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체능 계열의 전공 연계 글쓰기 시론 - 사진학과의 작품해설문 쓰기를 중심으로 = Essay for Arts and physical Writing Across the Curricalum - for department of photography students'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2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s purpose is for trying WAC. From 2014 first semester, at the Chungang University Anseong campus,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is added to liberal arts education writing for Arts and physical course of study. There are some reasons f...

      This essay's purpose is for trying WAC. From 2014 first semester, at the Chungang University Anseong campus,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is added to liberal arts education writing for Arts and physical course of study. There are some reasons for composing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in writing textbook and teaching it for students. First, students can discern the fact that experience writing toward their own major is more helpful means of their work's creation. Second, WAC is helpful to students' creation. Before creation of work, it can ready for creation work to document work's planning intention, topic, constitution, title, materials and expressive technique. In addition students can exactly arrange creation of work to document work process of progress and further, in case of problem in production of work progress, supervise the creation of work as apprehending error. Third, through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students can objectify their own creation of work. This experience is helpful to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eir own creation of work. Fourth, Arts and physical students will have friendly feeling to wri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전공 연계 글쓰기를 위한 시론이다. 중앙대학교 안성 캠퍼스에서는 2014년 1학기부터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작품해설문 쓰기>를 공통교양 글쓰기 강의에 첨가 하였다. ...

      이 글은 전공 연계 글쓰기를 위한 시론이다. 중앙대학교 안성 캠퍼스에서는 2014년 1학기부터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작품해설문 쓰기>를 공통교양 글쓰기 강의에 첨가 하였다. <작품해설문 쓰기>를 글쓰기 교재에 구성하고 강의를 하게 된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을 글로 쓰는 경험을 통하여 글쓰기가 자신의 전공 창작에도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한다. 둘째, <작품해설문 쓰기>는 실제로 학생들의 창작에 도움을 준다. <작품해설문 쓰기>에서는 작품 창작에 과정 중심 글쓰기의 방법론인 계획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조직하기 과정을 도입하였다. 창작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작품의 기획 의도, 작품의 주제와 구성, 작품의 제목과 소재, 작품의 표현 기법 등을 명확하게 기록함으로써 창작 작업에 충실히 대비할 수 있다. 또 작품 진행 과정을 기록하여 창작 작품을 정확히 점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품 제작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수정할 수 있다. 셋째, <작품해설문 쓰기>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창작 작품을 객관화하는 시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자기의 창작 작품으로 타인과 소통할 때 유용한 의사소통 도구가 될 것이다. 넷째, 예체능 계열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소외감을 줄일 수 있다. <작품해설문 쓰기>는 학기 중에 지속적으로 언급되기 때문에 글쓰기에 친밀성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안성 캠퍼스 글쓰기에서 시도한 <작품해설문 쓰기>는 엄밀히 말하면 전공 연계 글쓰기의 영역에서 벗어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중앙대학교의 계열별 분리 글쓰기와 전공 연계 글쓰기 강의 개설을 위한 초석이자 작은 시도의 의미를 가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어와 문학>편찬 위원회, "현대인을 위한 글쓰기 기술" 도서출판 동인 2005

      2 신선경, "지식 기반 사회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 국립국어원 22 (22): 145-, 2012

      3 배식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국내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 : 미국 WAC 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91-626, 2012

      4 원만희, "전공연계 글쓰기(WAC)를 위한 교육 기획" 한국수사학회 (13) : 191-219, 2010

      5 이원숙, "인식의 확장을 유도하는 예술계열 글쓰기" 대학작문학회 (6) : 185-211, 2013

      6 김지혜, "예체능계열의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4) : 67-93, 2012

      7 이미정, "예체능 계열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디자인학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3-67, 2013

      8 엄홍준, "생각과 글쓰기" 도서 출판 동인 2009

      9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글쓰기 교육위원회, "미의식과 인간-예체능계열 글 읽기" 경진 2010

      10 김세령, "미술 계열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술 계열 <글쓰기와 의사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76) : 415-446, 2011

      1 <국어와 문학>편찬 위원회, "현대인을 위한 글쓰기 기술" 도서출판 동인 2005

      2 신선경, "지식 기반 사회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 국립국어원 22 (22): 145-, 2012

      3 배식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국내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 : 미국 WAC 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91-626, 2012

      4 원만희, "전공연계 글쓰기(WAC)를 위한 교육 기획" 한국수사학회 (13) : 191-219, 2010

      5 이원숙, "인식의 확장을 유도하는 예술계열 글쓰기" 대학작문학회 (6) : 185-211, 2013

      6 김지혜, "예체능계열의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4) : 67-93, 2012

      7 이미정, "예체능 계열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디자인학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3-67, 2013

      8 엄홍준, "생각과 글쓰기" 도서 출판 동인 2009

      9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글쓰기 교육위원회, "미의식과 인간-예체능계열 글 읽기" 경진 2010

      10 김세령, "미술 계열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술 계열 <글쓰기와 의사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76) : 415-446, 2011

      11 박정하, "대학 글쓰기 교육 이대로 좋은가- 문제점과 과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 (6): 7-34, 2013

      12 강숙아, "다빈치 글쓰기" 태학사 2014

      13 박노해, "다른 길" 느린 걸음 2014

      14 우종학, "글쓰기는 과학자의 일상"

      15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2&no=3124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