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풀뿌리 거버넌스와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85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 차원의 경제중심적 계획과 지방 차원의 물리적 공간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획 패러다임이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생활권역을 단위로 한 종합적인 사회계획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이점에서 지역의 다양한 풀뿌리 조직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행정과의 파트너십을 유기적으로 매개하고 소통시킬 수 있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역할은 중요하다. 지역에 기반을 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상향식 문제해결 전략을 강조하는 풀뿌리 거버넌스는 ‘지역사회의 공동의 비전 만들기’, ‘상향식 접근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 지원’, ‘신뢰와 협력에 기반을 둔 집합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핵심적인 역할로 설정하고 있다. 이점에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은 주민 자율적인 참여와 기획, 거버넌스에 기반을 둔 실천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의 모습을 보면 정책의 비전과 목표, 대상 영역, 그리고 추진 주체와 방식, 체계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공간의 질과 삶의 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통해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를 위한 리더십 개발과 사회-제도적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정립하는 데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번역하기

      국가 차원의 경제중심적 계획과 지방 차원의 물리적 공간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획 패러다임이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생활권역을 단위로 한 종합적인 사회...

      국가 차원의 경제중심적 계획과 지방 차원의 물리적 공간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획 패러다임이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생활권역을 단위로 한 종합적인 사회계획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이점에서 지역의 다양한 풀뿌리 조직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행정과의 파트너십을 유기적으로 매개하고 소통시킬 수 있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역할은 중요하다. 지역에 기반을 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상향식 문제해결 전략을 강조하는 풀뿌리 거버넌스는 ‘지역사회의 공동의 비전 만들기’, ‘상향식 접근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 지원’, ‘신뢰와 협력에 기반을 둔 집합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핵심적인 역할로 설정하고 있다. 이점에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은 주민 자율적인 참여와 기획, 거버넌스에 기반을 둔 실천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의 모습을 보면 정책의 비전과 목표, 대상 영역, 그리고 추진 주체와 방식, 체계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공간의 질과 삶의 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통해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를 위한 리더십 개발과 사회-제도적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정립하는 데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overcome the limits of national level's economic planning and local level's physical planning, comprehensive social planning of community level needed on the side of paradigm shift of planning. This means that the means of grassroots governance that mediate and communicate of grassroots initiatives and partnership are very important. The roles of grassroots governance which emphasizes the community-bas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bottom-up problem solving strategy are as follows: making of community's common vision, support of bottom-up problem solving, and enhancement of collec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based on the trust and cooperation. Present government policy toward livable community making, therefore, exposes many lacks in vision, target area, promoting actor, process and system of policy implement. Activating of grassroots governance and participatory community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for leadership development of residents and socio-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through grassroots initiatives, and these also suggest us relevant model of community-driven sustainable development.
      번역하기

      To overcome the limits of national level's economic planning and local level's physical planning, comprehensive social planning of community level needed on the side of paradigm shift of planning. This means that the means of grassroots governance tha...

      To overcome the limits of national level's economic planning and local level's physical planning, comprehensive social planning of community level needed on the side of paradigm shift of planning. This means that the means of grassroots governance that mediate and communicate of grassroots initiatives and partnership are very important. The roles of grassroots governance which emphasizes the community-bas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bottom-up problem solving strategy are as follows: making of community's common vision, support of bottom-up problem solving, and enhancement of collec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based on the trust and cooperation. Present government policy toward livable community making, therefore, exposes many lacks in vision, target area, promoting actor, process and system of policy implement. Activating of grassroots governance and participatory community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for leadership development of residents and socio-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through grassroots initiatives, and these also suggest us relevant model of community-driven sustainable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풀뿌리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개념, 의미, 역할, 구성 체계
      • 3. 정부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에 대한 비판적 진단
      • 4. 풀뿌리 거버넌스를 통한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의 방향과 과제
      • 5. 결론
      • 1. 서론
      • 2. 풀뿌리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개념, 의미, 역할, 구성 체계
      • 3. 정부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에 대한 비판적 진단
      • 4. 풀뿌리 거버넌스를 통한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의 방향과 과제
      • 5. 결론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창립 취지문. 2006. 12. 10" 2006b

      2 "창립 대화모임 회의록" 1-2, 2006a

      3 "지속가능성과 거버넌스 합의형성적 접근에 대한 탐색" 주)한국학술정보 2006a

      4 "어디서나 살기 좋은 국토만들기" 2006

      5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총괄소개" 2007

      6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지원계획: Happy Korea Project 2006. 8" 2006b

      7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비전과 과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제이플러스애드 2006

      8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 자치단체 우수계획 선정 추진계획 2006. 10" 2006a

      9 "민관 협력체제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2007

      10 "거버넌스의 ‘덫’과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이음 1" 2006b

      1 "창립 취지문. 2006. 12. 10" 2006b

      2 "창립 대화모임 회의록" 1-2, 2006a

      3 "지속가능성과 거버넌스 합의형성적 접근에 대한 탐색" 주)한국학술정보 2006a

      4 "어디서나 살기 좋은 국토만들기" 2006

      5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총괄소개" 2007

      6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지원계획: Happy Korea Project 2006. 8" 2006b

      7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비전과 과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제이플러스애드 2006

      8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 자치단체 우수계획 선정 추진계획 2006. 10" 2006a

      9 "민관 협력체제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2007

      10 "거버넌스의 ‘덫’과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이음 1" 2006b

      11 "Towards Multi-level Governance" London: Macmillan 2000

      12 "Thinking about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Deepening Democracy" Verso 2003

      13 "The Importance of Grassroots Initiatives Grassroots Initiatives in Sustainable Development. London. June 10th 2005" 2005

      14 "The Changing Governance of Welfare: Recent Trends in its Primary Functions, Scale, and Modes of Coordination Changing Governance of Welfare Recent Trends in its Primary Functions and Modes of Coordination.”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33" 33 (33): 348-359, 1999

      15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Governance" 112 : 419-436, 2002

      16 "Quiet Revolution of Democratic Governance: Towards Democratic Experimentalism" 2001

      17 "Partnership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based Organizations: Exploring the Scope for Synergy" 23 : 361-371, 2003

      18 "Participation, Power and Rural Community Governance" Manchester University 2001

      19 "Participation and Accountability at the Periphery: Democratic Local Governance in Six Countries" 28 (28): 21-39, 2000

      20 "New Community Governance in Small Rural Towns: the Australian Experience" 20 : 433-443, 2004

      21 "Neighborhood Governance Reform and Networks of Community Power in Los Angeles" 36 (36): 79-97, 2006

      22 "Making Local Governance Work: Networks, Relationships and the Management of Change Palgrave. Basingstoke" 2001

      23 "J. and M. Van Vliet. 1993. “Governance and Public Management.” in K. A. Eliassen and J. Kooiman" Sage Publisher.

      24 "Governance, Politics and the State" Basingstoke: Palgrave 2000

      25 "Governance in the South Australian Public Health System" 4 : 2003

      26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Published by UNESCO 155 : 1998

      27 "Fostering Neighborhood Democracy: Legitimacy and Accountability within Loosely Coupled Systems" 32 (32): 161-189, 2003

      28 "Exploring Community Governance in Victorian Local Government" 2003

      29 "Community-Based and Driven Development: A Critical Review" 19 (19): 1-39, 2004

      30 "Community in Public Policy: Fad for Foundation" 60 (60): 13-23, 2001

      31 "Community Governance: Resource Kit. Christchurch City Council 12 July" 1999

      32 "Community Governance, Community Leadership and the New Local Government" York. Joseph Rowntree Foundation 1998

      33 "Community Governance and the New Central-local Relationship UNESCO 2002" Publishers 2002

      34 "Community Governance" 31 : 519-525, 1999

      35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UBC Press 1997

      36 "Building Collaborative Capacity in Community Coalitions: A Review and Integrative Framework" 29 (29): 231-262, 2001

      37 "A View from the City: Local Government Perspectives on Neighborhood-based Governance in Community-building Initiatives" 21 (21): 57-78, 1999

      38 "A Review of the Trends and Benefits of Community Engagement and Local Community Governance in Health Care"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7 1.24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