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춤을 통한 이중언어 교수요원의 한국무용 인식 변화 = Change of Recognition about Korean Dance on Bilingual Faculty Members through Mask 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93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Korean Dance on bilingual faculty members through Mask Da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5 bilingual faculty members at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conducted a pretest and posttest using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bilingual faculty members were taught Mask Dance from May to August, 2010, 1 session per week and a total of 11 sessions, and 90 minutes per s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recognition-concern, knowledge, effect, and emotional influence-about Korean Dance on bilingual faculty members through Mask Dance had been changed posit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Korean Dance on bilingual faculty members through Mask Da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5 bilingual faculty members at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Incheon Metropol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Korean Dance on bilingual faculty members through Mask Da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5 bilingual faculty members at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conducted a pretest and posttest using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bilingual faculty members were taught Mask Dance from May to August, 2010, 1 session per week and a total of 11 sessions, and 90 minutes per s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recognition-concern, knowledge, effect, and emotional influence-about Korean Dance on bilingual faculty members through Mask Dance had been changed posi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탈춤을 통한 이중언어 교수요원의 한국무용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G교육대학교 이중언어 교수요원 양성과정 수강생 40명 중 35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2시간씩, 11주의 탈춤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한국무용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질문지로 사전, 사후검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탈춤은 이중언어 교수요원들의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 변화 중 관심, 지식, 효과, 개인 정서적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언어 교수요원은 탈춤을 통해서 한국무용을 경험하게 되었고, 한국무용이 신명나고 재미있다고 느꼈으며, 한국무용의 유래나 용어, 종류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한국무용 관람으로 인해 한국무용 단체, 무용수, 작품 등을 알게 되었고, 한국무용을 배우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으며, 한국무용에서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을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탈춤을 통해 한국인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었고, 정서함양과 창의성 개발, 미적 능력 개발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문화예술로서 큰 재산이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한국무용이 사회, 문화 발전에 도움을 주고, 국제적인 교류의 수단임을 알게 되었으며, 한국무용을 통해 문화적인 시각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중언어 교수요원은 다양한 문화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탈춤을 통한 이중언어 교수요원의 한국무용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G교육대학교 이중언어 교수요원 양성과정 수강생 40명 중 35명...

      본 연구는 탈춤을 통한 이중언어 교수요원의 한국무용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G교육대학교 이중언어 교수요원 양성과정 수강생 40명 중 35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2시간씩, 11주의 탈춤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한국무용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질문지로 사전, 사후검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탈춤은 이중언어 교수요원들의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 변화 중 관심, 지식, 효과, 개인 정서적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언어 교수요원은 탈춤을 통해서 한국무용을 경험하게 되었고, 한국무용이 신명나고 재미있다고 느꼈으며, 한국무용의 유래나 용어, 종류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한국무용 관람으로 인해 한국무용 단체, 무용수, 작품 등을 알게 되었고, 한국무용을 배우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으며, 한국무용에서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을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탈춤을 통해 한국인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었고, 정서함양과 창의성 개발, 미적 능력 개발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문화예술로서 큰 재산이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한국무용이 사회, 문화 발전에 도움을 주고, 국제적인 교류의 수단임을 알게 되었으며, 한국무용을 통해 문화적인 시각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중언어 교수요원은 다양한 문화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II. 연구 방법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II.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 과제
      • 3. 연구 도구
      • 4. 자료 처리
      • III. 연구 결과
      • 1. 한국무용 인식 변화
      • I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