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괜찮은 일, 자기결정욕구, 일의 의미와 생산성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86180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5
2025
한국어
370 판사항(22)
서울
Decent work, self-determination needs, meaning of work and Erikson's generativity in middle-aged men
ⅶ, 166 p. p. : 삽화
홍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지현
참고문헌 : p
I804:11064-00000003380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괜찮은 일, 자기결정욕구, 일의 의미와 생산성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
본 연구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괜찮은 일, 자기결정욕구, 일의 의미와 생산성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일의 심리학(PWT)을 기반으로 한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K-DWS; Nam & Kim, 2019)의 단축형을 구성하고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의 단축형을 구성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Duffy et al., 2024) 제안에 따라 부정문항을 긍정문항으로 변경하여 문항을 구성한 후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 후 20대∼60대 일하는 성인 남녀 15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 15문항에 대해 Bifactor 모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각 요인별로 일반요인에 높은 요인부하량을 보인 5문항을 선정하여 단축형을 구성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K-DWS 단축형은 K-DWS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축형 척도-준거 변인 간 상관패턴과 원척도-준거 변인 간 상관패턴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단축형 척도가 원척도를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성별 집단별 동등성 결과는 연령별 동등성은 검증되었고, 성별 동등성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괜찮은 일과 생산성 간의 관계를 자기결정욕구와 일의 의미가 순차매개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40∼55세 중년 남성 근로자 2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괜찮은 일은 자기결정욕구, 일의 의미 및 생산성과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냈다. 둘째, 괜찮은 일은 자기결정욕구에 정적 영향을, 자기결정욕구는 일의 의미와 생산성에 정적 영향을, 일의 의미는 생산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구성되는 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괜찮은 일과 생산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욕구와 일의 의미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첫째, 괜찮은 일의 5가지 요소를 모두 반영한 단축형 척도를 구성하고 타당화하였다. K-DWS 단축형은 괜찮은 일과 다양한 변인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할 때, 설문 응답자의 부담을 줄여 경제성과 유용성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일의 심리학 이론, 심리사회발달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연계하여 괜찮은 일의 결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일의 영역에서 중년기 발달과업인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들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 장면에서 괜찮은 일과 생산성(generativity)의 관계에서 중년 남성 근로자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책자에게는 괜찮은 일의 중요성을, 조직에는 근로자의 생산성을 증진할 수 있는 업무 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d and empirically tested a structural model based on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ecent work, self-determination needs, meaning of work, and generativity in middle-aged men. To achieve ...
This study established and empirically tested a structural model based on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ecent work, self-determination needs, meaning of work, and generativity in middle-aged men. To achieve this, a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ent Work Scale (K-DWS; Nam & Kim, 2019), grounded i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Study 1, we constructed and validated a shortened vers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ent Work Scale.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ed the items by changing the negative items to positive items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previous research (Duffy et al., 2024) and checked the reliability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We then analyzed the data of 155 adult men and women who are currently working between the ages of twenty and sixty. After carrying ou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15 items of the K-DWS using a bifactor model, we selected five items with high factor loading to be the general factors of each factor to make a short form.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short form of the K-DWS and the K-DWS.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 the correlation patterns of the short form criterion-reference variables and those of the original criterion-reference variabl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short form fully reflected the original scale. Finally, we verified equivalence among age groups and partially confirmed equivalence between gender groups.
In Study 2, we tested the structural relations in which self-determination needs and meaning of work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generativity by analyzing the data of 250 middle-aged male workers aged 40-55.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cent work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 determination needs, meaning of work, and generativity. Second, decent work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etermination needs, which in turn had positive effects on meaning of work and generativity. Meaning of work had positive effects on generativity, and the mediating path composed among them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self-determination needs and meaning of work ar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generativity.
This study first devised and validated a short form of the K-DWS to reflect all the five elements of decent work. The short form of the K-DW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reduce the burden on survey respondents and add economy and utility when testing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diverse variables. Secondly, the study demonstrated the outcomes of decent work empirically by connecting PWT, 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ies, and findings of previous work,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findings verified th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generativity, which is a development task in the realm of work for middle age. The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male workers in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generativity in counseling scenes. In addition, they can provide policymakers with 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decent work and offer organizations basic data on creating work environments that foster worker generativ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