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에 있어 요청되는 포용적 평화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정보통신 및 교통체계의 혁신적 발전으로 인해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67935
서울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학위논문(박사)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 기독교교육학전공 , 2020.8
2020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model of embracing peace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ii, 279 p. ; 26 cm
지도교수: 김현숙
I804:11046-0000005250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에 있어 요청되는 포용적 평화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정보통신 및 교통체계의 혁신적 발전으로 인해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에 있어 요청되는 포용적 평화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정보통신 및 교통체계의 혁신적 발전으로 인해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세계경제가 단일화 되어가며 국경 없는 무한경쟁시대가 도래하였다. 세계화로 인하여 다양한 면에서 개발과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그에 따른 문제들도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세계화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 양극화 현상, 다문화 상황, 환경의 위기는 평화 부재의 상황을 보여준다. 불평등과 빈곤으로 심화되어가는 양극화 현상은 평화로운 사회보다는 갈등과 폭력의 상황들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한 세계화로 인하여 많은 이동과 이주가 이루어지면서, 각 사회에 인종 간, 문화 간 차이로 인한 문제들도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지구환경의 위기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가 어그러져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평화 부재의 상황을 마주하면서, 현대 사회의 평화에 대한 도전과 요청에 기독교의 평화 이해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대안으로 포용적 평화교육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스머(Richard R. Osmer)의 합의 모델(Consensus Model)을 적용하여 세계화 시대의 포용적 평화교육 모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합의 모델에서 제시하는 네 가지 질문을 토대로 먼저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해 세계화 시대의 개념과 특징들을 살펴보고, 왜 이러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해 세계화 시대의 문제점으로 인한 평화 부재의 상황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어떤 일들을 채택하고 진행해야 하는가에 대해 평화와 평화교육의 개념과 흐름, 특히 기독교의 영역에서 바라보는 ‘평화’에 대한 이해를 살펴본 후, 특정한 경험의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할 것인가에 대해 세계화 시대에 요청되는 포용적 평화 개념과 포용적 평화교육에서 강화해야 할 평화역량을 제시하며 어떻게 진행해나가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평화로운 미래 세계의 건설에 기여할 수 있는 평화역량을 강화하는 포용적 평화교육 모형은 교육 목적과 목표, 교육 내용과 방법, 교사와 학습자, 환경과 평가로 구성해 보았다. 먼저 교육 목적은 세계화 시대의 평화 부재 상황에서 요청되는 포용적 평화교육을 통해 자신, 타인, 세계 그리고 환경과의 평화로운 관계맺음을 지향하는 것이고, 교육 목표는 평화역량 즉, 탈인습성, 평화감수성, 비폭력 의사소통, 평화 상상력, 생태리터러시를 강화하여 평화적 인간을 양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교육 방법으로는 서클 프로세스, 비폭력 의사소통, 심미적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나 자신과의 관계 영역, 타인과의 관계 영역, 공동체와의 관계 영역, 자연환경과의 관계 영역에서 교육 내용을 마련해보았다. 그리고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과 태도 및 평화교육에 요구되는 환경과 평가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세계화 시대에 있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는 포용적 평화교육의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독교교육의 분야에서 세계화 시대의 비평화적 상황들을 마주하는 가운데 평화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포용적 평화 개념과 평화역량을 강화하는 포용적 평화교육 모형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odel of Embracing peace education that is requir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interdependence is increased and the global economy is unified due to the innovativ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odel of Embracing peace
education that is requir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interdependence is increased and the global economy is
unified due to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systems, and the era of infinite competition without borders
has arrived. Due to globalization, growth and development have been
accomplished in various ways, but there are also problems. Above all, the
polarization, multicultural situation, and environmental crisis caused by
globalization show the absence of peace. The polarization phenomenon, which
is intensifying to inequality and poverty, causes more conflict and
violence than peaceful society. In addition, due to globalization, many
movements and migrations have caused problems in each society due to
differences between races and cultures. And the crisis in the global
environmen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is
distorted. Facing this situation of absence of pe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Christian understanding of peace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challenges and requests for peace in modern society, and
to propose a model of Embracing peace education as a concrete alternativ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Embracing peace education
model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y applying the consensus model of
Richard R. Osmer. Based on the four questions presented by the consensus
model, we will first look at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globalization
era as to what is happening. Why this is happening, we will look at the
situation of the absence of peace due to the problems of the globalization
era. In addition, the concept and flow of peace and peace education,
especially the understanding of “peace” in the field of Christianity,
will be examined as to what to adopt and proceed in the future. After that,
I would like to look at how to proceed by presenting the embracing peace
concept required in the globalization era and the peace capacities to be
strengthened in Embracing peace education as to what should happen in a
specific experience situation.
The Embracing Peace Education Model, which strengthens the peace
capabilit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peaceful future
world, consists of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teachers and learners, environment and evaluation. Firs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aim for a peaceful relationship with oneself,
others, the world, and the environment through Embracing peace education
that is required in the absence of peace in the globalization era. The
educational goal is to cultivate peaceful human beings by strengthening
peace capacities, namely Postconventionality, peace sensitivity, nonviolent
communication, peace imagination, and ecological literacy. As a educational
method for this, I presented a circle process,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an aesthetic curriculum. I presented educational content in the area of
relationship with mysel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lso, the roles and attitudes of teachers and learners and the environment
and evaluation required for peace education were presen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e established a model of Embracing peace
education that could be an alternativ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s a Embracing peace education
model that strengthens peace capabilities based on the concept of embracing
peace by attempting a biblical and theological approach to peace while
facing non-peaceful situation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1 하영선, "편", 『21세기 평화학』 서울: 풀빛, 2002
2 이희승, "편",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1997
3 조성노, "편", 『현대신학개관』 서울: 카리스마, 1999
4 정원범, "편", 『평화운동과 평화선교』 서울: 한들, 2009
5 박경수, "편", 『하나님 나라와 평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7
6 박신배, "『평화학』", 서울: PKK Promise Keepers Korea, 2011
7 김기대, "『생태교육론』", 서울: 한국문화사, 2017
8 김진호, 오상준, "『평화 리더십』", 고양: PNC미디어, 2014
9 심성보, "『민주시민교육』", 서울: 살림터, 2011
10 고병헌, "『평화교육사상』", 서울: 학지사, 2006
1 하영선, "편", 『21세기 평화학』 서울: 풀빛, 2002
2 이희승, "편",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1997
3 조성노, "편", 『현대신학개관』 서울: 카리스마, 1999
4 정원범, "편", 『평화운동과 평화선교』 서울: 한들, 2009
5 박경수, "편", 『하나님 나라와 평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7
6 박신배, "『평화학』", 서울: PKK Promise Keepers Korea, 2011
7 김기대, "『생태교육론』", 서울: 한국문화사, 2017
8 김진호, 오상준, "『평화 리더십』", 고양: PNC미디어, 2014
9 심성보, "『민주시민교육』", 서울: 살림터, 2011
10 고병헌, "『평화교육사상』", 서울: 학지사, 2006
11 홍순정, "『평화교육탐구』", 서울: 에피스테메, 2007
12 김승재, 이학곤, "『평화와 평화상』", 서울: 서울평화상문화재단, 2004
13 김용섭, "『라이프 트렌드 』", 서울: 부키, 2014, 2015
14 박충구, "『종교의 두 얼굴』", 서울: 홍성사, 2013
15 강순원, "『평화 인권 교육』", 서울: 한울, 2000
16 김승국, "『평화연구의 지평』",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9
17 최상용, "『평화의 정치사상』", 파주: 나남출판, 2006
18 이강국, "『가난에 빠진 세계』", 서울: 책세상, 2007
19 윤응진, "『기독교 평화교육론』", 경기: 한신대학교출판부, 2001
20 정지석, "『기독교 평화사상사』", 서울: 한국YMCA 생명평화센터, 2015
21 김형준, "『세계화와 한국경제』", 서울: 두남, 2000
22 박승락, 성옥석, "『세계화와 한국무역』", 서울: 두남, 2016
23 김성은, "『평화와 기독교교육』", 파주: 한울, 2005
24 고용수, "『평화와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7
25 서보혁, 정욱식, "『평화학과 평화운동』",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6
26 윤응진, "“서독의 평화교육론.”", 「신학연구」 31 : 397-426, 1990
27 오인탁, "『교육학 연구의 논리』", 서울: 학지사, 2006
28 강승희, 허승희, 박동섭, "『아동의 상상력 발달』", 서울: 학지사, 1999
29 김성재, "“평화를 이루는 교육.”", 「기독교사상」 26(8) (8, : 69-79, 1982
30 이재기, "『세계화 WTO FTA 포커스』", 서울: 한올출판사, 2004
31 조용훈, "『지구화시대의 기독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32 문동환, "『평화교육과 민중교육』", 서울: 풀빛, 1990
33 양동휴, "『세계화의 역사적 조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34 이동기, "“디터 젱하스의 평화론.”", 「OUGHTOPIA」 28(1) (5, : 31-66, 2013
35 박병춘, "『배려 윤리과 도덕 교육』", 서울: 울력, 2002
36 김준호, "“세계화: 이론적 재조망.”", 「인문학연구」 20 (10, : 65-86, 2012
37 Vygotskii, L. S., "『(어린이의) 상상과 창조』", 비고츠키 연구회 역. 서울: 살림 터, [Vygotskii, L. S. Voobrazhenie i tvorchestvo rebenka], 2014
38 김현숙,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39 최관경, "“21세기 평화와 평화교육.”", 「교육사상연구」 24 (12, : 187-209, 2003
40 김성은, "“여성, 평화,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논총」 10 : 29-63, 2004
41 윤응진, "“테러리즘과 기독교교육.”",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연차대회 자료집」 : 1-19, 2004
42 정영수, "“평화교육의 과제와 전망.”", 「교육학연구」 31(5) (1, : 173-193, 1993
43 오인탁, "“평화교육의 이념과 내용.”", 「기독교사상」 32(9) (9, : 100-113, 1988
44 오인탁, "“평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활천」 431 : 29-40, 1988
45 김차희, "“평화교육을 위한 한 연구.”", 「철학윤리교육연구」 19(32) : 197-222, 2003
46 현광호, "『세계화시대의 한국현대사』", 서울: 선인, 2017
47 오인탁, "“고등교육에서의 생명교육.”", 「생명연구」 1 (1, : 335-356, 1993
48 김현숙, "“계시의 개념과 기독교교육.”", 「신학논단」 35 (3, : 225-260, 2004
49 김현숙, "“공유적 권위와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정보」 17 (8, : 193-214, 2007
50 고병헌, "“비폭력 평화사사의 계보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연차대회 자료 집」 : 57-81, 2004
51 오인탁, "“평화교육과 기독인의 책임.”", 「기독교사상」 31(3) : 92-103, 1987
52 김정환, "“평화교육학의 이론과 과제.”", 「교육문제연구」 1 (2, : 1-28, 1988
53 이삼열, "“평화의식 개발과 평화교육.”", 「통일한국」 31 (7, : 88-93, 1986
54 장종철, "“한반도의 기독교 평화교육.”", 「한국기독교신학논총」 6 : 187-218, 1989
55 전우택,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서울: 홍성사, 2016
56 장윤재, "“WCC 평화신학의 이해와 비판.”", 「神學思想」 167 : 145-182, 2014
57 차용구, "“서양 중세의 정의로운 전쟁.”", 「역사학보」 216 (12, : 165-189, 2012
58 이경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방안.”", 「대한정치학회보」 12(1) (6, : 55-83, 2004
59 한수경, "“세계화(지구화) 이론의 모순.”", 「정치와 평론」 8 (5, : 121-160, 2011
60 신경구, "“세계화와 빈곤, 그리고 선교.”", 「선교신학」 45 : 131-170, 2017
61 강수돌, "『경쟁은 어떻게 내면화되는가』", 서울: 생각의나무, 2008
62 이삼열,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파주: 한울, 2003
63 김기표, "“평화감수성의 교육학적 고찰.”", 「평화학논총」 4(1) (12, : 43-73, 2014
64 오성주, "“평화교육?평화교육에 대하여.”", 「세계의신학」 60 : 171-204, 2003
65 홍용표, "“평화문화와 지속가능한 평화.”", 「문화와 정치」 5(2) : 5-30, 2018
66 고병헌, "「평화교육의 성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67 이경태, "“평화교육에 관한 서설적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12(3) : 79-99, 2005
68 김정환, "『인간화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내일을여는책, 1995
69 김현숙, "“다문화주의 담론과 기독교교육.”", 「한국기독교신학논총」 86 (4, : 269-297, 2013
70 최관경, "“평화통일을 위한 평화교육사상.”", 「성곡논총」 25(1) (6, : 283-342, 1994
71 오성주, "“폭력극복과 기독교적 평화교육.”",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연차대회 자 료집」 : 21-55, 2004
72 이준원, 이형빈, "『평화의 교육과정 섬김의 리더십』", 서울: 살림터, 2020
73 유재덕, "“한반도 문제와 기독교 평화교육.”", 「기독교교육논총」 37 (3, : 145-166, 2014
74 고미숙,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교육문제연구」 19 (9, : 25-54, 2003
75 정웅섭, "“민족 분단 극복을 향한 평화교육.”", 「기독교사상」 33 : 72-82, 1989
76 양금희, "“지혜와 평화가 서로 입맞춤할 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99 (1, : 289-319, 2016
77 주연수, "“도덕적 상상력과 기독교인성교육.”", 「신학과 실천」 63 : 419-454, 2019
78 노희정, "『(인권 환경 평화를 위한) 도덕교육』", 파주: 서광사, 2013
79 심성보, "“생태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새 지평.”", 「도덕교육연구」 7 (11, : 151-172, 1995
80 주은정,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의 의미.”", 「한국초등교육」 27(2) (6, : 417-432, 2016
81 이기범, "『한반도 평화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살림터, 2018
82 임태수, "“기독교의 관점에서 본 평화와 생명.”", 「신학논단」 43 : 109-130, 2006
83 백민관, "『(가톨릭에 관한 모든 것) 백과사전 3』", 서울: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7
84 조은식, "“기독교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한국개혁신학」 15 (4, : 143-182, 2004
85 최병두, "“다문화사회의 윤리적 개념들과 공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4) (11, : 694-715, 2017
86 우한용, "“상상력의 작동구조와 상상력의 교육.”", 「국어교육」 97 (6, : 67-90, 1998
87 김회용, 박지원, "“생태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교육종합연구」 14(2) (6, : 105-125, 2016
88 김병연, "“평화교육 교수학습체계에 관한 연구.”", 「윤리철학교육」 15 : 55-78, 2011
89 진행남, "『국내외 평화교육 프로그램 실태 분석』", 서귀포: JPI, 2008
90 강순원, "『또래중재: 갈등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서울: 커뮤니티, 2007
91 정진홍, "『새천년 평화개념의 정립을 위한 연구』", 서울: 새천년준비위원회, 2000
92 장윤재, "“경제양극화 극복을 위한 화해의 선교.”", 「대학과 선교」 31 : 73-106, 2016
93 박종석, "“한국 기독교 평화교육의 반성과 방향.”",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4(1) (4, : 333-352, 2002
94 이강국, "『다보스, 포르투 알레그레 그리고 서울』", 서울: 후마니타스, 2005
95 안병영, 임혁백,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이념 현실 대응』", 서울: 나남출판, 2000
96 박보영, "“평화적 사유를 통한 교육 이해의 지평.”", 「미래교육연구」 18(1) (7, : 71-93, 2005
97 정영희, 최민수, "“유아교육에서의 평화교육 이해와 적용.”", 「통일교육연구」 10(1) (12, : 1-15, 2013
98 김현숙, "“탈인습성을 지향하는 성인 기독교교육.”", 「신학논단」 30 (10, : 393-409, 2002
99 박광기, "『한반도 평화교육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7
100 전상숙, "“‘평화’의 적극적 의미와 소극적 의미.”", 「개념과 소통」 4 : 35-61, 2009
101 금재호, "“노동시장 양극화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응용경제」 13(2) (9, : 131-168, 2011
102 김성재, "“평화와 민족통일을 이루는 기독교 교육.”", 「신학사상」 62 : 378-403, 1988
103 김현숙, "“기독교적 정체감 형성을 위한 대화 교육.”", 「기독교교육정보」 3 (10, : 279-310, 2001
104 박보영, "“평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의 탐색.”", 「교육사상연구」 23(1) : 1-16, 2009
105 김현숙, "“후기 현대 사회와 기독교적 자아 정체감.”", 「신학논단」 28 (10, : 283-303, 2000
106 곽노필, "“인류, 8월 20일부터 ‘생태 채무자’ 됐다.”", 한겨레신문, 년 8월 22일자, 2013
107 김국현, "“통일한국에서의 신뢰교육의 내용과 방법.”", 「국민윤리연구」 58 : 259-286, 2005
108 이윤석,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기독교교육적 과제.”", 「기독교교육정보」 27 (12, : 201-233, 2010
109 박충구, "“생명이 위협받고 있는 세계와 샬롬의 윤리.”", 「신학과 세계」 74 : 123-154, 2012
110 장신근, "『공적실천신학과 세계화 시대의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7
111 이윤희, "「공적신앙 형성을 위한 기독교평화교육 연구」",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6
112 강순원, 권순정, "“평화교육과 인권교육의 상보성에 관한 연구.”", 「국제이해교 육연구」 10(1) (6, : 31-62, 2015
113 이윤희, "“현대 기독교 평화교육의 동향과 미래적 전망.”", 「기독교교육논총」 48 (12, : 349-382, 2016
114 김난예, "“신앙과 실천을 위한 퀘이커 교육의 핵심 가치.”", 「한국기독교신학논 총」 100 : 275-302, 2016
115 김현정, "「초등학교에서의 평화교육: 월터스토프의 관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16 김균태, 하유정, 오형범, 나수엽, 김흥종, "“전 세계적 양극화 추세와 해외 주요 국의 대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 : 1-82, 2005
117 오성주, "“폭력극복을 위한 기독교적 평화교육론적 제언.”", 「기독교교육논총」 11 : 65-134, 2005
118 이재철,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세계화 그리고 시민사회.”", 「21세기정치학회 보」 19(2) (9, : 239-247, 2009
119 강순원, "“영국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평화적 영성과 교육.”", 「신학사상」 143 : 247-276, 2008
120 변종헌, "“평화문화 창출을 위한 평화교육의 방향과 과제.”", 「윤리연구」 120 : 269-292, 2018
121 노희정, "“한반도 평화시대를 위한 초등 통일교육의 방향.”", 「초등도덕교육」 62 (12, : 193-213, 2018
122 이윤희, "“관계적 역량 강화를 위한 평화감수성 교육 연구.”", 「기독교교육논 총」 55 : 305-340, 2018
123 김흥종, "“양극화 현상에 대한 각국의 인식과 정책적 대응.”", 「응용경제」 8(2) (9, : 105-119, 2006
124 박보영, "“한국의 평화교육 연구사 - 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 논총」 11 (2005): 157-196, 1980
125 김세광, 박소영,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회복적 접근.”", 「기독교 교육정보」 41 : 217-255, 2014
126 김준수, "“비폭력대화(NVC)의 분석과 기독교상담적 적용 연구.”", 「복음과 상 담」 23(1) (5, : 137-163, 2015
127 이종원, "“응보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 사형제도를 중심으로.”", 「신학과 실천」 28 : 879-901, 2011
128 유영권, "“한국교회의 소통과 공감 능력에 대한 분석과 방향.”", 「기독교교육논 총」 42 : 47-71, 2015
129 박경순, "“한국의 기독교평화교육의 연구경향과 미래적 과제.”", 「기독교교육논 총」 40 (12, : 13-46, 2014
130 이은성, "“공생사회의 구현을 위한 기독교 다문화교육의 과제.”", 「다문화와 평 화」 6(2) : 5-36, 2012
131 윤응진, "“기독교 평화통일교육을 위한 이론정립의 방향 모색.”", 「한국기독교신 학논총」 12 : 204-244, 1995
132 방연상, "“현대 신학 담론에 대한 ‘트리컨티넨탈리즘’의 도전.”", 「신학사상」 163 : 209-242, 2013
133 윤응진, "“평화통일 교육의 실마리: 적대자상들(Feindbilder)의 해체.”", 「신학 연구」 33 : 113-148, 1992
134 장윤재,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총회와 에큐메니컬 운동.”", 「한국조 직신학논총」 37 (12, : 211-247, 2013
135 이숙종, "“평화를 위한 코메니우스의 신학과 교육사상과의 관계성.”", 「기독교교 육정보」 6 : 240-265, 2003
136 이주명,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 세계화, 비판을 넘어 대안으로』", 서울: 필 명, 2005
137 박현주, "『행동하는 양심: 세상을 바꾸는 작은 힘, 비폭력 직접행동』", 서울: 검 둥소, 2009
138 김성수, "“평화(샬롬): 하나님을 중심한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즐김.”", 「고신신 학」 7 : 51-78, 2005
139 이향명, "“현 단계 생태담론들에 대한 고찰과 기독교생태교육의 방향.”", 「신학 사상」 154 : 239-268, 2011
140 이인정,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도 덕윤리과교육연구」 62 (2, : 1-24, 2019
141 강순원, "“년 벨파스트 합의안 이후 북아일랜드 평화교육의 새로운 조건.”", 「신학사상」 121 (2003): 55-88, 1998
142 김대식, "“함석헌의 평화사상 비폭력주의와 협화주의(協和主義)를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8(2) (12, : 45-79, 2016
143 손문, "“녹색성장과 기독교대학-기후변화와 새로운 교육모형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30 (6, : 345-381, 2012
144 이은경, "“폭력 극복을 위한 생물학적, 평화교육적 단초: 디퓨징과 서클 프로세 스.”", 「기독교교육논총」 43 : 77-108, 2015
145 이은성,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과 기독교 평화교육의 실천을 위한 당면과 제.”", 「기독교교육논총」 37 : 199-231, 2014
146 천명주, "“세계화 시대의 다문화 윤리: 아렌트의 ‘타자의 권리’ 개념을 중심으 로.”", 「인문사회」 21(9) (2, : 859-871, 2018
147 이진원, "「파편화된 시대의 폭력성 극복을 위한 융복합적 기독교평화교육 모형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48 박미라, "“다문화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 학생교육 - 기독교 집단상 담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7 : 243-270, 2011
149 오현선, "“다문화 사회에서 차이를 차별화하는 폭력성의 극복을 위한 기독교 평화교육의 한 방향.”", 「기독교교육논총」 20 : 301-328, 2009
150 김성은, "“6 15선언 2주년의 의의와 남북화해협력과 교회의 역할: 평화교육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역할.”", 「신학사상」 117 : 93-115,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