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미한 목 통증을 가진 20대를 대상으로 진동자극과 슬링을 이용한 목 안정화운동이 근 기능 및 자세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목 장애지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미한 목 통증을 가진 20대를 대상으로 진동자극과 슬링을 이용한 목 안정화운동이 근 기능 및 자세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목 장애지수...
본 연구는 경미한 목 통증을 가진 20대를 대상으로 진동자극과 슬링을 이용한 목 안정화운동이 근 기능 및 자세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목 장애지수 측정 시 5점 이상 15점 미만의 경미한 목 장애가 있는 자 60명을 대상으로 6주간 슬링을 이용하여 머리-목 굽힘운동을 실시한 집단(집단 Ⅰ), 아래턱 벌림자세에서 머리-목 굽힘운동을 실시한 집단(집단 Ⅱ), 머리-목 굽힘운동과 진동자극을 동반한 집단(집단 Ⅲ), 아래턱 벌림자세에서 머리-목 굽힘운동과 진동자극을 동반한 집단(집단 Ⅳ)으로 각 집단별 15명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각 집단의 목 장애지수, 깊은 목 굽힘근의 두께, 근력, 근 지구력, 정적 안정성,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 신체정렬과 족저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운동 전, 운동 후 3주, 운동 6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목 장애지수의 변화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깊은 목 굽힘근의 근 두께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22, 24, 28, 30 ㎜Hg에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목빗근의 근 두께 변화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28, 30 ㎜Hg에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머리-목 굽힘 시 최대 근력과 지구력의 변화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4. 정적 안정성의 변화는 목 굽힘 시 진자운동, 병진운동, 목 폄 시 진자운동, 병진운동 모두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은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오른쪽 돌림, 왼쪽 돌림, 폄에서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6. 신체정렬은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머리, 어깨에서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족저압의 변화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슬링을 이용한 머리-목 굽힘운동 시 아래턱 벌림 상태에서 진동자극이 목 장애지수, 깊은 목 굽힘근의 두께, 머리-목 굽힘 시 최대근력과 지구력,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 신체정렬과 족저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집단 중 아래턱 벌림과 진동자극을 동반한 머리-목 굽힘운동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치료적 중재로써 아래턱의 움직임과 진동자극의 병행은 보다 효과적인 깊은 목 근육 활성화와 머리 조절능력을 향상하는 운동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applied by vibratory stimulation and a sling on myofunction and posture improvement in with mild neck pain. Sixty subjects, who scored between 5 and 15 on the ne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applied by vibratory stimulation and a sling on myofunction and posture improvement in with mild neck pain. Sixty subjects, who scored between 5 and 15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and had mild neck pain, were trained by applying a sling.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Ⅰ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n=15), Group Ⅱ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the mandible open, n=15), Group Ⅲ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vibratory stimulus, n=15), and Group Ⅳ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the mandible open and vibratory stimulus, n=1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neck disability index, the thickness of deep neck flexor muscl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static stability, head repositioning ability, body alignment, and foot pressure were assessed.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the exercise, and 3 weeks and 6 weeks after the exercise in each group.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ck disability index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0.05).
Second, for the thickness of deep neck flexion musc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22, 24, 28, and 30 ㎜Hg (p<0.05). In terms of the thickness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28 mmHg and 30 ㎜Hg (p<0.05).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c stability of both pendular and translational movements during neck flexion and extension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5).
Fifth, the ability to reposition the hea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bilateral rotation and head extension.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alignment and foot pressure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For the intra-group compari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dy alignment at the head and shoulder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ot pressure between groups (p<0.05).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s with a vibratory stimulus applied to an open mandible using a sl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the thickness of deep neck flexor, maximum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head repositioning ability, body alignment, and foot pressure. Among the groups, those who performed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an open mandible and vibratory stimulus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any other group.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mandible exercises and vibration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could be conducted as a method to enhance effective deep-neck muscle activation and postural head control.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영민, 김호봉, "경추 불안정성의 관리",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1(1), 74-91, 2005
2 권재확, 김선엽, "슬링(Sling) 시스템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 대한정형도수 치료학회지, 7(2), 23-39, 2001
3 허진강, "목 안정화 운동이 만성 목 통증 환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한국스포츠리서 치, 17(1), 121-133, 2006
4 김종희, 이숙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척추 측만증 실태조사", 한국학교보건학회, 한국 학교보건학회지, 12(1), 143-148, 1999
5 신원섭, 정경심 ( Kyoung Sim Jung ), 정이정 ( Yi Jung Chung ), 이은우, "경통 환자 평가를 위한 Neck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 와 타당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4(3), 97-103, 2007
6 김재철, 전혜선, 이충휘, "목 통증 유무에 따른 심부 목 굽힘근의 근력과 지 구력 비교", 대한인간공학회, 26(4), 25-31, 2007
7 장준기, "경추의 전만과 통증을 동반한 측두하악장애의 치료 방법 고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8 황현정, "슬링을 이용한 푸쉬업 플러스운동이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 대학교 대학원, 2011
9 권혁철, 정동훈, "스크린 높이와 서류 고정대 위치에 따른 목 주위근육의 활성 정도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3(3), 829-837, 2000
10 윤기현, "진동을 이용한 목의 닫힌 사슬운동이 정상 성인의 목 굽힘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학원, 2014
1 김영민, 김호봉, "경추 불안정성의 관리",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1(1), 74-91, 2005
2 권재확, 김선엽, "슬링(Sling) 시스템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 대한정형도수 치료학회지, 7(2), 23-39, 2001
3 허진강, "목 안정화 운동이 만성 목 통증 환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한국스포츠리서 치, 17(1), 121-133, 2006
4 김종희, 이숙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척추 측만증 실태조사", 한국학교보건학회, 한국 학교보건학회지, 12(1), 143-148, 1999
5 신원섭, 정경심 ( Kyoung Sim Jung ), 정이정 ( Yi Jung Chung ), 이은우, "경통 환자 평가를 위한 Neck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 와 타당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4(3), 97-103, 2007
6 김재철, 전혜선, 이충휘, "목 통증 유무에 따른 심부 목 굽힘근의 근력과 지 구력 비교", 대한인간공학회, 26(4), 25-31, 2007
7 장준기, "경추의 전만과 통증을 동반한 측두하악장애의 치료 방법 고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8 황현정, "슬링을 이용한 푸쉬업 플러스운동이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 대학교 대학원, 2011
9 권혁철, 정동훈, "스크린 높이와 서류 고정대 위치에 따른 목 주위근육의 활성 정도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3(3), 829-837, 2000
10 윤기현, "진동을 이용한 목의 닫힌 사슬운동이 정상 성인의 목 굽힘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학원, 2014
11 권금희, "한국 전통수련 연도술 중 심신기법이 무용수의 자세와 변위된 골반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12 박성혁, 홍훈표, 최한성, "굽힘과 신전 수동운동 상태에서 개별경추의 진자 운동 및 병진운동의 운동학적인 특징", 대한외상학회지, 19(2), 126-134, 2006
13 문상복, 홍창배, 이원재, "목 신전근력운동 및 맥캔지(Mckinzie) 목운동이 목통 환자의 목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6(3), 687-698, 2007
14 박진식, "닫힌사슬 운동과 열린사슬 운동이 정상성인의 목 근육 두께, 근력, 근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15 박준상 ( Jun Sang Park ), 권오윤 ( Oh Yun Kwon ), 정희석 ( Hee Seok Jung ), 송시정 ( Si Jeong Song ), "앞쪽머리자세를 가진 대상자의 머리-목 굽힘 검사 시 머리받침 유무에 따른 긴목근과 목빗근의 근두께 변화량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한국전문 물리치료학회지, 23(3), 11-2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