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UROCODE 2 전단설계기준의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86880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토목공학과 , 2011. 8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2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Evaluation of EUROCODE 2 Shear Design Provisions

      • 형태사항

        ⅵ, [96]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우
        참고문헌 : p.78-7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단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EUROCODE 2의 전단설계기준을 평가 분석하였다. EUROCODE 2의 전단설계기준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해서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전단경간 대 유효깊이의 비가 큰 경우에 대하여 가장 낮은 정확도를 제공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유효깊이에 상관없이 전단강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56%의 정확도로 예측하였으며, 전단경간 대 유효깊이의 비가 3.0 이하로 작을때는 68%의 정확도로 전단강도를 예측하였지만, 전단경간 대 유효깊이의 비가 커질수록 50% 이하의 정확도로 전단강도를 예측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 예측의 정확도는 최대 66%까지 증가하였으나, 압축강도가 70 MPa 영역에서는 50% 이하의 정확도로 전단강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강도콘크리트일수록 실험결과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인장철근비가 2.5%인 경우에는 전단강도 예측의 정확도가 50% 수준으로 낮은 정확도를 제공하였지만, 이 철근비보다 작거나 높은 경우에는 전단강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철근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은 경우에 전단강도 예측의 정확도는 약 70% 수준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단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EUROCODE 2의 전단설계기준을 평가 분석하였다. EUROCODE 2의 전단설계기준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철근콘크리트 부...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단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EUROCODE 2의 전단설계기준을 평가 분석하였다. EUROCODE 2의 전단설계기준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해서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전단경간 대 유효깊이의 비가 큰 경우에 대하여 가장 낮은 정확도를 제공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유효깊이에 상관없이 전단강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56%의 정확도로 예측하였으며, 전단경간 대 유효깊이의 비가 3.0 이하로 작을때는 68%의 정확도로 전단강도를 예측하였지만, 전단경간 대 유효깊이의 비가 커질수록 50% 이하의 정확도로 전단강도를 예측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 예측의 정확도는 최대 66%까지 증가하였으나, 압축강도가 70 MPa 영역에서는 50% 이하의 정확도로 전단강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강도콘크리트일수록 실험결과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인장철근비가 2.5%인 경우에는 전단강도 예측의 정확도가 50% 수준으로 낮은 정확도를 제공하였지만, 이 철근비보다 작거나 높은 경우에는 전단강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철근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은 경우에 전단강도 예측의 정확도는 약 70% 수준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ear test data have been extracted from existing experimental research. The shear Experimental data was used for evaluating shear design provisions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 discussion on the use of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related to calibration and strength reduction factor for the shear design provisions was also provided. It was observed that the EUROCODE 2 shear design provisions did not provide good predictions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nd give very poor predictions especially for shear span to depth ratio. The shear design provisions predicted relatively constant with an accuracy of 56% regardless of the effective depth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nd the shear span to depth ratio of less than 3.0 with an accuracy of 68% the predicted shear strength. The shear span to depth ratio increases, an accuracy of 50% or less predicted the shear strength.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the shear strength of up to 66% of prediction accuracy is increased. But, compressive strength of 70 MPa with an accuracy of 50% in predicting the shear strength. Increasing the concrete strength are fairly good prediction for test results. In case of steel ratio 2.5% to belos the 50% accuracy of shear strength prediction. The steel ratio is higher than or equal to accurately predict the shear strength is relatively. Especially, steel ratio is relatively low and high accuracy of shear strength prediction is increased by approximately 70%.
      번역하기

      Shear test data have been extracted from existing experimental research. The shear Experimental data was used for evaluating shear design provisions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 discussion on the use of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related to ...

      Shear test data have been extracted from existing experimental research. The shear Experimental data was used for evaluating shear design provisions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 discussion on the use of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related to calibration and strength reduction factor for the shear design provisions was also provided. It was observed that the EUROCODE 2 shear design provisions did not provide good predictions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nd give very poor predictions especially for shear span to depth ratio. The shear design provisions predicted relatively constant with an accuracy of 56% regardless of the effective depth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nd the shear span to depth ratio of less than 3.0 with an accuracy of 68% the predicted shear strength. The shear span to depth ratio increases, an accuracy of 50% or less predicted the shear strength.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the shear strength of up to 66% of prediction accuracy is increased. But, compressive strength of 70 MPa with an accuracy of 50% in predicting the shear strength. Increasing the concrete strength are fairly good prediction for test results. In case of steel ratio 2.5% to belos the 50% accuracy of shear strength prediction. The steel ratio is higher than or equal to accurately predict the shear strength is relatively. Especially, steel ratio is relatively low and high accuracy of shear strength prediction is increased by approximately 7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내용 및 방법 3
      • 제2장 문헌연구 5
      • 2.1 콘크리트 구조설계법 5
      • 제1장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내용 및 방법 3
      • 제2장 문헌연구 5
      • 2.1 콘크리트 구조설계법 5
      • 2.1.1 개요 5
      • 2.1.2 한계상태설계법 7
      • 2.1.3 신뢰도기반설계법 9
      • 2.2 EC 2 설계기준 11
      • 2.2.1 목적, 내용 및 범위 11
      • 2.2.2 설계 기본 변수의 분류와 정의 12
      • 2.2.3 설계 검증사항 19
      • 2.2.4 재료 25
      • 2.3 전단설계법의 변천 36
      • 2.4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의 전단설계기준 39
      • 2.4.1 기반이론 39
      • 2.4.2 전단보강철근을 갖는 보 43
      • 2.4.3 전단설계 규정 48
      • 2.5 EC 2의 전단설계기준 53
      • 2.5.1 전단철근이 필요하지 않는 부재 54
      • 2.5.2 전단철근이 필요한 부재 56
      • 제3장 EUROCODE 2 설계 전단강도 비교분석 58
      • 3.1 일반 58
      • 3.2 대상 시험체 61
      • 3.3 전단강도 산정 62
      • 3.4 비교분석 개요 66
      • 3.5 비교분석 결과 69
      • 3.5.1 보의 유효깊이에 따른 평가 69
      • 3.5.2 전단경간 대 유효깊이 비에 따른 평가 71
      • 3.5.3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른 평가 73
      • 3.5.4 주인장철근비에 따른 평가 75
      • 제4장 결론 77
      • 참고문헌 78
      • 영문초록 80
      • 부록 EUROCODE 2에 의한 전단강도 평가를 위한 시험체 제원 및 실험결과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