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성격특성 및 감정노동 = The Study of Professionalism,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Labor in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30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confirm Professionalism, Personality Traits, Emotional Labor of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190 home health care APN in medical institutions registered in the website of home health care APN Association.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No.: 2017-057) of Konyang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21 through September 11, 2017.
      As research tools, this study employed Professionalism Inventory Scale that was developed by Hall (1968), corrected by Snizek (1972) and adapted and standardized into Korean language by Baek Hee-jeong (2007) et al.. For Personality Traits, this study used McCrae and Costa (1992)‘s NEO-PI-R (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that Ahn Chang-gye and Lee Gyeong-im (1996) adapted and standardized suited to the real state of Korea was used, and used by Seong Hye-jin (2004), and a tool for Emotional Labor developed by Morris and Feldman (1996)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Kim Min-ju (1998), and corrected by Song Yun-jeong (2011) suited to nurses was also used.
      For data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PC WIN 22.0 statistics program, and conducted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Summary of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was 3.62±0.31 points. Of the sub-areas of Professionalism, a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was the highest.
      Second, of the sub-areas of Personality Traits of home health care APN, the degree of the tendency of Agreeableness was the highest as was shown as 3.89±0.45 points.
      Third,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of home health care APN was 2.79±0.48 points. Of sub-areas of Emotional Labor,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was the highest.
      Fourth, as for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F=4.12, p=.008), annual salary(F=3.30, p=.040) and service period as a home health care APN(F=3.04, p=.031). Extraversion which is a sub-area of Personality Trai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t=-2.86, p=.005), and Openness differed by annual salary(F=5.06, p=.007) and Agreeableness by age(F=3.23, p=.024), annual salary(F=3.05, p=.050) and daily average visits(t=-3.64, p<.001). However, Neuroticis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F=5.85, p=.001), religion(t=-2.39, p=.018), annual salary(F=7.56, p=.001), weekly average working hours(F=-5.56, p<.001), weekly average number of off-hour calls(F=10.04, p<.001), daily average driving distance(F=17.10, p<.001) and daily average visits(t=-4.46, p<.001).
      Fifth,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r=.194, p=.016) and Agreeableness(r=.391, p<.001) of Personality Traits,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r=-.233, p=.004). Results show that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Labor of home health care AP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r=.200, p=.013), and Emotional Dissonance(r=.245, p=.002)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However,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has no correlation in all sub-areas of Emotional Labor.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is high level and the degree of Personality Traits is Agreeableness, and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is below average. As for Professionalism,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of Personality Traits,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whereas Emotional Labor and Neuroticism of Personality Trai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lthoug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further repetitive researches are considered necessary as the result differs from other researches. Therefore, repetitive researches by expanding to Advanced Practice Nurses in other duties are necessary with respect to correlation among Professionalism,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Labor, and researches for finding factors affecting each variable is also considered necessary.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confirm Professionalism, Personality Traits, Emotional Labor of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was ca...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confirm Professionalism, Personality Traits, Emotional Labor of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190 home health care APN in medical institutions registered in the website of home health care APN Association.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No.: 2017-057) of Konyang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21 through September 11, 2017.
      As research tools, this study employed Professionalism Inventory Scale that was developed by Hall (1968), corrected by Snizek (1972) and adapted and standardized into Korean language by Baek Hee-jeong (2007) et al.. For Personality Traits, this study used McCrae and Costa (1992)‘s NEO-PI-R (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that Ahn Chang-gye and Lee Gyeong-im (1996) adapted and standardized suited to the real state of Korea was used, and used by Seong Hye-jin (2004), and a tool for Emotional Labor developed by Morris and Feldman (1996)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Kim Min-ju (1998), and corrected by Song Yun-jeong (2011) suited to nurses was also used.
      For data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PC WIN 22.0 statistics program, and conducted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Summary of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was 3.62±0.31 points. Of the sub-areas of Professionalism, a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was the highest.
      Second, of the sub-areas of Personality Traits of home health care APN, the degree of the tendency of Agreeableness was the highest as was shown as 3.89±0.45 points.
      Third,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of home health care APN was 2.79±0.48 points. Of sub-areas of Emotional Labor,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was the highest.
      Fourth, as for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F=4.12, p=.008), annual salary(F=3.30, p=.040) and service period as a home health care APN(F=3.04, p=.031). Extraversion which is a sub-area of Personality Trai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t=-2.86, p=.005), and Openness differed by annual salary(F=5.06, p=.007) and Agreeableness by age(F=3.23, p=.024), annual salary(F=3.05, p=.050) and daily average visits(t=-3.64, p<.001). However, Neuroticis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F=5.85, p=.001), religion(t=-2.39, p=.018), annual salary(F=7.56, p=.001), weekly average working hours(F=-5.56, p<.001), weekly average number of off-hour calls(F=10.04, p<.001), daily average driving distance(F=17.10, p<.001) and daily average visits(t=-4.46, p<.001).
      Fifth,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r=.194, p=.016) and Agreeableness(r=.391, p<.001) of Personality Traits,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r=-.233, p=.004). Results show that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Labor of home health care AP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r=.200, p=.013), and Emotional Dissonance(r=.245, p=.002)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However,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has no correlation in all sub-areas of Emotional Labor.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Professionalism of home health care APN is high level and the degree of Personality Traits is Agreeableness, and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is below average. As for Professionalism,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of Personality Traits,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whereas Emotional Labor and Neuroticism of Personality Trai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lthoug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further repetitive researches are considered necessary as the result differs from other researches. Therefore, repetitive researches by expanding to Advanced Practice Nurses in other duties are necessary with respect to correlation among Professionalism,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Labor, and researches for finding factors affecting each variable is also considered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성격특성 및 감정노동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가정간호사회 홈페이지에 등록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 19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
      다. 건양대학교 생명윤리 심의위원회(IRB No.: 2017-057)의 승인을 받은 후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1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전문직업성은 Hall (1968)이 개발한 Professionalism Inventory Scale을 Snizek (1972)이 수정한 것을 백희정 등(2007)이 한국어로 번안, 표준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성격특성은 McCrae와 Costa (1992)의 NEO-PI-R(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을 안창규와 이경임(1996)이 한국어로 번안, 표준화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성혜진(2004)이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감정노동은 Morris와 Feldman (1996)이 개발하고 김민주(1998)가 한국어로 번안, 표준화한 도구를 송윤정(2011)이 간호사에게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PC 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의 정도는 3.62±0.31점이었다. 전문직업성의 하위영역 중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성격특성의 하위영역 중 친화성의 정도가 3.89±0.45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정도는 2.79±0.48점이었다. 감정노동의 하위영역 중 감정노동의 빈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넷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연령(F=4.12, p=.008), 연봉(F=3.30, p=.040), 가정전문간호사 근무기간(F=3.04, p=.03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격특성의 하위영역인 외향성은 교통사고 유무(t=-2.86, p=.005)에 따라서, 개방성은 연봉(F=5.06, p=.007)에 따라서, 친화성은 연령(F=3.23, p=.024), 연봉 (F=3.05, p=.050), 일 평균 방문 수(t=-3.64,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신경증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연령(F=5.85, p=.001), 종교(t=-2.39, p=.018), 연봉(F=7.56, p=.001), 주당 평균 근무시간(F=-5.56, p<.001), 근무시간 외 주당 평균 통화건수(F=10.04, p<.001), 일 평균 주행거리(F=17.10, p<.001), 일 평균 방문 수(t=-4.46,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은 성격특성 중 외향성(r=.194, p=.016), 친화성(r=.39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신경증(r=-.233, p=.004)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성격특성과 감정노동은 신경증(r=.200, p=.013)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의 부조화(r=.245, p=.002)는 신경증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전문직업성은 감정노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가정전문간호사의 직업전문성은 높은 정도였으며, 성격특성의 정도는 친화성의 경향이며, 감정노동의 정도는 중간이하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성은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친화성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경증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정노동과 성격특성 중 신경증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전문직업성과 감정노동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 연구 결과와 상이하여 추후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문직업성, 성격특성과 감정노동의 상관관계에 대해 타 직무 전문간호사로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각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성격특성 및 감정노동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가정간호사회 홈페이지에 등록된 의료기관에 근무...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성격특성 및 감정노동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가정간호사회 홈페이지에 등록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 19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
      다. 건양대학교 생명윤리 심의위원회(IRB No.: 2017-057)의 승인을 받은 후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1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전문직업성은 Hall (1968)이 개발한 Professionalism Inventory Scale을 Snizek (1972)이 수정한 것을 백희정 등(2007)이 한국어로 번안, 표준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성격특성은 McCrae와 Costa (1992)의 NEO-PI-R(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을 안창규와 이경임(1996)이 한국어로 번안, 표준화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성혜진(2004)이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감정노동은 Morris와 Feldman (1996)이 개발하고 김민주(1998)가 한국어로 번안, 표준화한 도구를 송윤정(2011)이 간호사에게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PC 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의 정도는 3.62±0.31점이었다. 전문직업성의 하위영역 중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성격특성의 하위영역 중 친화성의 정도가 3.89±0.45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정도는 2.79±0.48점이었다. 감정노동의 하위영역 중 감정노동의 빈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넷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연령(F=4.12, p=.008), 연봉(F=3.30, p=.040), 가정전문간호사 근무기간(F=3.04, p=.03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격특성의 하위영역인 외향성은 교통사고 유무(t=-2.86, p=.005)에 따라서, 개방성은 연봉(F=5.06, p=.007)에 따라서, 친화성은 연령(F=3.23, p=.024), 연봉 (F=3.05, p=.050), 일 평균 방문 수(t=-3.64,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신경증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연령(F=5.85, p=.001), 종교(t=-2.39, p=.018), 연봉(F=7.56, p=.001), 주당 평균 근무시간(F=-5.56, p<.001), 근무시간 외 주당 평균 통화건수(F=10.04, p<.001), 일 평균 주행거리(F=17.10, p<.001), 일 평균 방문 수(t=-4.46,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은 성격특성 중 외향성(r=.194, p=.016), 친화성(r=.39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신경증(r=-.233, p=.004)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성격특성과 감정노동은 신경증(r=.200, p=.013)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의 부조화(r=.245, p=.002)는 신경증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전문직업성은 감정노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가정전문간호사의 직업전문성은 높은 정도였으며, 성격특성의 정도는 친화성의 경향이며, 감정노동의 정도는 중간이하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성은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친화성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경증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정노동과 성격특성 중 신경증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전문직업성과 감정노동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 연구 결과와 상이하여 추후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문직업성, 성격특성과 감정노동의 상관관계에 대해 타 직무 전문간호사로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각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4
      • 제3절 용어의 정의 4
      • 제2장 문헌고찰 7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4
      • 제3절 용어의 정의 4
      • 제2장 문헌고찰 7
      • 제1절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7
      • 제2절 성격특성 9
      • 제3절 감정노동 11
      • 제3장 연구 방법 14
      • 제1절 연구 설계 14
      • 제2절 연구 대상 14
      • 제3절 연구 도구 14
      • 제4절 자료 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16
      • 제5절 자료 분석 방법 17
      • 제4장 연구 결과 18
      •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 제2절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성격특성 및 감정노동의 정도 20
      • 제3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성, 성격특성 및 감정노동의 차이 21
      • 제4절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성격특성 및 감정노동간의 상관관계 29
      • 제5장 논의 31
      • 제6장 결론 및 제언 37
      • 참고 문헌 39
      • Abstract 49
      • 부 록 52
      • 설문지 52
      • 도구 사용 허락서 58
      •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통지서 61
      • 감사의 글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