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Contemporary Art and Inability of Aesthetics = A. C. Danto’s Philosophical Art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55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앤디 워홀의 충격적인 작품 〈브릴로 상자〉를 통해 미국의 예술철학자 단토의 예술철학, 혹은 그가 말하는 용어로는, ‘철학적 미술사의 성과를 세 가지 논지로 니뉘 검토한 후, 이러한 긍정적 성과에 이르기 위해 그가 어떠한 이론적 대가를 치르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단토는 1964년 뉴욕에서 있었던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 전시회를 접한 후, 궁극적으로는 ‘예술의 종말'이라고 하는 테제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이론적 효과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놀라운 것은 적어도 시각예술에 관한 한 전통적으로 시각예술을 성립시켜주는 토대로 간주되어 오던 시각이 바로 그 시각예술에 대해 무능력하거나 무의미하다는 주장을 그가 펼 치게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단토는 예술의 종말을 주장하기 위해 미적인 것의 시효상실이라고 하는 예기치 않은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이르게 되는 단토의 논증방식은 다음과 같다. 과거에는 미술작품은 언제나 미술작품으로 ‘지각적으로’ 확인가능하다는 암묵적인 신념이 있었다. 단토는 사실 일부 예술철학자들마저 아직도 이런 생각을 품고 있다고 꼬집는다. 그러나 현대미술은 왜 그것이 예술작품이 되는지를 설명해야 하는 새로운 철학적 물음 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오늘날 생산되고 있는 미술작품들을 잠시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현대미술을 미술로 만들어 주는 데 시각적인 요소가 관여하는 바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눈이 만나는 것은, 〈브릴로 상자〉가 가질 수 있는 상업 미술로서의 가치와 이익에 관해서는 설명해주는 바가 있을지 모르나, 그것의 순수 미술로서의 위상은 우리 눈이 만나는 것과 하등의 관계가 없다. 그리고 눈만 갖고서는 예술과 한갓된 실제 사물 사이의 차이가 밝혀지지 않는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제는 더 이상 실례를 들어가면서 미술의 의미를 가르칠 수는 없게 되었다는 것이며, 외관에 관한 한 그 어떤 것도 예술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술작품이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면, 감각경험으로부터 사유로 전환해야 한다. 간단히 말해, 철학으로 향해야 한다.
      〈브릴로 상자〉나 개념미술의 경우에서처럼, 어떤 것이 시각미술작품이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혹은 촉각적인 대상일 필요조차 없다는 점에서, 현대미술은 감각 경험에서 사유로 이행하였다. 사유로 이행했다는 말은, 외관에 관한 한, 그 어떤 것도 미술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술 자체가 거의 사유가, 따라서 철학이 되었기 때문이다. 현대미술의 경우, 어떤 것을 예술작품으로 인식하는 데, 나아가 어떤 것을 훌륭한 예술작품으로 인식하는 데 미학이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다는 것은 미학과 예술작품 사이의 긴밀했던 관계가 18세기 중엽 이후 형성된 것으로, 논리적 필연성이라기보다는 역사적 우연성이라는 것을 여지없이 밝혀주고 있다.
      미술이 철학적으로 성숙해짐에 따라 시각성은 미가 한때 그렇게 되었던 것처럼 미술의 본질과는 거의 관련없는 것으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미술이 존재하기 위해 서는 심지어 바라다볼 수 있는 대상이어야 할 필요도 없게 된 것이다. 그리고 화랑에 작품들이 놓여있다면 그것은 그 어떤 것으로도 보여질 수 있다.
      18세기에 절정에 도달한 미학적 고찰은 예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 즉 1960년대 후반 이후의 미술에게는 제대로 적용될 수 없다. 예술의 시대 이전과 이후에도 예술이 있었고 있다는 사실은 미술과 미학 사이의 관계가 미술의 본질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게 아니라 단지 역사적 우연의 문제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미술사와 미술이론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어떤 것들(예컨대 〈브릴로 상자〉나 개념미술)을 예술로 볼 수 없으며, 따라서 이것들을 예술로 보기 위해 우리가 의존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게 눈으로 볼 수 있는 어떤 것이라기보다는 그것들의 역사와 이론이다. 이것이 말하는 바는 무엇인가? 예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에게도 예술의 지위가 주어질 수 있다면, 그리고 미학이 하나의 이론으로서 미술을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이론적 자격을 갖추려면, 미학에 대한 대대적인 이론적 수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미학의 거부라고 하는 이러한 일견 필연적으로 보이기도 히는 이론적 결과가 과연 단토의 미술사의 철학, 혹은 철학적 미술사의 정신에 부합하는 것일까? 단토는 세 가지 워홀 효과를 거두기 위해 미학의 죽음이라고 하는 너무 큰 대가를 치르는 것은 아닐까? 우선, 그가 무수한 사고실험을 통해 소환해내는 식별불가능한 쌍들과 이 식별불가능성에 의거해서 풀어내는 예술정의가 실제로는 이미 그것들이 식별불가능하다는, 즉 지각적으로 동일하다는 지각적 사실에 의존하고 있다. 결국 그는 미적인 것의 중요성을 부정하기 위해서라도 미적인 것에 먼저 기대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지각적으로 식별불가능한 쌍이라고 하는 것이 처음부터 성립될 수 없을 것이고, 미적인 것으로부터 의미와 해석으로의 전환 역시 불가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앤디 워홀의 충격적인 작품 〈브릴로 상자〉를 통해 미국의 예술철학자 단토의 예술철학, 혹은 그가 말하는 용어로는, ‘철학적 미술사의 성과를 세 가지 논지로 니뉘 검토한 후, ...

      본 논문은 앤디 워홀의 충격적인 작품 〈브릴로 상자〉를 통해 미국의 예술철학자 단토의 예술철학, 혹은 그가 말하는 용어로는, ‘철학적 미술사의 성과를 세 가지 논지로 니뉘 검토한 후, 이러한 긍정적 성과에 이르기 위해 그가 어떠한 이론적 대가를 치르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단토는 1964년 뉴욕에서 있었던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 전시회를 접한 후, 궁극적으로는 ‘예술의 종말'이라고 하는 테제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이론적 효과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놀라운 것은 적어도 시각예술에 관한 한 전통적으로 시각예술을 성립시켜주는 토대로 간주되어 오던 시각이 바로 그 시각예술에 대해 무능력하거나 무의미하다는 주장을 그가 펼 치게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단토는 예술의 종말을 주장하기 위해 미적인 것의 시효상실이라고 하는 예기치 않은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이르게 되는 단토의 논증방식은 다음과 같다. 과거에는 미술작품은 언제나 미술작품으로 ‘지각적으로’ 확인가능하다는 암묵적인 신념이 있었다. 단토는 사실 일부 예술철학자들마저 아직도 이런 생각을 품고 있다고 꼬집는다. 그러나 현대미술은 왜 그것이 예술작품이 되는지를 설명해야 하는 새로운 철학적 물음 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오늘날 생산되고 있는 미술작품들을 잠시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현대미술을 미술로 만들어 주는 데 시각적인 요소가 관여하는 바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눈이 만나는 것은, 〈브릴로 상자〉가 가질 수 있는 상업 미술로서의 가치와 이익에 관해서는 설명해주는 바가 있을지 모르나, 그것의 순수 미술로서의 위상은 우리 눈이 만나는 것과 하등의 관계가 없다. 그리고 눈만 갖고서는 예술과 한갓된 실제 사물 사이의 차이가 밝혀지지 않는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제는 더 이상 실례를 들어가면서 미술의 의미를 가르칠 수는 없게 되었다는 것이며, 외관에 관한 한 그 어떤 것도 예술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술작품이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면, 감각경험으로부터 사유로 전환해야 한다. 간단히 말해, 철학으로 향해야 한다.
      〈브릴로 상자〉나 개념미술의 경우에서처럼, 어떤 것이 시각미술작품이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혹은 촉각적인 대상일 필요조차 없다는 점에서, 현대미술은 감각 경험에서 사유로 이행하였다. 사유로 이행했다는 말은, 외관에 관한 한, 그 어떤 것도 미술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술 자체가 거의 사유가, 따라서 철학이 되었기 때문이다. 현대미술의 경우, 어떤 것을 예술작품으로 인식하는 데, 나아가 어떤 것을 훌륭한 예술작품으로 인식하는 데 미학이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다는 것은 미학과 예술작품 사이의 긴밀했던 관계가 18세기 중엽 이후 형성된 것으로, 논리적 필연성이라기보다는 역사적 우연성이라는 것을 여지없이 밝혀주고 있다.
      미술이 철학적으로 성숙해짐에 따라 시각성은 미가 한때 그렇게 되었던 것처럼 미술의 본질과는 거의 관련없는 것으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미술이 존재하기 위해 서는 심지어 바라다볼 수 있는 대상이어야 할 필요도 없게 된 것이다. 그리고 화랑에 작품들이 놓여있다면 그것은 그 어떤 것으로도 보여질 수 있다.
      18세기에 절정에 도달한 미학적 고찰은 예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 즉 1960년대 후반 이후의 미술에게는 제대로 적용될 수 없다. 예술의 시대 이전과 이후에도 예술이 있었고 있다는 사실은 미술과 미학 사이의 관계가 미술의 본질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게 아니라 단지 역사적 우연의 문제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미술사와 미술이론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어떤 것들(예컨대 〈브릴로 상자〉나 개념미술)을 예술로 볼 수 없으며, 따라서 이것들을 예술로 보기 위해 우리가 의존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게 눈으로 볼 수 있는 어떤 것이라기보다는 그것들의 역사와 이론이다. 이것이 말하는 바는 무엇인가? 예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에게도 예술의 지위가 주어질 수 있다면, 그리고 미학이 하나의 이론으로서 미술을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이론적 자격을 갖추려면, 미학에 대한 대대적인 이론적 수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미학의 거부라고 하는 이러한 일견 필연적으로 보이기도 히는 이론적 결과가 과연 단토의 미술사의 철학, 혹은 철학적 미술사의 정신에 부합하는 것일까? 단토는 세 가지 워홀 효과를 거두기 위해 미학의 죽음이라고 하는 너무 큰 대가를 치르는 것은 아닐까? 우선, 그가 무수한 사고실험을 통해 소환해내는 식별불가능한 쌍들과 이 식별불가능성에 의거해서 풀어내는 예술정의가 실제로는 이미 그것들이 식별불가능하다는, 즉 지각적으로 동일하다는 지각적 사실에 의존하고 있다. 결국 그는 미적인 것의 중요성을 부정하기 위해서라도 미적인 것에 먼저 기대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지각적으로 식별불가능한 쌍이라고 하는 것이 처음부터 성립될 수 없을 것이고, 미적인 것으로부터 의미와 해석으로의 전환 역시 불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trace the evolution of Danto’s philosophy of art or philosophy of art history in terms of Warhol's Brillo Box. It could be said that Brillo Box had three distinct effects upon Danto. When Danto first saw Brillo Boxes at Stable Gallery in 1964, he, as an aesthetician, had an astonishing shock. This shock, which we could call Warhol-effect(Ⅰ),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definition of art, gave him a realization that only if we accept the principle of perceptual indiscernibility, it is possible to define art. Then, this ontological, that is, ahistorical definition of art has been supplemented or transformed by Warhol-effect(Ⅱ), the problem of historical modalities. At the same time, Danto has showed a surprising theoretical change of welcoming Hegelian philosophy of history that he had dismissed as epistemologically invalid in the 1960s. The problem of historical modalities is what made Brillo Box possible in 1964 when it is clear that an object just like it could not have been a work of art at any earlier time, and the strong philosophy of art might ask: what made Brillo Box historically necessary in 1964? In quest of this question, Danto has realized that the mode of being of artwork as well as the philosophy of art is held hostage to history. With Danto’s theoretical conversion to Hegelianism, Brillo Box came close to the core of his philosophy of art, and it was interpreted as a sign signalling the end of art or the end of art history. Danto reads Warhol-effect(Ⅲ), that is, the end of art from the fact that contemporary artworks like Brillo Box finally became vaporized in a dazzle of pure thought.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trace the evolution of Danto’s philosophy of art or philosophy of art history in terms of Warhol's Brillo Box. It could be said that Brillo Box had three distinct effects upon Danto. When Danto first saw Brillo Boxes at Stab...

      This article attempts to trace the evolution of Danto’s philosophy of art or philosophy of art history in terms of Warhol's Brillo Box. It could be said that Brillo Box had three distinct effects upon Danto. When Danto first saw Brillo Boxes at Stable Gallery in 1964, he, as an aesthetician, had an astonishing shock. This shock, which we could call Warhol-effect(Ⅰ),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definition of art, gave him a realization that only if we accept the principle of perceptual indiscernibility, it is possible to define art. Then, this ontological, that is, ahistorical definition of art has been supplemented or transformed by Warhol-effect(Ⅱ), the problem of historical modalities. At the same time, Danto has showed a surprising theoretical change of welcoming Hegelian philosophy of history that he had dismissed as epistemologically invalid in the 1960s. The problem of historical modalities is what made Brillo Box possible in 1964 when it is clear that an object just like it could not have been a work of art at any earlier time, and the strong philosophy of art might ask: what made Brillo Box historically necessary in 1964? In quest of this question, Danto has realized that the mode of being of artwork as well as the philosophy of art is held hostage to history. With Danto’s theoretical conversion to Hegelianism, Brillo Box came close to the core of his philosophy of art, and it was interpreted as a sign signalling the end of art or the end of art history. Danto reads Warhol-effect(Ⅲ), that is, the end of art from the fact that contemporary artworks like Brillo Box finally became vaporized in a dazzle of pure though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Perceptual Indiscernibility
      • Ⅲ. Historical Modalities
      • Ⅳ. The End of Art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Perceptual Indiscernibility
      • Ⅲ. Historical Modalities
      • Ⅳ. The End of Art
      • Ⅴ. The Death of Aesthetic?
      • Bibilography
      • 〈한글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