policy. Collective intelligence can be called ‘wisdom of crowds`` refers to the idea that the public derive cooperate on the basis of recent creation from the wisdom of the Internet as a means of communication groups. Analysis elements of independence, diversity, professionalism and spontaneity about change of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Background of a unified education policy is set forth in before and after independenc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unification was contained in the Constitution can be found at HongIkInGan(humanitarianism) the legitimacy of Korean unity. First, there is a limit to individual freedom to comment on the independence. Second, diversity can be obtained from the formal level but that is difficult to ensure diversity in the curriculum configuration. Third, professionals and the general public on the expertise it has the capacity to present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the unification cost. Fourth, spontaneity unified education policy in the past can be seen in the low point came under the direction of a single enemy in education from the government. Past unified education policy is a difficult initiative to promote government was planning a few people policie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o appear at that point in charge of education. But the 90``s a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s been different emphasis Inter-Korea Exchange and Cooperation has provided two conditions that may reveal an individual``s knowledge and experience was a passage that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individuals interested in government and unity can receive an opinion was formed. Forming a unified collective intelligence in education policy, elements of independence, diversity depending on whether the spontaneous generation in what form the government maintains that the result will be expressed positively. In particular, collective intelligence should be noted that negative results can occur. When the resul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re reflected in national policy known to individuals and groups can expect to achieve a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t this time, the result is a unified education policy reflect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will be able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points through the course when promoting reflux. In this way, if our society becomes mature, unification cost can be reduced sharply. We have to make more people take an interest in complicated unification problems and gather related opinions. It is our conclusion that we can promote system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호태, "한국 통일교육정책의 변천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통일부, "통일백서(제6장)" 22-23, 2001

      3 통일부, "통일백서(제6장)" 316-323, 2004

      4 통일부, "통일백서(제6장)" 36-40, 2002

      5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통일교육지원법안 심사보고서" 1998

      6 박영균, "통일교육의 변화과정과 전환적 제언" 11 (11): 210-212, 1999

      7 양정훈,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발전적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19 (19): 373-401, 2007

      8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원 40년사" 32-33, 2012

      9 정용하, "통일교육 방식과 내용에 따른 통일 평화의식의 변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321-356, 2005

      10 신지웅, "집단지성을 활용한 온라인교육연구" 5 (5): 908-910, 2007

      1 정호태, "한국 통일교육정책의 변천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통일부, "통일백서(제6장)" 22-23, 2001

      3 통일부, "통일백서(제6장)" 316-323, 2004

      4 통일부, "통일백서(제6장)" 36-40, 2002

      5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통일교육지원법안 심사보고서" 1998

      6 박영균, "통일교육의 변화과정과 전환적 제언" 11 (11): 210-212, 1999

      7 양정훈,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발전적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19 (19): 373-401, 2007

      8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원 40년사" 32-33, 2012

      9 정용하, "통일교육 방식과 내용에 따른 통일 평화의식의 변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321-356, 2005

      10 신지웅, "집단지성을 활용한 온라인교육연구" 5 (5): 908-910, 2007

      11 전성욱, "집단지성을 활용한 사회통일정책에 관한 연구" 남북문화예술학회 (13) : 311-339, 2013

      12 유병희, "집단지성을 활용한 사회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13 김태원, "집단지성 플랫폼으로서의 소셜미디어 : 커뮤니케이션 유형별 실험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14 김성윤, "집단지성 기반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7 (17): 345-363, 2012

      15 Levy, P., "집단지성" 문학과지성사 2004

      16 홍태영, "지식과 권력 그리고 지식인: 집단지성 시대 지식인의 새로운 상을 위하여" 현대정치연구소 6 (6): 205-232, 2013

      17 박근수, "지방자치단체의 비인지형 집단지성 사례 연구:소셜미디어(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와 CNS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97-123, 2013

      18 정희태, "제2장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37-92, 2010

      19 윤상오, "정보화가 정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미국산 쇠고기 수입 의사결정에 대한 인터넷 집단지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3 (13): 113-140, 2010

      20 송경재, "인터넷 집단지성의 동학과 정치적 함의 - 아레나형과 아고라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5 (15): 127-156, 2012

      21 박해경, "이승만정권기 반공이념 교육과 '우리나라 역사' 교과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이희은, "위키피디어 정보의 기술문화적 함의 : 집단지성과 지식 권력"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461-497, 2009

      23 박재천, "웹2.0 플랫폼에서의 집단지성 활용방안 연구" 8 (8): 15-20, 2007

      24 조명래, "우리헌법의 이념적 기초에 관한 연구 : 홍익인본사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5 김세미,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집단 글쓰기 과정 및 집단지성 발현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6 최항섭, "온라인 세대의 네트워킹과 집단지성화에 대한 미래 정책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60-161, 2008

      27 황주성, "소셜컴퓨팅 환경에서 집단지성의 사회적 생산 매커니즘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6-27, 2009

      28 장성준,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기술적 상상'과 '집단지성'에 대한 연구 : 플루서(Flusser)와 레비(Lévy)의 미디어 사상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29 김경숙, "성인학습자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에 나타난 집단지성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30 김성일, "사이버공간에서의 의사소통, 학습 및 인지 패러다임의 변화" 28 (28): 1999

      31 조동기, "사이버공간에서의 여론형성과 집합행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32 김윤재, "사이버 공간과 레비의 집단 지성에 대한 철학적 해명" 한국동서철학회 (76) : 301-323, 2015

      33 유용민, "블로그와 글로벌 공론장: ‘그리스 위기’ 담론에서 집단지성의 가능성과 한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5-52, 2011

      34 최항섭,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287-322, 2009

      35 이재호,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36 이항우, "네트워크 사회의 집단지성과 권위 : 위키피디어(Wikipedia)의 반전문가주의" 비판사회학회 (84) : 278-303, 2009

      37 김현철, "기업의 스마트워크 품질이 직무만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15

      38 박일우, "교양교육에서 인터넷 집단지성의 활용을 위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73-206, 2012

      39 우선정, "고대 집단지성의 향연" 29 : 2011

      40 이종철, "“집단지성”의 한계에 관한 일고찰: 한국어 위키피디아(위키백과)의 북한 문서 분석을 통해"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4 (54): 105-134, 2011

      41 박재천, "Web2.0기반 이러닝 협동학습 시스템 구축과 집단지성 발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63-171, 2010

      42 최영준, "UCC 사용자의 개인적 창의성이 집단지성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UCC 사용자의 개인적 창의성이 집단 여론으로 발전되는 과정은?"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 (20): 5-46, 2012

      43 Surowiecki, K, "The Wisdom of Crowds;대중의 지혜" 랜덤하우스중앙 2004

      44 이봉일, "SNS 사회적 텍스트와 집단지성 간의 상관성 연구 ― 트위터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47 (47): 407-436, 2014

      45 Harry Halpin., "Foundations of a Philosophy of Collective Intelligence" 12-19, 2008

      46 Pierre Levy., "Collective Intelligence" Plenum Press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