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표현예술치료 참여자를 중심으로 - = Narrative Inquiry on the life of Middle-Aged Women on the Verge of Divorce -Among the Participants in Expressive Arts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85901

      • 저자
      • 발행사항

        아산: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2.61 판사항(6)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xi,186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손진희
        참고문헌: p.168-181

      • UCI식별코드

        I804:44008-20000017507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표현예술치료 참여자를 중심으로 -


      황보유순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년기 이혼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특히 이혼 이후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높으면서도 이혼신청에 더 적극적인 주체가 여성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무엇이 이들 중년기 여성을 이혼위기로 이끄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의 삶 전체를 조명해 봄으로써 이혼위기 여성들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첫째, 중년여성의 이혼위기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구성 경험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인간경험의 탐구방법으로서 내러티브 탐구는 이야기를 말하는 과정에서 경험을 이야기로 이해하게 되고 경험이 지닌 의미를 알게 해주는 효용성을 갖는다. 더불어 삶의 경험을 자각하는데 도움이 되는 표현예술매체와 결합하여 보다 더 심층적인 자료들을 도출해 냄으로써 참여자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의 이야기를 마음껏 표현하지 못하고 억압해왔던 중년여성들이 자신의 삶을 오로지 말로만 하는 것(talk–only)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표현예술치료 작업을 통해 내러티브 탐구를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이는 삶의 경험들이 미적인 경험 속에서 잘 이해될 수 있다는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최근의 관점을 지지하는 접근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적절성’과 ‘충분성’에 의하여 결혼생활 20년 이상, 현재 이혼이 성립되지 않은 이혼위기 상태로 최근 3년 안에 법원을 1번 이상 경유한 40세에서 60세까지의 중년여성들이다. 8회기 표현예술치료 작업과 추가 자료를 포함하여 총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월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였으며, 심층면담은 최소 5회에서 7회기까지 각 참여자들의 상황에 맞춰서 진행되었다.
      내러티브 연구방법의 엄격성을 위하여 수차례의 질적 연구방법론과 내러티브방법론을 학습하였고 내러티브전문가에게 감수를 받았다. 윤리적 고려를 위해서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에서 실시하는 연구윤리 교육을 수강하였고 이론과 기준에 입각해서 충실히 지키고자 노력하며 연구에 임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연구 참여자에게 보여주고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이혼위기 의미 구성 경험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3차원적 공간 내에서의 참여자들의 공통경험은 상황차원에서는 ‘폭력 및 학대’, ‘과도한 통제’, ‘좌절된 욕구와 꿈’, ‘과도한 짐’, ‘역할의 과부하’, ‘위로와 지지기반’, ‘삶의 목표 재설정’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성의 차원에서는 ‘중독적인 삶에 빠져 들어가다’, ‘자기 발전과 성숙으로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차원에서는 내적방향으로 ‘순응과 자기비하’, ‘자기긍정과 자기와의 화해’, ‘자신감과 자율성 회복’, 외적 방향으로서 ‘폐쇄와 회피’, ‘개방과 도전’으로 나타났다.
      표현예술치료 작업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삶의 의미의 변화과정은 <발견과 직면>차원에서 ‘현실 자각’, ‘과거 기억 재생’, ‘자원의 재발견’, ‘자신의 실체 자각’, ‘욕구 발견’, ‘자기에 대한 연민’으로 나타났다. <해소> 차원에서는 ‘공명을 통해 자기만의 고통에서 벗어남’, ‘미해결과제 내보내기’, ‘해방감’, ‘편안함’, ‘마음이 뻥 뚫림’, ‘갇힌 문이 열림’ <관점의 변화와 확인을 통한 변화와 성장>차원에서 ‘관찰자 입장에서 조명’, ‘탈출에 성공’, ‘열등감과 수치심에서 자신감과 가능성으로 변화’, ‘생활의 활력’, ‘삶의 원동력’, ‘삶의 태도 변화’, ‘가능성으로 전환’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체화> 차원에서는 ‘몸의 기억’, ‘눈에 남은 형상’, ‘정서적 느낌과 감동’ 등의 주제들로 나타났다. 각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묘사된 내용들은 자신을 이해하고 발견하는 자료로서 직면과 해소의 과정을 거쳐 관점의 변화와 확인으로 나아가는 성장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표현예술치료의 주된 특징인 말로서 하는(talk only) 한계를 넘어서서 자신의 신체 부위에 각인되고 체화되는 효과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이혼위기 중년여성들의 삶의 의미 구성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구체적인 이혼위기 요인들과 변화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와 방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이혼위기의 이야기와 경험들이 이혼위기에서뿐만 아니라 삶의 전체적인 맥락과 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추후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특성과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의 방향과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과 이혼의 예방적 측면에서의 설계와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내러티브 탐구 중에서도 뒤엉켜있는 삶의 장면들이 미적인 경험 속에서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는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art-based narrative inquiry)방법으로 표현예술치료를 적용하여 시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혼위기 여성들과, 특히 중년여성들을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길잡이의 가능성을 열었다.
      번역하기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표현예술치료 참여자를 중심으로 - 황보유순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최...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표현예술치료 참여자를 중심으로 -


      황보유순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년기 이혼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특히 이혼 이후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높으면서도 이혼신청에 더 적극적인 주체가 여성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무엇이 이들 중년기 여성을 이혼위기로 이끄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의 삶 전체를 조명해 봄으로써 이혼위기 여성들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첫째, 중년여성의 이혼위기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구성 경험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인간경험의 탐구방법으로서 내러티브 탐구는 이야기를 말하는 과정에서 경험을 이야기로 이해하게 되고 경험이 지닌 의미를 알게 해주는 효용성을 갖는다. 더불어 삶의 경험을 자각하는데 도움이 되는 표현예술매체와 결합하여 보다 더 심층적인 자료들을 도출해 냄으로써 참여자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의 이야기를 마음껏 표현하지 못하고 억압해왔던 중년여성들이 자신의 삶을 오로지 말로만 하는 것(talk–only)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표현예술치료 작업을 통해 내러티브 탐구를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이는 삶의 경험들이 미적인 경험 속에서 잘 이해될 수 있다는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최근의 관점을 지지하는 접근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적절성’과 ‘충분성’에 의하여 결혼생활 20년 이상, 현재 이혼이 성립되지 않은 이혼위기 상태로 최근 3년 안에 법원을 1번 이상 경유한 40세에서 60세까지의 중년여성들이다. 8회기 표현예술치료 작업과 추가 자료를 포함하여 총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월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였으며, 심층면담은 최소 5회에서 7회기까지 각 참여자들의 상황에 맞춰서 진행되었다.
      내러티브 연구방법의 엄격성을 위하여 수차례의 질적 연구방법론과 내러티브방법론을 학습하였고 내러티브전문가에게 감수를 받았다. 윤리적 고려를 위해서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에서 실시하는 연구윤리 교육을 수강하였고 이론과 기준에 입각해서 충실히 지키고자 노력하며 연구에 임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연구 참여자에게 보여주고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이혼위기 의미 구성 경험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3차원적 공간 내에서의 참여자들의 공통경험은 상황차원에서는 ‘폭력 및 학대’, ‘과도한 통제’, ‘좌절된 욕구와 꿈’, ‘과도한 짐’, ‘역할의 과부하’, ‘위로와 지지기반’, ‘삶의 목표 재설정’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성의 차원에서는 ‘중독적인 삶에 빠져 들어가다’, ‘자기 발전과 성숙으로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차원에서는 내적방향으로 ‘순응과 자기비하’, ‘자기긍정과 자기와의 화해’, ‘자신감과 자율성 회복’, 외적 방향으로서 ‘폐쇄와 회피’, ‘개방과 도전’으로 나타났다.
      표현예술치료 작업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삶의 의미의 변화과정은 <발견과 직면>차원에서 ‘현실 자각’, ‘과거 기억 재생’, ‘자원의 재발견’, ‘자신의 실체 자각’, ‘욕구 발견’, ‘자기에 대한 연민’으로 나타났다. <해소> 차원에서는 ‘공명을 통해 자기만의 고통에서 벗어남’, ‘미해결과제 내보내기’, ‘해방감’, ‘편안함’, ‘마음이 뻥 뚫림’, ‘갇힌 문이 열림’ <관점의 변화와 확인을 통한 변화와 성장>차원에서 ‘관찰자 입장에서 조명’, ‘탈출에 성공’, ‘열등감과 수치심에서 자신감과 가능성으로 변화’, ‘생활의 활력’, ‘삶의 원동력’, ‘삶의 태도 변화’, ‘가능성으로 전환’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체화> 차원에서는 ‘몸의 기억’, ‘눈에 남은 형상’, ‘정서적 느낌과 감동’ 등의 주제들로 나타났다. 각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묘사된 내용들은 자신을 이해하고 발견하는 자료로서 직면과 해소의 과정을 거쳐 관점의 변화와 확인으로 나아가는 성장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표현예술치료의 주된 특징인 말로서 하는(talk only) 한계를 넘어서서 자신의 신체 부위에 각인되고 체화되는 효과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이혼위기 중년여성들의 삶의 의미 구성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구체적인 이혼위기 요인들과 변화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와 방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이혼위기의 이야기와 경험들이 이혼위기에서뿐만 아니라 삶의 전체적인 맥락과 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추후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특성과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의 방향과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과 이혼의 예방적 측면에서의 설계와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내러티브 탐구 중에서도 뒤엉켜있는 삶의 장면들이 미적인 경험 속에서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는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art-based narrative inquiry)방법으로 표현예술치료를 적용하여 시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혼위기 여성들과, 특히 중년여성들을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길잡이의 가능성을 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자의 내러티브 8
      • 3. 연구문제 17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자의 내러티브 8
      • 3. 연구문제 17
      • Ⅱ. 이론적 배경
      • 1. 중년기와 여성 18
      • 2. 이혼 위기 28
      • 3. 표현예술치료 36
      • Ⅲ. 연구방법
      • 1. 내러티브탐구의 개념 45
      • 2. 내러티브탐구의 정당성 49
      • 3. 내러티브탐구 절차 50
      • 4. 내러티브탐구의 엄격성 54
      • 5. 윤리적 고려 57
      • Ⅳ.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경험 이야기
      • 1. 오똑이의 이야기 : 시키는 대로 떠밀려 온 삶 59
      • 2. 유하의 이야기 : 참는 자의 좌절된 꿈 78
      • 3. 위대한 캐츠비의 이야기 : 무거운 짐에 억압되고 막혀 있던 삶
      • 92
      • Ⅴ. 이혼위기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구성 경험
      • 1. 상황 109
      • 2. 시간성 126
      • 3. 상호작용 130
      • 4. 참여자들이 경험한 표현예술치료의 의미 136
      • Ⅵ. 논의 및 결론
      • 1. 요약 143
      • 2. 논의 149
      • 3. 시사점 및 제언 157
      • 내러티브를 마치며 164
      • 참고문헌 168
      • ABSTRACT 182
      • 부록 1 : 연구동의서 18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서울: 도서출판 칼빈 서적, 1991

      2 손정미, "(매일경제", 늘어나는 중년의 이혼, 2007

      3 김병오, "자존감 읽기", 서울: 학지사, 2013

      4 임경수, "중년 리모델링", 서울: CUP 출판사, 2002

      5 김재은, "인간 발달 과정", 서울: 전망사, 1990

      6 정태기, "『위기와 상담』", 서울: 크리스찬 치유목회연구원, 2002

      7 김진원, "인간행동과 발달", 서울: 참복지머슴, 2006

      8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2001

      9 양유성, "외도의 심리와 상담", 서울: 학지사, 2008

      10 한재희, "한국적 다문화 상담", 서울: 학지사, 2010

      1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서울: 도서출판 칼빈 서적, 1991

      2 손정미, "(매일경제", 늘어나는 중년의 이혼, 2007

      3 김병오, "자존감 읽기", 서울: 학지사, 2013

      4 임경수, "중년 리모델링", 서울: CUP 출판사, 2002

      5 김재은, "인간 발달 과정", 서울: 전망사, 1990

      6 정태기, "『위기와 상담』", 서울: 크리스찬 치유목회연구원, 2002

      7 김진원, "인간행동과 발달", 서울: 참복지머슴, 2006

      8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2001

      9 양유성, "외도의 심리와 상담", 서울: 학지사, 2008

      10 한재희, "한국적 다문화 상담", 서울: 학지사, 2010

      11 Collins, "남상인 역. 이혼상담", 서울: 두란노, 1993

      12 김병오, "부끄러움과 가정폭력", 서울: 학지사, 2009

      13 김애순,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14 Clandinin, D. J.,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Left Coast Press. 염지숙, 강현석, 박세원, 조덕주, 조인숙 공역. (2015). 내러티브 탐 구의 이해와 실천, 경기: 교육과학사, 2013

      15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7(2), 60-61, 2004

      16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이해", 경기: 교육과학사, 1999

      17 이미나, "흔들리는 중년 두렵지 않다", 서울: 한계레신문사, 2000

      18 박희주, "갱년기 우울증의 임상적 관찰", 부산의대 잡지, 13(1), 247-252, 1993

      19 이인철, "여자들은 매일 이혼을 꿈꾼다", 서울: 북라이프, 2012

      20 채경옥, "(매일경제. 늘어나는 중년이혼", 더는 매여살지 않겠다, 2007

      21 Seidman, Irving,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3rd)", 박혜준, 2006

      22 김분한, 이미향, "중년여성의 상실경험 의미 분석", 대한여성건강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2), 139-157, 2000

      23 홍영숙, "내러티브 질적 연구의 이해와 실제", 숭실대학교 질적연구워 크샵 자료집, 2016

      24 홍이화, "하인즈코헛의 자기심리학이야기Ⅰ",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25 민성기, 한정옥, 박청산, "화병에 있어서 방어기제와 대응전략", 신경정 신의학, 32(4), 513, 1993

      26 유재성, "한국 사회의 이혼 급증현상 요인분석", 목회와 신학, 167, 100-12, 2003

      27 최규련, "이혼의 심리사회적 원인과 상담적 함의", 상담학연구, 6(3), 1025-1040, 2004

      28 Conway, J., "Mid-life crisis. 윤종석 역. (2005). 중년의 위기", 서울: 도서출판디모데, 1978

      29 주혜주, "이혼 여성의 이혼 결정과정.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5

      30 이현주, 임명용, "이혼 위기 부부의 통합적 부부치료 사례연구", 한국가 족치료 학회지, 20(2), 201-224, 2012

      31 백지연, "중년여성 가장의 정체성 변화.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4

      32 이소영, "폐경기 여성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 학회지, 39(3), 555-561, 1996

      33 봉동연, "중년여성의 이혼위기 경험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2014

      34 권석만, "추천의 글. 주리에, 미술치료는 미술치료, (5-6)", 서울:학지 사, 2000

      35 이종철, "화병의 사회 심리학에 대한 논평, 한국인의 화병", 경기: 한 국정신문화연구원, 2(1), 176, 1997

      36 이영미, "중년여성의 분노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3

      37 Patricia, Cohen., "In Our Prime. 권혁 역. (2016). 중년이라는 상품 의 역사", 서울: 돋을새김, 2011

      38 곽배희, "이혼원인 및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 자대학교, 1994

      39 문석구, "이혼문제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박사학위논문", 목원대 학교, 2002

      40 안미연, 임용자, 유계식, "표현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몸으로 하는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2016

      41 Collins, G. R., "Christian Counseling. 피현희 역. (1994). 크리스챤 카운슬링", 서울: 두란노, 1992

      42 Clinebell, H., "Couple the growth process. 이종헌 역. (1992). 부부 성장 과정",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8

      43 이주홍, "한국사회의 이혼율 증가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연세 대학교, 2002

      44 임은옥, "“갱년기 증상과 생활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 학회지, 8(2), 1-34, 1993

      45 김선희, 유진희, 안현아, 박태영, "이혼위기에 있는 부부에 대한 가족치료 다중사례연구",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20(1), 23-56, 2012

      46 최정숙, "여성의 이혼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2004

      47 성정현, "이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성역할태도를 중심으로", 한국 가족 복지학, 1(4), 93-116, 2000

      48 곽배희, "한국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1

      49 Michele Weiner Davis, "Divorce Remedy. 유재성 역. (2013). 누구나 한번쯤 이혼을 꿈꾼다", 서울: 한언출판사, 2001

      50 김명자,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1988

      51 정희성, "한국 여성을 위한 이혼숙려상담의 모색.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8,(0). 127-153, 2006

      52 이화연, "부부갈등극복과 이혼 위기 극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2005

      53 강희숙, 양정옥, "이혼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부부갈등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2), 183-199, 2012

      54 Jerry, A., Mary, White, "Midlife and Christians. 네비게이토 역. (1995). 중년기와 그리스도인", 서울: 네비게이토 출판사, 1991

      55 성정현, "성 역할 태도의 이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서울대학교, 1998

      56 임선미, "중년기 이혼여성의 위기극복을 위한 목회상담. 석사학위논 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8

      57 김금자, "이혼 위기 부부의 가족치료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 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2), 275-301, 2012

      58 한석근, "이혼위기에 처한 가정의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석사학위논 문", 목원대학교, 2005

      59 김남진, 김영희,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197-225, 2010

      60 박천기, "부부갈등으로 인한 이혼위기와 해결방안의 고찰. 석사학위논 문", 침례신학대학교, 2007

      61 홍영숙, "휴학경험을 형성하는 지방대학남학생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3 (1), 1-28, 2017

      62 김순안, "여성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박사학 위논문", 백석대학교, 2010

      63 김지현, "이혼․실직․부도에 은둔형 외톨이로..위 기 내몰린 중년 1인 가구", 한국일보, 2018

      64 임영희, "중년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경희대학교, 2004

      65 최옥이, "중년여성이 경험한 이혼에 대한 목회돌봄 사례연구. 석사 학위논문", 경북외국어대학교, 2011

      66 엄신자, "내담자를 통해서 본 이혼의 원인과 근인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8

      67 김옥경, "이혼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자존감 회복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경북외국어대학교, 2012

      68 임용자, "표현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동작, 미술 및 언어 표현의 통합적 접근", 서울: 문음사, 2004

      69 박태휘, "중년기 부부 이혼위기예방을 위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석사 학위논문", 전주대학교, 2005

      70 홍영숙, "한국계-미국인 대학교 원어민 강사가 살아내는 교사경험 이야기 탐구", 언어학 연구, 20(3), 141-167, 2015

      71 Maxwell, J. A., "이명선, 김춘미, 고문희 공역. (2009). 질적 연구설계: 상 호 작용적 접근", 서울: 군자출판사, 1996

      72 유순희, "황혼이혼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박 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016

      73 Levinson, D. J., "Women undergoing four seasons of life. 김애순역. (1998).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서울: 세종연구원, 1996

      74 차경선, "이혼위기 부부의 관계회복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일 장신대학교, 2014

      75 한수자, "파탄주의 이혼원인과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2000

      76 유순희,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이언스에 대한 질적 분석.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011

      77 유명숙, "이혼위기를 극복한 중년기 남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7

      78 이경희, "재판상 이혼 소송 청구를 당한 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2013

      79 이길자, "일부지역 중년기 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 및 자각증상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91

      80 정정화, "이마고 부부관계치료를 통한 이혼 위기부부의 심리적 치유 과정.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15

      81 홍영숙, "한국 초등학교에서 비원어민 영어교사로 살아가기: 교사정 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영어어문교육, 19(4), 427-53, 2013

      82 Howard, H., "When the crisis is coming to a couple. 파이디온선교 회 역. (1992). 부부에게 위기가 다가올 때", 서울: 파이디온선교회, 1990

      83 김희정, "협의이혼 숙려기간 중 상담을 통한 철회 경험에 관한 현 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2015

      84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치료미학 논의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6)3, 81-104, 2010

      85 전경숙, "한국 중년의 안녕감-행복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척도 개발 및 집단 간 비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0

      86 Kohut, H., "The Analysis of the Self: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재훈 역. (2005). 자기 의 분석.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71

      87 김수자, "이혼위기 부부회복을 위한 목회상담학적 연구-보령지역교회 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2006

      88 김정희, 소경희, "Arts-based narrative inquiry for research oneducation: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교 육과정연구, 32(2), 21-40, 2014

      89 오세정, "협의이혼 상담을 통한 이혼위기 부부의 갈등변화 과정에 관 한 현상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4

      90 김애경, "성취동기육성훈련이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및 목적과 자아 실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1990

      91 홍영숙, "영어 관념의 유동성과 교사정체성의 다중성 : 한 초등영어교과전담 교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언어학 연구, 19(2), 183-206, 2014

      92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유치원 에서 초등학교 1 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 연구, 2(3), 57-82, 1999

      93 Polkinghome Donald E,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 강현석, 이영효, 최인자, 김소희, 홍은숙, 강용경 역. 2009.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서울: 학지사, 1988

      94 김정은,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능력과 일상적 참의성 향상 을 위한 살아나는 몸 나 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박사학위논문", 동덕 여자대학교, 2014

      95 김미애, "불교 출가자의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 체험에 관한 질적 사 례연구–움직임을 통한 영성의 체화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 불교대학원대학교, 2017

      96 Halprin, D., "The Expressive Body in Life, Art and Therapy, Working with Movement, Metaphor and Meaning. 김용량, 이정명, 오은영 역.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움직임, 은유 그리고 의미의 세계", 서울: 시 그마프레스,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