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Internet)의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조작이 간편한 웹 페이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고 쉽고 유연한 조작, 역동적인 화면구성에 초점을 맞춘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기술은 웹2...
인터넷(Internet)의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조작이 간편한 웹 페이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고 쉽고 유연한 조작, 역동적인 화면구성에 초점을 맞춘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기술은 웹2.0기술 중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한 차세대 UI기술로 화두(話頭)되고 있다.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ch Internet Application; RIA)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기존 웹 브라우저 기반 인터페이스의 단점인 늦은 응답 속도,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떨어지는 조작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의 통칭이다. 즉, 별도의 설치가 필요 없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장점과 서버 측 웹 서비스와의 연동, 마크업 언어 기반의 선언적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유지하면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과 대등한 사용자 경험을 주는 기술이다.
현재 RIA를 지향하는 다양한 기술 어도비 플래시 기반 플렉스, 마이크로소프트 실버라이트, 자바FX을 이용하여 정적인 웹 페이지들의 동적인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인터넷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 서비스에서 업그레이드된 e-learning 서비스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는 교수자 중심의 학습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기술의 발전이 급속히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대부분의 e-learning서비스의 경우 대부분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특성은 학습자 중심이 아니라 교수자 중심의 강의 진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서 가장 핵심인 동영상강의 및 강의자료 실행을 위해 Active-X 형태의 플러그인을 이용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인터넷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OS환경과 브라우저(Firefox, Opera, Safari)가 등장 하여 웹 표준을 찾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학습자 중심의 e-learning 교육을 위한 플랫폼의 부족한 기능으로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온라인 학습의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을 Flash Player 기반의 전용 브라우저를 통해 해결하였다. Flash Player는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어느 소프트웨어보다도 널리 배포되어 있으며 다른 클라이언트 기술보다 빠르게 업데이트 되고 있다. 그리고 웹을 통해 하루 2백만 번 이상 설치될 정도로 무서운 속도로 퍼져가고 있다. Flash Player 보급률은 2010년 현재 97.9%에 도달하고 있으며, 보급률이 말해 주듯이 Flash Player 위에 작동한다는 말은 표준에 가깝다는 말과 상통 한다할 수 있다.
본 논문은 Active-X와 같이 비표준이면서 특정 기술에 종속적인 플러그인의 호환성 문제를 대체할 수 있는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기술을 이용하여 단순한 콘텐츠의 보여 주기식 기능에서 벗어나 나아가서 클라이언트는 과거 C/S와 같이 혹은 그 이상의 동적이고, 자동화된,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UI(User Interface)를 구현 하고 웹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에 구애받지 않고, e-learning 서비스의 본래 목적인 강의시스템기능과 사용자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접근성이 용이한 RIA기반의 AIR(Adobe Integrated Runtime)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전용브라우저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