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 러닝 기반 동료평가가 학습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Social Learning Effects on Web-Based Peer Re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08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소셜미디어의 대중화와 함께 소셜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셜러닝의 긍정적 학습효과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실수업 환경에서 소셜러닝의 구체적인 적용 방법과 그에 따른 학습 향상의 명시적 효과에 대하여서는 아직도 알려진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실수업 환경에서 웹 기반의 과제 상호 평가를 통하여 개별 학습자들 간의 특정 주제에 대한 생각 공유가 발생하도록 하고, 그러한 상호 생각 공유가 개별 학생의 지식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수행된 실험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다른 학습자들과의 생각의 공유를 통하여 지식이 결합 혹은 재조합되어 자신의 지식 구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는 소셜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소셜미디어의 대중화와 함께 소셜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셜러닝의 긍정적 학습효과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실수업 환경에서 소셜러닝의 구체적인 적용 방법과 그...

      최근 소셜미디어의 대중화와 함께 소셜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셜러닝의 긍정적 학습효과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실수업 환경에서 소셜러닝의 구체적인 적용 방법과 그에 따른 학습 향상의 명시적 효과에 대하여서는 아직도 알려진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실수업 환경에서 웹 기반의 과제 상호 평가를 통하여 개별 학습자들 간의 특정 주제에 대한 생각 공유가 발생하도록 하고, 그러한 상호 생각 공유가 개별 학생의 지식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수행된 실험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다른 학습자들과의 생각의 공유를 통하여 지식이 결합 혹은 재조합되어 자신의 지식 구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는 소셜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popularity of smart devices and social media seem to increase much interests on social learning, Despite of positive expectation on technology-based social learning, there are not many successful cases and practices of how to apply hands-on technologies and measure educational results.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mote idea-sharing among learners in a classroom using web-based peer-review of assignments on a specific topic. Then we investigated effects of idea-sharing among learners in terms of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dea-sharing promotes knowled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and then knowledge construction at learner`s own.
      번역하기

      Recent popularity of smart devices and social media seem to increase much interests on social learning, Despite of positive expectation on technology-based social learning, there are not many successful cases and practices of how to apply hands-on tec...

      Recent popularity of smart devices and social media seem to increase much interests on social learning, Despite of positive expectation on technology-based social learning, there are not many successful cases and practices of how to apply hands-on technologies and measure educational results.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mote idea-sharing among learners in a classroom using web-based peer-review of assignments on a specific topic. Then we investigated effects of idea-sharing among learners in terms of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dea-sharing promotes knowled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and then knowledge construction at learner`s ow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2 김성희,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 (1): 81-100, 2001

      3 주경숙, "중학교 2학년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서 평가 방법에 따른 역류효과의 비교연구 : 교사평가, 자가평가, 동료평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김민정, "웹기반 형성적 동료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설계기반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85-114, 2008

      5 이경미, "쓰기과업에서 동료평가가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이찬, "소셜러닝: 집단지성을 깨우는 새로운 패러다임" 크레듀 35-, 2011

      7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 사회의 新학습모델, 소셜 러닝의 부상. IT & Future Strategy"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8 전정희, "또래교수법을 실시한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동료평가가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Sluijsmans, D. M. A., "The training of peer assessment skill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flection skills in teacher education" 29 (29): 23-42, 2003

      10 Smyth, K, "The benefits of students learning about critical evaluation rather than being summatively judged" 29 (29): 36-378, 2004

      1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2 김성희,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 (1): 81-100, 2001

      3 주경숙, "중학교 2학년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서 평가 방법에 따른 역류효과의 비교연구 : 교사평가, 자가평가, 동료평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김민정, "웹기반 형성적 동료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설계기반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85-114, 2008

      5 이경미, "쓰기과업에서 동료평가가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이찬, "소셜러닝: 집단지성을 깨우는 새로운 패러다임" 크레듀 35-, 2011

      7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 사회의 新학습모델, 소셜 러닝의 부상. IT & Future Strategy"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8 전정희, "또래교수법을 실시한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동료평가가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Sluijsmans, D. M. A., "The training of peer assessment skill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flection skills in teacher education" 29 (29): 23-42, 2003

      10 Smyth, K, "The benefits of students learning about critical evaluation rather than being summatively judged" 29 (29): 36-378, 2004

      11 Tony, Bingham, "The New Social Learning"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2010

      12 Rudy, D. W., "Self-and Peer Assessment in a First-Year Communication and Interviewing Course" 24 (24): 436-445, 2001

      13 Izumi FUSE., "Practice and Effects of Multistep Mutual-Evaluation Method" 33 (33): 287-298, 2010

      14 M. AL-Smadi, "Peer Assessment System for Modern Learning Settings: Towards a Flexible E-assessment System" 5 : 2010

      15 Purchase, H. C, "Learning about interface design through peer assessment" 27 (27): 341-352, 2000

      16 Liebowitz, J, "Knowledge Management. Learning From Knowledge Engineering" CRC Press 2001

      17 Topping, K., "Formative peer assessment of academic writing between postgraduate students" 25 (25): 149-169,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2 2.25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