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in the link between Resilience and Adversarial Grow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7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otional clarity,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mediate the link between resilience and adversarial growth of adults who have suffered adversity more than once. 441 worker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otional clarity,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mediate the link between resilience and adversarial growth of adults who have suffered adversity more than once. 441 workers working at 3 work sites in Seoul were participated. Basic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s with bootstrapp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in terms of correlation among variables, resilience, emotional clarity,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and adversarial growth were positively related except that the correlation of emotional clarity with deliberate rumination was nonsignificant. (b) resilience influenced emotional clarity,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al clarity and deliberate rumination respectively influenced problem-focused coping; and problem-focused coping influenced adversarial growth. Whereas deliberate rumination had a direct impact on adversarial growth in this process, emotional clarity did not. (c) emotional clarity and deliberate rumination respectively mediated the link between resilience and adversarial growth, both through problem-focused coping, A dual mediation, thus, was establish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cognitive processes and problem-focused coping contribute sequentially in the relationship resilience and adversarial growth. A more integrated model of resilience was examined by investigating positive constructs relating adversarial growth.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기초하여 삶에서 한 번 이상의 역경을 겪은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기초하여 삶에서 한 번 이상의 역경을 겪은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3개 직장에 근무하는 직장인 44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기초통계,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을 통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회복탄력성,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 문제중심대처 그리고 역경 후 성장이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이 중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는 서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 문제해결대처에 영향을 주었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는 각각 문제해결대처에 영향을 주었으며, 문제해결대처는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주었다. 이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역경 후 성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의도적 반추는 역경 후 성장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정서인식명확성과 문제중심대처를 거쳐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거쳐서도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들의 이중매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인지적 과정과 문제중심대처가 순차적으로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긍정적 개념의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더 통합적인 모형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3 유희정,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59-85, 2014

      4 김수안,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223-243, 2011

      5 김진수,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0 (30): 793-809, 2011

      6 최지현,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미경, "정서주의력, 정서인식의 명확성,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도움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8 임전옥, "정서인식의 명확성,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259-275, 2003

      9 단두리, "자아탄력성 및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최승미, "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PTSD 증상 수준에 따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307-328, 2013

      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3 유희정,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59-85, 2014

      4 김수안,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223-243, 2011

      5 김진수,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0 (30): 793-809, 2011

      6 최지현,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미경, "정서주의력, 정서인식의 명확성,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도움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8 임전옥, "정서인식의 명확성,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259-275, 2003

      9 단두리, "자아탄력성 및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최승미, "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PTSD 증상 수준에 따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307-328, 2013

      11 한정숙, "이혼경험자의 인지적 유연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시간관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217-237, 2014

      12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13 조용래,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359-386, 2014

      14 최수미,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핵심신념붕괴, 대처방식, 리질리언스의 구조적 관계검증" 교육연구소 15 (15): 301-322, 2014

      15 김지경, "외상 후 성장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239-265, 2014

      16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7 임선영, "역경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8 김은미,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한 구조적 관계분석" 충북대학교 2015

      19 송현,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2 (12): 1231-1246, 2011

      20 김정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7 (7): 127-138, 1985

      21 하진의,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3433-3452, 2013

      22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23 박선정, "부모상실경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의도적 반추,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2015

      24 이지영, "반추 양식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 정서 및 인지적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5 박보경, "대학생의 탄력성, 삶의 의미, 의도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26 김고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27 이경희, "대학생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명확성과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8 임선영, "대학생의 관계상실을 통한 성장에 관한 연구: 인지적 유연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1 (31): 261-281, 2012

      29 이현주,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 부산대학교 2015

      30 유란경, "낙관성이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사건-관련 반추 및 대처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31 Baumgardner, S. R., "긍정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32 권석만, "긍정심리학" 학지사 2008

      33 金貞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34 Tedeschi, R. G.,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Sage 1995

      35 Herman, J. L., "Trauma and recovery" Basic Books 1992

      36 이수정,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11 (11): 95-116, 1997

      37 Taku, K., "The role of rumination in the coexistence of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bereave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32 : 428-444, 2008

      38 Schmidt, S. D., "The relationship of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and attachment style with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 17 (17): 1033-1040, 2012

      39 Kanninen, K., "The relation of appraisal, coping efforts, and acuteness of trauma to PTS symptoms among former political prisoners" 15 (15): 245-253, 2002

      40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2, 1996

      41 Swinkels, A.,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21 (21): 934-949, 1995

      42 Bonanno, G. A., "The importance of being flexible : The ability to both enhance and suppress emotional expression as a predictor of long-term adjustment" 15 (15): 482-487, 2004

      43 Folkman, S.,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The Guilford Press 107-119, 1984

      44 Bandalos, D. L.,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 78-102, 2002

      45 Weinrib, A., "The assessment and validity of stress-related growth in a community based sample" 74 (74): 851-858, 2006

      46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47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48 Armeli, S., "Stres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s :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20 (20): 366-395, 2001

      49 Morris, B. A.,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distress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cancer survivors" 20 (20): 1176-1183, 2011

      50 Campbell-Sills, L., "Relationship of resilience to personality, coping, and psychiatric symptoms" 44 (44): 585-599, 2006

      51 Campbell-Sills, L., "Psychometric analysis and refinement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 Validation of a 10-item measure of resilience" 20 (20): 1019-1028, 2007

      5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2010

      53 Bellizzi, K. M.,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25 (25): 47-56, 2006

      54 Maercker, A., "Posttraumatic personal growth : Validation of German version of two questionnaires" 47 (47): 153-162, 2001

      55 O’Leary, V. E.,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27-151, 1998

      56 Nishi, D.,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silience of motor vehicle accident survivors" 4 : 1-6, 2010

      57 Triplett, K. N.,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4 (4): 400-410, 2012

      58 Cann, A., "Posttraumatic growth and depreciation as independent experiences and predictors of well-being" 15 : 151-166, 2010

      59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60 Seligman, M. E.,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2 : 3-12, 2002

      61 Linley, OP.,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 A review" 17 (17): 11-21, 2004

      62 Schaefer, J., "Personal cop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raeger 149-170, 1992

      63 Mayer, J. D., "Perceiving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53 : 772-781, 1990

      64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1992

      65 Gohm, C. L.,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 Individual Differences" 84 (84): 594-607, 2003

      66 Shrout, P. E., "Mede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67 Kring, A. M.,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66 (66): 934-949, 1994

      68 Calhoun, L. G.,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23, 2006

      69 Dobson, K. S., "Handbook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The Guilford Press 3-38, 1998

      70 Gohm, C. L., "Four emotion traits and their involvement in attributional style, coping, and well-being" 16 (16): 495-518, 2002

      71 Ryff, C. D.,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36, 2003

      72 Tedeschi, R. G., "Evaluating resource gain :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posttraumatic growth" 56 (56): 396-406, 2007

      73 Greenberg, L. S., "Emotions, the great captains of our lives : Their role in the process of change in psychotherapy" 67 (67): 697-707, 2012

      74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 185-211, 1990

      75 Salovey, P.,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APA 125-154, 1995

      76 Connor, K. M.,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18 : 76-82, 2003

      77 Lechner, S. C., "Curvilinear associations between benefit find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o breast cancer" 74 (74): 828-840, 2006

      78 Gil, S., "Coping style in predic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Israeli students" 18 (18): 351-359, 2005

      79 Taku, K., "Commonly-defined and individually defined posttraumatic growth in US and Japan" 51 (51): 188-193, 2011

      80 Antoni, M. H., "Cognitive-behavior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decreas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enhance benefit finding among women under treatment for early-stage breast cancer" 20 : 20-32, 2001

      81 Bower, J. E., "Cognitive processing, discovery of meaning, CD4 decline, and AIDS-relate mortality among bereaved HIV-seropositive men" 66 (66): 979-986, 1998

      82 Cann, A.,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24 (24): 137-156, 2011

      83 Park, C. L., "Asse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64 (64): 71-105, 1996

      84 Joseph, S., "An Affective-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19 (19): 316-325, 2012

      85 Friborg, O., "A new rating scale for adult resilience: what are the central protective resources behind healthy adjustment?" 12 (12): 65-76, 2003

      86 Calhoun, L. G.,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13 (13): 521-527,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