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웹의 특성을 활용한 수준별 수업모형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vel-Differential Class Model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WE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78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웹 활용이 본격적인 대중화 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교육방법이 연구, 개발되어 WBI 학습, 웹기반 CAI, 원격강의 등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웹기반 교육이 교실수업에 비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현실성 있고 효율적인 교육의 효과를 얻으려면 학습자의 능력과 관심, 흥미, 적성 등을 고려한 웹기반 수준별 수업 모형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시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진급형 수업모형과 심화·보충형 수업모형을 웹기반 수업을 위해 혼합한 혼합형 수준별 수업모형으로 제시하고 구현한다.
      또한 구현된 수업모형을 수업에 적용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웹기반 수업에 대한 효과와 수업모형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85%의 학생들이 교실수업에 비해 인터넷 수업이 효과가 있다고 답했으며, 89%의 학생들이 인터넷으로 이루어진 수준별 수업에 만족한다고 답하였고, 87%의 학생이 심화·보충단계로 구분했을 때 더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또한 앞으로도 웹 기반 학습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번역하기

      오늘날 웹 활용이 본격적인 대중화 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교육방법이 연구, 개발되어 WBI 학습, 웹기반 CAI, 원격강의 등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교육이 활발히 진...

      오늘날 웹 활용이 본격적인 대중화 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교육방법이 연구, 개발되어 WBI 학습, 웹기반 CAI, 원격강의 등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웹기반 교육이 교실수업에 비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현실성 있고 효율적인 교육의 효과를 얻으려면 학습자의 능력과 관심, 흥미, 적성 등을 고려한 웹기반 수준별 수업 모형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시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진급형 수업모형과 심화·보충형 수업모형을 웹기반 수업을 위해 혼합한 혼합형 수준별 수업모형으로 제시하고 구현한다.
      또한 구현된 수업모형을 수업에 적용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웹기반 수업에 대한 효과와 수업모형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85%의 학생들이 교실수업에 비해 인터넷 수업이 효과가 있다고 답했으며, 89%의 학생들이 인터넷으로 이루어진 수준별 수업에 만족한다고 답하였고, 87%의 학생이 심화·보충단계로 구분했을 때 더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또한 앞으로도 웹 기반 학습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as more web-based applications have been widely used, various methods for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in practical areas. As a result, in many organizations, cyber educations such as WBI learning, CAI, and distance learning have been offered actively. With the advantages of web-bas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feasible and efficient effects on education, a new web-based instruction model that considers the abilities, the interests, and the aptitudes of students individually is required. In this paper, a new web-based instruction model, called a hybrid model, is proposed and implemented. And then, after the classes, a questionnaire is made in order to analyze both the effect on that class and the learning fulfillment of the proposed instruc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we show that our proposed model is more effective on the web-based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model.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번역하기

      Recently, as more web-based applications have been widely used, various methods for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in practical areas. As a result, in many organizations, cyber educations such as WBI learning, CAI, and distance learning have been offer...

      Recently, as more web-based applications have been widely used, various methods for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in practical areas. As a result, in many organizations, cyber educations such as WBI learning, CAI, and distance learning have been offered actively. With the advantages of web-bas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feasible and efficient effects on education, a new web-based instruction model that considers the abilities, the interests, and the aptitudes of students individually is required. In this paper, a new web-based instruction model, called a hybrid model, is proposed and implemented. And then, after the classes, a questionnaire is made in order to analyze both the effect on that class and the learning fulfillment of the proposed instruc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we show that our proposed model is more effective on the web-based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model.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목차 = iii
      • 그림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내용 = 1
      • 목차 = ⅰ
      • 표목차 = iii
      • 그림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내용 = 1
      • 2. 논문의 구성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웹기반 교육(WBl : Web_Based Instruction) = 4
      • 가 WBI의 개념 = 4
      • 나. WBl의 교육적 효과 = 5
      • 다. WBI 활용 수업 유형 = 8
      • 2. 구성주의(Constructivism) = 8
      • 가. 구성주의 이론 = 8
      • 나. 구성주의와 교육 = 9
      • 1)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 = 10
      • 2)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칙 = 11
      • 다. 웹에서의 구성주의 적용 = 12
      • 3. 수준별 교육과정을 위한 학습모형 비교 = 14
      • 4. 웹을 활용한 일반적인 수업모형 = 15
      • Ⅲ. 웹의 특성을 활용한 수준별 수업 모형의 설계 = 17
      • 1.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진급형 수업 모형 = 17
      • 2. 혼합형 수준별 수업모형 = 18
      • 3. 두 가지 수준별 수업모형의 특정 = 20
      • Ⅳ. 웹의 특성을 활용한 수준별 수업 모형의 구현 = 21
      • 1. 수준별 수업모형의 구현 환경 및 구조도 = 21
      • 2. 혼합형 수업모형 구현 = 23
      • 가. 혼합형 학습 초기화면 = 23
      • 나. 혼합형 학습내용 화면 = 24
      • Ⅴ. 수준별 수업모형의 적용 및 분석 = 31
      • 1. 기초 설문 조사 = 31
      • 2. 수업모형 적용 후 실문조사 및 평가 = 33
      • Ⅵ. 결론 및 연구과제 = 35
      • <참고문헌> = 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