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처용가 중기(中機)의 가창기법 연구 -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2기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Vocalism of Junggi(중기) of Cheoyongga(처용가) - Focused on second note of Bonghwangeum(봉황음) in 『Musical Notation in Annuuls of King Sej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1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악곡을 실제 연주하기 위한 기초 논문이다. 봉황음은 1ㆍ2ㆍ3기(機)의 세 악곡으로 되어 있지만, 이 중 본 연구에서는 봉황음 2기의 노래를 중점 재현하기 위한 가사배자의 문제 및 발성법, 발음법, 숨자리에 대해 한국음악적 기법을 찾아 가곡으로 실기화 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삼는다. <sup>38)</sup> 따라서 본고는 그 이론적 문제를 정립하고자 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여기(女妓)가 처용가를 부른다는 내용과 함께 `신라성대 소성대`로 시작되는 처용가의 가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악학궤범의 기록에 의하여 처용가의 가사를 봉황음 음악에 얹어 부르기로 결정하였다.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1기의 음악적 구조와 처용가의 만기 (1절)의 음악적 구조가 동일하다. 그러므로 봉황음 2기는 처용가 중기(2절)의 가사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처용가 중기의 가사를 봉황음 2기의 음악에 얹어서 재현하는데 필요한 가창기법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처용가 중기의 노래를 부르기 위한 속도의 결정은 무용분야의 조언에 따라, 봉황음 2기와 처용가 중기는 현행 처용무에서 수양수오방무가 중심이 된다는 삼현도드리 속도로 정하였다.
      둘째,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가사는 처용가의 가사인 `신라성대 소성대(新羅聖代昭聖代)`가 아닌 `산하천리국`이라는 가사로 표기 되어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처용가의 가사를 적용하였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여기 (女妓)가 처용가를 부른다는 내용과 함께 “신라성대소성대”로 시작되는 처용가의 가사로 되어 있어 이 기록에 의하여 처용가 가사를 봉황음 음악에 얹어 부르기로 했다.
      셋째, 처용가 만기와 중기를 봉황음 1기와 2기에 어떻게 적용 할 것인가의 문제는 처용가와 봉황음의 음악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처용가는 전강-부엽-중엽-부엽-소엽-후강-부엽-중엽-부엽-소엽-대엽-부엽-중엽-부엽-소엽의 구조를 가지며 1절(만기)과 2절(중기)이 똑같은 형식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1, 2, 3 악보의 순서를 보면 각 80행 동안 전강-부엽-중엽-부엽-소엽-후강-부엽-중엽-부엽-소엽-대엽-부엽-중엽-부엽-소엽의 구조로 되어있다. 즉 봉황음 1기가 끝나는 부분이 처용가 1절이 끝난다. 따라서 봉황음 2기는 처용가 2절(중기)의 가사를 불러야 한다고 본다.
      넷째, 봉황음에 수록된 가사인 `산하천리국` 대신 처용가 중기의 가사인 `누고지어세니오`로 바꿀 때 글자수가 다름으로 인한 배자의 규칙은 봉황음의 배자를 기준으로 삼았다. 봉황음의 배자를 보면 제1정간, 제17정간에 가장 많이 되어 있고 제4정간, 제20정간, 제25정간, 제9정간, 제14정간, 제30정간, 제28정간, 제31정간, 제27정간, 제12정간 순으로 배자가 되어 있다. 다시 말해 32정간을 음보에 따라 크게 나누었을 때 16정간씩 둘로 볼 수 있으며 16정간 속에서 첫째박과 네 째박에 가장 많이 배자 되어있다.
      가사의 배자 간격은 가사의 글자 수와 관계없이 전달이 잘 되도록 행 별로 구분 해 놓았고, 자음은 짧게 모음은 길게 하는 현행 가곡의 어법과 유사한 형태로 보인다. 첫째박과 넷째박에 노랫말이 가장 많이 배자되어 있다는 점도 현행의 가곡과 유사하다 할 수 있겠다.
      다섯째, 처용가 노래의 발성법은 현행 가곡의 발성을 기본으로 맑고 고운 소리와 높은음에서는 속소리를 사용하였으며, 발음법은 복모음은 풀어서 노래하였다.
      여섯째, 봉황음 악보에는 숨자리 표기가 없다. 그래서 숨자리의 기본은 16정간 단위로 호흡하고, 쉼표는 지속음이 여러 행 계속 될 경우 다음 행의 편안한 노래를 위하여 쉬는 자리를 만들었다, 몇 정간을 쉬는가 하는 문제는 16정간(박)을 기본 호흡으로 정한 것에서 11박을 노래하고 5박은 쉰다는 원칙을 세웠다. 19박을 한음으로 길게 지속하는 경우는 11박 노래하고 8박을 쉬고, 14박을 한 음으로 길게 지속하는 경우는 11박을 노래하고 3박을 쉬는 것으로 정하여 노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악곡을 실제 연주하기 위한 기초 논문이다. 봉황음은 1ㆍ2ㆍ3기(機)의 세 악곡으로 되어 있지만, 이 중 본 연구에서는 봉황음 2기의 노래를 중점 재현하...

      본 연구는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악곡을 실제 연주하기 위한 기초 논문이다. 봉황음은 1ㆍ2ㆍ3기(機)의 세 악곡으로 되어 있지만, 이 중 본 연구에서는 봉황음 2기의 노래를 중점 재현하기 위한 가사배자의 문제 및 발성법, 발음법, 숨자리에 대해 한국음악적 기법을 찾아 가곡으로 실기화 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삼는다. <sup>38)</sup> 따라서 본고는 그 이론적 문제를 정립하고자 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여기(女妓)가 처용가를 부른다는 내용과 함께 `신라성대 소성대`로 시작되는 처용가의 가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악학궤범의 기록에 의하여 처용가의 가사를 봉황음 음악에 얹어 부르기로 결정하였다.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1기의 음악적 구조와 처용가의 만기 (1절)의 음악적 구조가 동일하다. 그러므로 봉황음 2기는 처용가 중기(2절)의 가사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처용가 중기의 가사를 봉황음 2기의 음악에 얹어서 재현하는데 필요한 가창기법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처용가 중기의 노래를 부르기 위한 속도의 결정은 무용분야의 조언에 따라, 봉황음 2기와 처용가 중기는 현행 처용무에서 수양수오방무가 중심이 된다는 삼현도드리 속도로 정하였다.
      둘째,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가사는 처용가의 가사인 `신라성대 소성대(新羅聖代昭聖代)`가 아닌 `산하천리국`이라는 가사로 표기 되어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처용가의 가사를 적용하였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여기 (女妓)가 처용가를 부른다는 내용과 함께 “신라성대소성대”로 시작되는 처용가의 가사로 되어 있어 이 기록에 의하여 처용가 가사를 봉황음 음악에 얹어 부르기로 했다.
      셋째, 처용가 만기와 중기를 봉황음 1기와 2기에 어떻게 적용 할 것인가의 문제는 처용가와 봉황음의 음악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처용가는 전강-부엽-중엽-부엽-소엽-후강-부엽-중엽-부엽-소엽-대엽-부엽-중엽-부엽-소엽의 구조를 가지며 1절(만기)과 2절(중기)이 똑같은 형식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1, 2, 3 악보의 순서를 보면 각 80행 동안 전강-부엽-중엽-부엽-소엽-후강-부엽-중엽-부엽-소엽-대엽-부엽-중엽-부엽-소엽의 구조로 되어있다. 즉 봉황음 1기가 끝나는 부분이 처용가 1절이 끝난다. 따라서 봉황음 2기는 처용가 2절(중기)의 가사를 불러야 한다고 본다.
      넷째, 봉황음에 수록된 가사인 `산하천리국` 대신 처용가 중기의 가사인 `누고지어세니오`로 바꿀 때 글자수가 다름으로 인한 배자의 규칙은 봉황음의 배자를 기준으로 삼았다. 봉황음의 배자를 보면 제1정간, 제17정간에 가장 많이 되어 있고 제4정간, 제20정간, 제25정간, 제9정간, 제14정간, 제30정간, 제28정간, 제31정간, 제27정간, 제12정간 순으로 배자가 되어 있다. 다시 말해 32정간을 음보에 따라 크게 나누었을 때 16정간씩 둘로 볼 수 있으며 16정간 속에서 첫째박과 네 째박에 가장 많이 배자 되어있다.
      가사의 배자 간격은 가사의 글자 수와 관계없이 전달이 잘 되도록 행 별로 구분 해 놓았고, 자음은 짧게 모음은 길게 하는 현행 가곡의 어법과 유사한 형태로 보인다. 첫째박과 넷째박에 노랫말이 가장 많이 배자되어 있다는 점도 현행의 가곡과 유사하다 할 수 있겠다.
      다섯째, 처용가 노래의 발성법은 현행 가곡의 발성을 기본으로 맑고 고운 소리와 높은음에서는 속소리를 사용하였으며, 발음법은 복모음은 풀어서 노래하였다.
      여섯째, 봉황음 악보에는 숨자리 표기가 없다. 그래서 숨자리의 기본은 16정간 단위로 호흡하고, 쉼표는 지속음이 여러 행 계속 될 경우 다음 행의 편안한 노래를 위하여 쉬는 자리를 만들었다, 몇 정간을 쉬는가 하는 문제는 16정간(박)을 기본 호흡으로 정한 것에서 11박을 노래하고 5박은 쉰다는 원칙을 세웠다. 19박을 한음으로 길게 지속하는 경우는 11박 노래하고 8박을 쉬고, 14박을 한 음으로 길게 지속하는 경우는 11박을 노래하고 3박을 쉬는 것으로 정하여 노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basic article conducted to play a musical note, < Bonghwangem > contained in `Musical Notation in Annuls of King Sejong`. < Bongbwangeum > consists of three notes and this article is focused on examining Korean musical techniquesrelating to the matters of marking phonemes, vocalization, orthoepy and breathing point and thereby, actualizing it into a song for the reconstruction of second note.1) Thus, it shall establish the theoretical issue as follows.
      『Akhakguebeom(악학궤범)』 includes a story that Yeogi sang < Cheoyongga > and the lyrics of the song starting with `Shillaseongdae Soseongdae` (신라성대 소성대). I have decided to apply the lyrics of < Cheoyongga > to < Bonghwangeum > based on the records of < Akhakguebeom >. The musical structures of first note of < Bonghwangeum > and Mangi(만기, 1st verse) of < Cheoyongga > are identical. Therefore,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the Junggi(중기, 2nd verse) of < Cheoyongga >. I hav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 as to various components of vocalism for the reappearance by applying the Junggi verse of < Cheoyongga > to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Firstly, the speed of song in singing Junggi of < Cheoyongga > shall be predicated upon <Samhyeondodri>(삼현도드리), which means that `Suyangsuobangmu`(수양수오방무) is the core of present ` Cheoyong-mu ` (Cheoyong Dance) in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and Junggi of < Cheoyongga > upon the advice of dance experts.
      Secondly, the verse of < Bonghwangeum > contained in `Musical Notation in Annuls of King Sejong` is not `Shillaseongdae Soseongdae`, the verse of < Cheoyongga > but `Sanhacheolliguk ` (산하천리국). In this study, however, I have exploited the verse of < Cheoyongga >. As < Akhakguebeom > consists of the contents that Yeogi sang < Cheoyongga > and the verse of Cheoyongga starting with ``Shillaseongdae Soseongdae`, I shall sing the verse of Cheoyongga applying to < Bonghwangeum >.
      Thirdly, the matter of applying Mangi and Junggiof < Cheoyongga > to first note and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conducted under examining musical structure of < Bonghwangeum >. That is, the end of first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the end of the first verse of < Cheoyongga >. Thus, the second verse(Junggi) of < Cheoyongga > should be sung for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Fourthly, in singing `Nugojieosenio`(누고지어세니오), the Junggi verse of < Cheoyongga > in lieu of `Sanhacheonriguk` the verse of < Bonghwangeum >, the rule of marking phonemesfrom the difference of number of letters should be predicated upon the marking of phonemes of < Bonghwangeum >. The phonemes are marked on the 1st Jeonggan and 17th Jeonggan the most, and in the order of 4th, 20th, 25th, 9th, 14th, 30th, 28th, 31th, 27th, and 12th Jeonggan. In other words, the 32 Jeonggan is divided by feet into two 16-Jeonggan. And the lyrics are allocated the most upon the first and fourth beats. The intervals of the lyrics werearranged by line in consideration of the easier communication regardless of number of syllable, and it seems that the pronunciation is similar to the present one when consonants are pronounced short and vowels are long. Also common is the fact that lyrics are allocated the most upon the first and fourth beat.
      Fifthly, on the basis of contemporary vocalization of singing, the lyrics to Cheoyongga should be in clear and sweet voice with thin sound in high tone.
      Sixthly, I see no breathing indicator in Bonghwangeum scores. So, I made basic breathing points every 16 Jeonggan, and pausing points were placed for easier singing in the next line in case the continuant sound kept on for several lines. Regarding the matter of pausing interval, I determined to singfor 11 and rest for 5 in the regular 16- Jeonggan. When one sound lasts for 19, I made it a rule to sing for 11 and rest for 8, and in case of 14, to sing for 11 and rest for 3.
      번역하기

      This study is the basic article conducted to play a musical note, < Bonghwangem > contained in `Musical Notation in Annuls of King Sejong`. < Bongbwangeum > consists of three notes and this article is focused on examining Korean musical te...

      This study is the basic article conducted to play a musical note, < Bonghwangem > contained in `Musical Notation in Annuls of King Sejong`. < Bongbwangeum > consists of three notes and this article is focused on examining Korean musical techniquesrelating to the matters of marking phonemes, vocalization, orthoepy and breathing point and thereby, actualizing it into a song for the reconstruction of second note.1) Thus, it shall establish the theoretical issue as follows.
      『Akhakguebeom(악학궤범)』 includes a story that Yeogi sang < Cheoyongga > and the lyrics of the song starting with `Shillaseongdae Soseongdae` (신라성대 소성대). I have decided to apply the lyrics of < Cheoyongga > to < Bonghwangeum > based on the records of < Akhakguebeom >. The musical structures of first note of < Bonghwangeum > and Mangi(만기, 1st verse) of < Cheoyongga > are identical. Therefore,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the Junggi(중기, 2nd verse) of < Cheoyongga >. I hav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 as to various components of vocalism for the reappearance by applying the Junggi verse of < Cheoyongga > to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Firstly, the speed of song in singing Junggi of < Cheoyongga > shall be predicated upon <Samhyeondodri>(삼현도드리), which means that `Suyangsuobangmu`(수양수오방무) is the core of present ` Cheoyong-mu ` (Cheoyong Dance) in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and Junggi of < Cheoyongga > upon the advice of dance experts.
      Secondly, the verse of < Bonghwangeum > contained in `Musical Notation in Annuls of King Sejong` is not `Shillaseongdae Soseongdae`, the verse of < Cheoyongga > but `Sanhacheolliguk ` (산하천리국). In this study, however, I have exploited the verse of < Cheoyongga >. As < Akhakguebeom > consists of the contents that Yeogi sang < Cheoyongga > and the verse of Cheoyongga starting with ``Shillaseongdae Soseongdae`, I shall sing the verse of Cheoyongga applying to < Bonghwangeum >.
      Thirdly, the matter of applying Mangi and Junggiof < Cheoyongga > to first note and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conducted under examining musical structure of < Bonghwangeum >. That is, the end of first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the end of the first verse of < Cheoyongga >. Thus, the second verse(Junggi) of < Cheoyongga > should be sung for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Fourthly, in singing `Nugojieosenio`(누고지어세니오), the Junggi verse of < Cheoyongga > in lieu of `Sanhacheonriguk` the verse of < Bonghwangeum >, the rule of marking phonemesfrom the difference of number of letters should be predicated upon the marking of phonemes of < Bonghwangeum >. The phonemes are marked on the 1st Jeonggan and 17th Jeonggan the most, and in the order of 4th, 20th, 25th, 9th, 14th, 30th, 28th, 31th, 27th, and 12th Jeonggan. In other words, the 32 Jeonggan is divided by feet into two 16-Jeonggan. And the lyrics are allocated the most upon the first and fourth beats. The intervals of the lyrics werearranged by line in consideration of the easier communication regardless of number of syllable, and it seems that the pronunciation is similar to the present one when consonants are pronounced short and vowels are long. Also common is the fact that lyrics are allocated the most upon the first and fourth beat.
      Fifthly, on the basis of contemporary vocalization of singing, the lyrics to Cheoyongga should be in clear and sweet voice with thin sound in high tone.
      Sixthly, I see no breathing indicator in Bonghwangeum scores. So, I made basic breathing points every 16 Jeonggan, and pausing points were placed for easier singing in the next line in case the continuant sound kept on for several lines. Regarding the matter of pausing interval, I determined to singfor 11 and rest for 5 in the regular 16- Jeonggan. When one sound lasts for 19, I made it a rule to sing for 11 and rest for 8, and in case of 14, to sing for 11 and rest for 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