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투(Me Too)운동이 야기한 형사법적 쟁점 검토 - 형법 및 성폭력처벌법에 대한 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Criminal Aspect Issues Caused by Me Too Campaign - A Focus On the Revised Bill of Criminal Law and Act on Sexual Crime of Violen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1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se of sexual violence committed in organizations resorting to powerful influence has recently been revealed across the entire society. One of stark characteristics of such a case is that perpetrators have committed the sexual crime of violence, constantly, taking advantage of their social positions, and inflicted serious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on the damaged. In order to prevent perpetrators from committing another sexual crime of violence and the potential damaged- from occurring, there have appeared courageous behaviors to reveal, in public, the fact of the damages from sexual violence widespread in each circle and sector, with situations changing across the ages- that perpetrators committed, resorting to their superior social positions. At this, the National Assembly brought what s called legislative bills on Me Too Campaign to numerous related committee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study will review about criminal aspect issues caused by Me Too Campaign, with the main focus on the revision bills on major legislations to respond to sexual violence: Criminal Law and Act on Sexual Crime of Violence
      번역하기

      The case of sexual violence committed in organizations resorting to powerful influence has recently been revealed across the entire society. One of stark characteristics of such a case is that perpetrators have committed the sexual crime of violence, ...

      The case of sexual violence committed in organizations resorting to powerful influence has recently been revealed across the entire society. One of stark characteristics of such a case is that perpetrators have committed the sexual crime of violence, constantly, taking advantage of their social positions, and inflicted serious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on the damaged. In order to prevent perpetrators from committing another sexual crime of violence and the potential damaged- from occurring, there have appeared courageous behaviors to reveal, in public, the fact of the damages from sexual violence widespread in each circle and sector, with situations changing across the ages- that perpetrators committed, resorting to their superior social positions. At this, the National Assembly brought what s called legislative bills on Me Too Campaign to numerous related committee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study will review about criminal aspect issues caused by Me Too Campaign, with the main focus on the revision bills on major legislations to respond to sexual violence: Criminal Law and Act on Sexual Crime of Viol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새로운 범죄유형의 신설
      • Ⅲ. 형사처벌의 강화를 위한 조치
      • Ⅵ. 글을 마치며
      • Ⅰ. 문제의 제기
      • Ⅱ. 새로운 범죄유형의 신설
      • Ⅲ. 형사처벌의 강화를 위한 조치
      • Ⅵ. 글을 마치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화, "형법상 강간죄의 판단기준에 대한 판례평석" 젠더법학연구소 7 (7): 211-245, 2015

      2 정도희, "직장 내 성희롱피해 개념 및 형사처벌" 한국피해자학회 22 (22): 163-187, 2014

      3 이수창, "성희롱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 대검찰청 (44) : 114-157, 2014

      4 최은하, "성적 자기결정권과 최협의의 폭행·협박개념의 위헌성 - 성적 강요죄(독일형법 제177조)의 관점에서 -" 한국피해자학회 23 (23): 121-144, 2015

      5 류부곤, "미성년자 등 간음죄에 있어서 ‘위력’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5 (25): 133-156, 2013

      6 류병관, "미국 강간죄에 있어 ‘저항’과 ‘동의’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429-454, 2007

      7 강동욱, "구체적 사례를 통한 직장내 성희롱의 사실인정과 판단기준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77-104, 2011

      8 류부곤,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기 위한 강제추행의 요건" 한국형사법학회 28 (28): 123-149, 2016

      9 이원상, "강제추행죄 적용범위에 대한 문제점 고찰" 법학연구소 40 (40): 95-117, 2016

      10 유주성, "강간죄 성립의 판단기준으로서 피해자의 동의와 저항 -대법원 2015.8.27. 2014도8722 판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8 (18): 33-60, 2016

      1 김보화, "형법상 강간죄의 판단기준에 대한 판례평석" 젠더법학연구소 7 (7): 211-245, 2015

      2 정도희, "직장 내 성희롱피해 개념 및 형사처벌" 한국피해자학회 22 (22): 163-187, 2014

      3 이수창, "성희롱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 대검찰청 (44) : 114-157, 2014

      4 최은하, "성적 자기결정권과 최협의의 폭행·협박개념의 위헌성 - 성적 강요죄(독일형법 제177조)의 관점에서 -" 한국피해자학회 23 (23): 121-144, 2015

      5 류부곤, "미성년자 등 간음죄에 있어서 ‘위력’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5 (25): 133-156, 2013

      6 류병관, "미국 강간죄에 있어 ‘저항’과 ‘동의’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429-454, 2007

      7 강동욱, "구체적 사례를 통한 직장내 성희롱의 사실인정과 판단기준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77-104, 2011

      8 류부곤,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기 위한 강제추행의 요건" 한국형사법학회 28 (28): 123-149, 2016

      9 이원상, "강제추행죄 적용범위에 대한 문제점 고찰" 법학연구소 40 (40): 95-117, 2016

      10 유주성, "강간죄 성립의 판단기준으로서 피해자의 동의와 저항 -대법원 2015.8.27. 2014도8722 판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8 (18): 33-60, 2016

      11 안경옥, "'위력’에 의한 간음·추행죄의 판단기준 및 형법상 성범죄규정의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50 (50): 205-231,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3 1.21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