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보화, "형법상 강간죄의 판단기준에 대한 판례평석" 젠더법학연구소 7 (7): 211-245, 2015
2 정도희, "직장 내 성희롱피해 개념 및 형사처벌" 한국피해자학회 22 (22): 163-187, 2014
3 이수창, "성희롱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 대검찰청 (44) : 114-157, 2014
4 최은하, "성적 자기결정권과 최협의의 폭행·협박개념의 위헌성 - 성적 강요죄(독일형법 제177조)의 관점에서 -" 한국피해자학회 23 (23): 121-144, 2015
5 류부곤, "미성년자 등 간음죄에 있어서 ‘위력’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5 (25): 133-156, 2013
6 류병관, "미국 강간죄에 있어 ‘저항’과 ‘동의’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429-454, 2007
7 강동욱, "구체적 사례를 통한 직장내 성희롱의 사실인정과 판단기준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77-104, 2011
8 류부곤,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기 위한 강제추행의 요건" 한국형사법학회 28 (28): 123-149, 2016
9 이원상, "강제추행죄 적용범위에 대한 문제점 고찰" 법학연구소 40 (40): 95-117, 2016
10 유주성, "강간죄 성립의 판단기준으로서 피해자의 동의와 저항 -대법원 2015.8.27. 2014도8722 판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8 (18): 33-60, 2016
1 김보화, "형법상 강간죄의 판단기준에 대한 판례평석" 젠더법학연구소 7 (7): 211-245, 2015
2 정도희, "직장 내 성희롱피해 개념 및 형사처벌" 한국피해자학회 22 (22): 163-187, 2014
3 이수창, "성희롱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 대검찰청 (44) : 114-157, 2014
4 최은하, "성적 자기결정권과 최협의의 폭행·협박개념의 위헌성 - 성적 강요죄(독일형법 제177조)의 관점에서 -" 한국피해자학회 23 (23): 121-144, 2015
5 류부곤, "미성년자 등 간음죄에 있어서 ‘위력’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5 (25): 133-156, 2013
6 류병관, "미국 강간죄에 있어 ‘저항’과 ‘동의’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429-454, 2007
7 강동욱, "구체적 사례를 통한 직장내 성희롱의 사실인정과 판단기준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22): 77-104, 2011
8 류부곤,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기 위한 강제추행의 요건" 한국형사법학회 28 (28): 123-149, 2016
9 이원상, "강제추행죄 적용범위에 대한 문제점 고찰" 법학연구소 40 (40): 95-117, 2016
10 유주성, "강간죄 성립의 판단기준으로서 피해자의 동의와 저항 -대법원 2015.8.27. 2014도8722 판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8 (18): 33-60, 2016
11 안경옥, "'위력’에 의한 간음·추행죄의 판단기준 및 형법상 성범죄규정의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50 (50): 205-23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