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현대국어 시기에 들어와 보조사로 등재된 {-치고}의 문법적 특성과 문법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조사는 사전에 따라 달리 등재되고 있지만, 대략 100여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71484
안주호 (순천향대학교)
2010
Korean
보조사 ; 문법화 과정 ; {-치고} ; 논항구조 ; 의미적 확장 ; 재분석 ; 유추 ; auxiliary particle ; grammartization process ; semantic extension ; reanalysis ; inference ; auxiliary particle ; grammartization process ; semantic extension ; reanalysis ; inference
KCI등재
학술저널
43-72(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현대국어 시기에 들어와 보조사로 등재된 {-치고}의 문법적 특성과 문법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조사는 사전에 따라 달리 등재되고 있지만, 대략 100여 개...
이 글에서는 현대국어 시기에 들어와 보조사로 등재된 {-치고}의 문법적 특성과 문법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조사는 사전에 따라 달리 등재되고 있지만, 대략 100여 개에 이른다. 그런데 조사의 기원적 구성은 조금의 차이가 있으나, 명사나 동사와 같은 자립적 어휘소에서 출발한 것이 많다. 그 중 {-두고, -하고, -보고, -가지고, -말고, -치고} 등은 동사에서 출발한 것으로, 어미 {-고}가 결합하여 굳어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아직 보조사로 완전히 등재되지 않은 {-치고}의 문법적 특성을 알아보려 했다. {-치고}는 [NP1이/가 NP2을/를 NP3으로 치다]의 통사적 구성을 필요로 하지만 [NP치고]의 형태적 구조로 문법화하고 있다. “(무엇을) 계산하다”의 의미에서 “(어떻게) 생각하거나 여기다”의 의미로 확대되다가 ‘한정, 대조’의 문법적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나온 {-치고}는 구조별로 빈도수를 살필 수 있었는데, {-치고1}에서 {-치고3}으로 문법화가 진행 중이다. 이 문법화의 과정에서 ‘한정, 대조’의 문법적 의미가 생성되며, 재분석, 유추의 기제가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종학, "후치사의 변화" 태학사 737-759, 1997
2 홍윤표, "현대국어의 후치사 {가지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4 : 25-40, 1984
3 최동주,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시적 고찰" 국어학회 30 : 201-224, 1997
4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적 연구" 태학사 2000
5 채완, "현대국어 특수조사의 연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39 : 1-67, 1977
6 김수정, "현대국어 보조사의 변천 in: 현대국어의 형성과 변천" 박이정 121-148, 2002
7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8 김영희, "한국어 조사류의 연구" 문법연구회 1 : 1994
9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998
10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1 서종학, "후치사의 변화" 태학사 737-759, 1997
2 홍윤표, "현대국어의 후치사 {가지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4 : 25-40, 1984
3 최동주,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시적 고찰" 국어학회 30 : 201-224, 1997
4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적 연구" 태학사 2000
5 채완, "현대국어 특수조사의 연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39 : 1-67, 1977
6 김수정, "현대국어 보조사의 변천 in: 현대국어의 형성과 변천" 박이정 121-148, 2002
7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8 김영희, "한국어 조사류의 연구" 문법연구회 1 : 1994
9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998
10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11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의미―유형론적 접근" 한국언어학회 23 : 47-78, 1998
12 고영근,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13 채완, "특수조사 목록의 재검토" 국어학회 23 : 69-93, 1993
14 이남순, "특수기능의 통보 기능" 진단학회 82 : 217-235, 1996
15 황병순, "조사의 문법화 양상과 결합 원리" 배달말학회 43 (43): 97-119, 2008
16 황병순, "조동사의 문법화" 태학사 1-20, 2008
17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41
18 이남순, "에게’의 대용형태 ‘한테, 더러, 보고’의 문법" 진단학회 61 : 153-172, 1986
19 유동석, "양태조사의 통보 기능에 대한 연구, {이}, {을}, {은}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60 : 1-70, 1984
20 서태길, "보조사 ‘말고’, ‘치고’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45 : 255-274, 2009
21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22 최동주, "문법화의 유형과 기제" 민족문화연구소 2007 (2007): 521-550, 2007
23 홍윤표, "근대국어의 체소표시와 방향표시의 격"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7 : 35-54, 1976
24 홍사만, "국어특수조사론 - 의미 분석" 학문사 1983
25 김승곤, "국어의 조사 연구" 박이정 1992
26 임홍빈, "국어 명사구와 조사구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24 : 1-62, 1999
27 이태영, "국어 동사의 문법화 연구" 한신문화사 1988
28 임동훈, "‘만큼, 처럼, 보다’가 격조사인가" 국어학회 (48) : 125-143, 2006
29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어휘 의미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 기술―사건 명사의 다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3 | 1.33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