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의 지역 간 농산물 시장화 진전에 대한 연구 : 쌀을 중심으로 = A Study of North Korea’s Regional Marketization in Agricultural Produ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00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2000s, private sectors in North Korea have become active, as repor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rs,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media actively present indirect evidence regarding market operations within North Korea, following...

      Since the 2000s, private sectors in North Korea have become active, as repor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rs,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media actively present indirect evidence regarding market operations within North Korea, following its reported activation in the private sector. However, North Korean authorities continue to assert themselves as a socialist planned economy. In the context of presented interpretations and claims regarding marketization,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objectively analyze the situation.
      The agricultural sector is the foundational industry of the planned economy and is considered a core sector in North Korea, given its connection to basic human survival and the livelihood of farmers. Despite this, even in the 2010s, North Korea's public distribution system has not fully functioned. In this scenario, market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residents' livelihoods, increasing farm incomes, and alleviating regional food supply imbalances in North Korea. Despite being a crucial subject for investigation in the North Korean economy, research on this is limited due to fundamental constraints in inaccessible area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state of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focusing on 9 regions, including core areas, and 24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rice.
      Firstly, this study analyzed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of one price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among regions in the North Korean rice market.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xistence of the absolute law of one price showed that, in two cases (F-H, West; D-G, East), an almost perfect law of one price was formed, and a relative law of one price was established throughout North Korea. This indicates that the market mechanism is working to adjust price differences between regions in the North Korean rice market.
      Next, this study identified the distribution structure among regions in the North Korean rice market. The analysis revealed one grain-producing region (A) and two distribution hubs (E), (D)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the western distribution hub (E) and the China border region (B) was maintained at about 4% (165-216 won). The price volatility of the supply shortage area (D) in the food-producing region and the eastern region was transferred to other regions, while the price volatility of the western distribution hub (E), core area (F), and North-Central border region was not transferred to other regions.
      Additionally, this research studied the formation, promotion, and factors of the law of one price for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 Korean agricultural market. Although there were price differences by region and product, the operation of market adjustment functions reduced the differences, and the law of one price was established for a considerable number of products. However, for products with high dependence on imports, the law of one price was not formed. This could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North Korean trade is not freely conducted as part of the planned economy, making free market transactions of traded goods diffic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points. Firstl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unctioning of market mechanism in the North Korean economy, focusing o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law of one price was established for a number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rice, and this is linked to continuous transactions between markets. Secondly, this study found that the agricultural market has been operating stably since Kim Jong-un took power. North Korea has enacted and enforced regulations related to market operations, and the price system has been reorganized into national/administrative prices, quasi-national/quasi-administrative prices, and market prices. The empirical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 prices showed that agricultural product prices were formed and adjusted according to price theory, and the volatility of rice prices stabilized after shocks.
      Through a series of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recognizes the formation of a consumer goods market within North Korea and understands the marketization phenomen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academic distinctiveness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 in the analysis of regional agricultural markets in North Korea centered around price theory, as well as the study of the interconnec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regional markets.
      In the future, measures to improve market operations and price determination efficiency in North Korea c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economic reform measures. In this case, the introduction of wholesale markets operated under the supervision of North Korean authorities could be considered. If the agreed price in the wholesale market is reasonably determined, it could positively contribute to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North Korea. Especially, since South Korea has abundant experience in operating public wholesale markets, it might be possible to explore ways of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in this field.
      The economic isolation of North Korea has intensified due to international sanctions and the COVID-19 pandemic in the 2020s, and policies strengthening the planned economy have been implemented. When analyzing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North Korean market in the future, the theories and analysis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이후 북한 내 사적 부문이 활성화되고 있다고 알려진 뒤, 국내외 연구자, 북한이탈주민, 언론은 북한 내 시장 운영에 관한 간접 증거를 활발히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은 여...

      2000년대 이후 북한 내 사적 부문이 활성화되고 있다고 알려진 뒤, 국내외 연구자, 북한이탈주민, 언론은 북한 내 시장 운영에 관한 간접 증거를 활발히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은 여전히 자신을 사회주의 계획경제 국가라고 선전한다. 시장화에 대한 배치되는 해석과 주장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농업 부문은 계획경제의 근간 산업이며, 인간의 기초 생존 및 농민 생계와 관련이 있어 북한에서도 핵심 부문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북한은 2010년대에도 공공분배체계가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은 주민 식생활 개선, 농장의 소득 향상, 지역별 식량 수급 불균형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즉, 농산물 시장은 북한 경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접근 불능 지역이란 근원적 한계로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이후인 2012년 1월부터 2021년 12월, 북한의 핵심지를 포함한 9개 지역, 쌀을 포함한 각종 농축산물 24개 품목을 대상으로 북한 시장화 실태를 분석하였다.
      먼저 북한 쌀 시장을 대상으로 일물일가 법칙의 성립 및 지역 간 유통 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절대적 일물일가 형성 여부를 검증한 결과, 2개 사례(F-H, 서부 ; D-G, 동부)는 거의 완벽한 일물일가가 형성되었고, 상대적 일물일가는 북한 전역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이는 북한 쌀 시장에서 가격 격차가 조정되는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어 북한 쌀 시장의 지역 간 유통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1개 식량 주산지(A)과 동서부 지구의 2개 유통 거점(E, D)을 파악하였고, 서부 유통 거점(E)과 북중 접경지(B) 간 가격 격차는 약 4%(165~216원)에서 유지되었다. 식량 주산지와 동부 지구 내 공급 부족 지역(D)의 가격 변동성은 다른 지역으로 전이되었고, 북한의 서부 유통 거점(E), 핵심지(F), 북중 접경지의 가격 변동성은 다른 지역에 전이되지 않고 있었다.
      북한 농산물 시장의 품목별 일물일가 형성 여부와 촉진 및 이탈 요인도 탐구하였다. 북한 농산물 가격은 지역별, 품목별로 가격 격차가 있지만, 시장 조정 기능의 작동으로 격차가 축소하였고, 상당수(18개) 품목은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고 있었다. 다만,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은 일물일가가 형성되지 않았는데, 이는 북한 무역은 인민 경제계획의 일부로 해외 거래가 자유롭게 이뤄지지 않으며, 무역품의 자유로운 시장 거래가 어려운 것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성과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북한 경제 내 시장 기능의 작동 여부를 농업 부문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 쌀을 포함한 상당수 농산물 가격은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고 있었고, 이는 시장 간 지속적인 거래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김정은 집권 이후 농산물 시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것도 파악하였다. 북한은 시장 운영 관련 법규를 제정 및 시행하고 있으며, 가격 체계는 국가/행정 가격, 준국가/준행정 가격, 시장 가격 등으로 재편되었다. 농산물의 시장 가격을 실증 분석한 결과, 농산물 가격은 가격 이론에 따라 형성 및 조정되고 있었고, 충격이 발생한 이후에도 쌀 가격 변동성은 점차 안정화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일련의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북한 내 소비재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농업 분야의 시장화 현상을 이해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차별성과 기여로는 가격 이론을 중심으로 북한의 지역 농산물 시장을 분석하고, 지역 시장 간의 연계 및 이행기 경제적 특성을 연구한 점에 있다.
      향후 시행될 북한의 경제 개혁 조치로 시장 운영 및 가격 결정 효율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다. 이때, 북한 당국(국가가격제정위원회 등)의 관리 감독 하에 운영되는 도매시장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만약, 도매시장에서 준행정 가격인 합의가격이 합리적으로 결정된다면, 북한의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공영 도매시장의 운영에 관한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래 해당 분야의 남북경제협력 방안도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020년대 이후 진행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코로나 팬데믹으로 북한 경제의 폐쇄성이 심화되었고, 계획경제를 강화하는 정책이 시행된다고 알려졌다. 향후 북한 시장의 변화를 분석할 때에도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이론 및 분석 기법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제 1 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제 2 절 체제 전환 이론과 사례 3
      • 제 3 절 북한의 경제 개혁 관련 연구 동향 12
      • 제 4 절 연구 구성과 범위 18
      • 제 1 장 서론
      • 제 1 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제 2 절 체제 전환 이론과 사례 3
      • 제 3 절 북한의 경제 개혁 관련 연구 동향 12
      • 제 4 절 연구 구성과 범위 18
      • 제 2 장 북한의 식량 수급 체계와 시장의 역할
      • 제 1 절 식량의 생산과 소비 21
      • 제 2 절 공공분배체계와 시장의 기능 29
      • 제 3 절 지역별 식량 수급 상황과 시장 가격 40
      • 제 3 장 북한 쌀 시장의 지역 연계와 가격 네트워크
      • 제 1 절 분석 배경과 개요 63
      • 제 2 절 두 시장-단일 품목의 일물일가 법칙 65
      • 제 3 절 분석 절차 및 방법 72
      • 제 4 절 계량 분석 결과 및 응용 78
      • 제 5 절 소결 88
      • 제 4 장 북한 쌀 가격 변동성의 지역 간 전이효과
      • 제 1 절 분석 배경과 개요 91
      • 제 2 절 시장 연계와 가격 변동성 전이 93
      • 제 3 절 다중 시장-단일 품목 가격 모형의 활용 101
      • 제 4 절 계량 분석 결과 및 응용 107
      • 제 5 절 소결 121
      • 제 5 장 북한 농산물 시장의 일물일가 법칙 검정
      • 제 1 절 분석 배경과 개요 124
      • 제 2 절 시장 가격의 구성 요소와 분산 분해 126
      • 제 3 절 다중 시장-다중 품목의 일물일가 분석 131
      • 제 4 절 분석 자료 및 실증 분석 139
      • 제 5 절 소결 152
      • 제 6 장 결론 155
      • 참고문헌 160
      • Abstract 1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