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어 쓰기 교과목 연계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및 인식 조사를 통한 개선안 연구 = A Study on College Tutoring Program for English Writing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7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for its better management in the future, and to foster other similar program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7 tutors and 95 tutees, all of whom participa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for its better management in the future, and to foster other similar program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7 tutors and 95 tutees, all of whom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for an English writing course. They answer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program, and additionally tutors were interviewed for the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utors evaluated the program and their tutoring performances positively, except when it came to their own teaching skills and qualifications. Likewise, tu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in which tutors gave direct feedback on their essay assignments, and this in turn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performance in the English writing course. However, the tutors perceived that the tutoring program needed more organized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In addition, both tutors and tutees reported that the absence metric of the latter should be increased and enforced with the help of school polic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program were also added: the importance of limiting the number of tutees, the need to obtain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and finally the provision of tutor training ses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의 영어 글쓰기 교과목과 연계된 튜터링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17명의 튜터 교수자와 95명의 튜티 학습자...

      본 연구는 대학의 영어 글쓰기 교과목과 연계된 튜터링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17명의 튜터 교수자와 95명의 튜티 학습자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만족도, 문제점, 개선점에 관한 설문에 답변하였으며, 튜터 교수자는 추가로 면담에도참여하였다. 그 결과, 튜터 교수자는 영어 쓰기 교사 자질에는 부족함을 느끼지만 프로그램에 대해전반적으로 만족하였는데, 과제 첨삭과 교수 활동을 성실히 수행하고 자신의 영어 쓰기 학습역량이향상된 것에 큰 성취감을 드러냈다. 튜티 학습자의 경우, 튜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영어 쓰기 과목의주요 활동인 작문을 직접 첨삭 받을 수 있고 해당 과목의 복습을 통해 교과 성적이 향상된 것과 튜터의성실성에 큰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해 제안할 점으로 튜터 교수자는 행정적, 교육적인지원을 절실히 요구하였고, 튜티 학습자의 낮은 출석률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침이 보완되기를희망하였다. 튜티 학습자 역시 출석, 수업시간 및 튜터링 기간에 관한 제도적인 뒷받침을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에 따른 교수자 교육 및 행정적, 제도적 개선방안이 제안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2 서금택,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튜티의 이해력과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4 (4): 49-62, 2008

      3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4 선복근,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26-134, 2009

      5 황은영, "엑셀런트 튜터링" 학지사 2008

      6 김혜경,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교양영어 독해수업 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09-236, 2016

      7 김현우,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교양교과목의 수업효과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39-61, 2018

      8 오선아, "동료튜터링과 개별학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791-816, 2014

      9 안현아,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57-377, 2016

      10 김연경, "대학의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프로그램에서 튜티가 인식한 튜터의 역량 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29-250, 2015

      1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2 서금택,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튜티의 이해력과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4 (4): 49-62, 2008

      3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4 선복근,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26-134, 2009

      5 황은영, "엑셀런트 튜터링" 학지사 2008

      6 김혜경,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교양영어 독해수업 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09-236, 2016

      7 김현우,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교양교과목의 수업효과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39-61, 2018

      8 오선아, "동료튜터링과 개별학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791-816, 2014

      9 안현아,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57-377, 2016

      10 김연경, "대학의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프로그램에서 튜티가 인식한 튜터의 역량 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29-250, 2015

      11 한안나,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인식된 튜터의 역할이 만족도와 학습성과판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467-494, 2011

      12 배성아,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튜터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47-277, 2014

      13 이용진, "대학생의 사회적 학습양식과 튜터·튜티 역할에 따른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의 성과에 대한 인식"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371-389, 2014

      14 이성하, "대학생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참여역할, 학년, 팀구성 방식에 따른 튜터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차이"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683-705, 2013

      15 이은준, "대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2 (42): 235-262, 2011

      16 김지현, "대학생 튜터가 피어튜터링(peertutoring)에서 체험하는 교육적 난점" 한국교육원리학회 16 (16): 120-167, 2011

      17 염민호, "대학 학습공동체 효과 분석 : 전남대학교 사례"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07-232, 2012

      18 유경아,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영어 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연구소 18 (18): 145-172, 2017

      19 송윤희,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H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6 (16): 441-459, 2012

      20 김선효, "대학 글쓰기에서의 한국어 동료튜터링(peer tutoring)의 과정과 방법-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97-227, 2013

      21 최웅환,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첨삭지도"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31-364, 2013

      22 정한데로, "글쓰기 튜터의 역할과 자세 -WAC(교과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회 (22) : 323-349, 2012

      23 유경아, "교양영어 교과목 관련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과 개선 방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261-269, 2018

      24 Remedios, L., "The silent participant i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s" 9 : 201-216, 2008

      25 Lassegard, J.,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The tutor system at Japaneses universities" HERDSA 27 (27): 57-369, 2008

      26 Barrows, H. G., "Practice based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94

      27 Topping, K., "Peer-assisted Learn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28 Nguyen, M., "Peer tutoring as a strategy to promote academic success" Duke University 2013

      29 Colvin, J. W., "Peer tutoring and social dynamics in higher education" NCPEA 15 (15): 165-181, 2007

      30 Falchikov, N., "Learning Together: Peer Tutoring in Higher Education" Routledge 2003

      31 Webb, N. M.,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Prentice Hall International 841-873, 1996

      32 Facey-Shaw, L., "Effects of peer tutoring and attitude on academic performance of first year introductory programming students"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