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 L. 스테이플스의 웨슬리 성화론 재해석에 대한 비판 = A Critique of Rob L. Staples' Reinterpretation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9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hn Wesley developed his theology through many articles, discussions, and sermons on the Sanctification theory. However, although it is this sanctification theory that is representative of Wesleyan Theology, it is the discussion of the instantaneousn...

      John Wesley developed his theology through many articles, discussions, and sermons on the Sanctification theory. However, although it is this sanctification theory that is representative of Wesleyan Theology, it is the discussion of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this sanctification that has been prone to misunderstanding and confusion in the study of Wesleyan Theology until recently.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 correct establishment of this topic is essential above all for the powerful dissemination of the correct Wesley Sanctification theory.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analyzed and criticized Rob Lyndal Staples' doctoral dissertation, “John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 Reinterpretation”. Because the thesis he focused on was also about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but his discussion of whether the nature of instantaneousness was possessive or relational was a big misunderstanding of Wesley's own point of view.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first examined the representative controversies from Wesley's time to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examine the discussion on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in sanctification. And the researcher also dealt with scholars who approach these debates from a different level, but they focused on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existential approach of sinfulness regarding sanctification.
      Staples also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Sanctification theory, and in this respect, he reinterpreted Martin Buber's philosophical concept in particular.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that researchers criticized Staples for are: Can Staples' instantaneous sanctification be regarded as Wesley's 'decisive' instantaneous sanctification? And is Staples' assessment that Wesley believed that instantaneousness of sanctification is achieved through faith, but that gradualness is achieved through works correct? Moreover, is it a correct interpretation that Staples characterizes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terms of 'I-Thou' and 'I-It' by citing Buber?The researcher especially pointed out the injustice of Staples' criticism that Wesley himself contradicted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the Sanctification theory. Staples emphasized that the way to solve the contradiction he pointed out was to reinterpret the momentary as a dimension of repeatable experience like Buber. However, this is a major misunderstanding of Wesley, the researchers noted.
      This is because, in the first place, the entire sanctification that Wesley spoke of was about the relational belief that one could be newly sanctified into Christ, not legally flawless perfection. The instantaneous experience of the entire sanctification experienced by faith that Wesley spoke of is what energized this love, and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gradual sanctification in faith, sanctification as the completion of the law and righteousness in Christ grows in perfect love for God and neighbors.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s suggested by Theodore H. Runyun and Henry H. Knight III, appropriately interpreting the dimension of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 Sanctification theory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can contribute to ending the ongoing debate on Sanctification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존 웨슬리(John Wesley)는 성화론에 대한 많은 글과 논의 그리고 설교 등을 통해서 자신의 신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비록 웨슬리 신학의 대표성을 지닌 것이 이 성화론이긴 하지만, 최근...

      존 웨슬리(John Wesley)는 성화론에 대한 많은 글과 논의 그리고 설교 등을 통해서 자신의 신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비록 웨슬리 신학의 대표성을 지닌 것이 이 성화론이긴 하지만, 최근까지도 웨슬리 신학 연구에 있어서 오해와 혼선을 빚기 쉬운 주제가 바로 이 성화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대한 논의이다.
      연구자는 올바른 웨슬리 성화론의 힘 있는 전파를 위해서는 바로 이 주제에 대한 바른 정립이 무엇보다도 필수적이라고 본다. 이런 점에서 연구자는 스테이플스(Rob Lyndal Staples, 1925-2015)의 박사학위 논문인 “John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 Reinterpretation”를 분석하여 비평하였다. 왜냐하면 그가 주목한 논제도 웨슬리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러나 그 순간성의 성격이 소유적인 것이냐 아니면 관계적인 것이냐에 대한 그의 논의가 웨슬리 자신의 관점을 오해한 점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먼저 성화에 있어서 순간성 혹은 점진성에 대한 논의를 살피기 위해 웨슬리 당시부터 20세기까지의 대표되는 논쟁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 논쟁들을 좀 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는 학자들도 다루는데, 그들은 성화에 관한 죄성의 실체론적 접근이 아닌 관계성에 집중한 시각이었다.
      스테이플스도 성화론의 관계성에 주목하였고, 이 점에 있어서 특히 마르틴 부버(Martin Buber)의 철학적 개념을 수용하여 재해석하였다. 연구자가 스테이플스에 대해 비판하는 몇 가지 중요한 문제 제기는 다음과 같다; 스테이플스가 말하는 순간적 성화라는 것이 과연 웨슬리가 말하는 ‘결정적인’ 순간적 성화라고 볼 수 있는가? 그리고 웨슬리는 성화의 순간성은 믿음으로 얻지만 그 점진성은 행위로 이루어간다고 보았다는 스테이플스의 평가는 올바른 시각인가? 더욱이 스테이플스가 부버를 인용함으로 ‘나와 너’ 그리고 ‘나와 그것’의 관점에서 웨슬리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을 특징적으로 규정한 것은 올바른 해석인가?연구자는 특히 스테이플스가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대해 웨슬리가 스스로 모순을 일으켰다고 비판한 점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스테이플스는 자신이 지적한 그 모순을 해결하는 법이 부버적으로 그 순간성을 반복 가능한 경험의 차원으로 재해석하는 길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웨슬리에 대한 큰 오해임을 연구자는 지적했다.
      애당초 웨슬리가 말한 온전한 성화란, 율법적으로 흠이 없는 완전이 아니라, 그리스도로 새롭게 성화될 수 있다는 관계적 믿음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웨슬리가 말한 믿음으로 경험한 성화의 순간적 체험은 이 사랑에 동력을 불어넣은 것이고, 믿음 안에서 점진적 성화의 과정을 거쳐가면서 그리스도 안에서 율법과 의의 완성으로서의 성화가 하나님과 이웃을 향한 온전한 사랑 안에서 성장해 가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런연(Theodore. Runyon)과 나이트(Henry H. Knight III)가 제시한 것처럼, 웨슬리의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의 차원을 관계론적으로 적절히 해석하게 되면 그동안 지속되던 성화론 논쟁을 일단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